응급처치레포트(CCC, 상황별 case 응급순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처치레포트(CCC, 상황별 case 응급순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응급 처치의 정의

Ⅱ. 일반적인 응급 상황의 대응
○ 응급구조 활동의 원칙 CCC (Check, Call, Care)
1. 현장조사 - check
2. 연락 (도움요청 - 119, 112) - Call
3. 도움 및 처치 - Care

Ⅲ. CASE 생명이 위급한 상황
1. 환자 발견 시 출혈 여부 및 의식유무 확인 응급처치
2. 두부외상 및 응급처치
3. 근 골격계의 손상
4. 자세교정 (환자가 엎드려 있을 경우)
5. 혈액순환 확인
6. 연락
7. 맥박의 재확인
8. 쇼 크
9. 환자의 운반

본문내용

안전하게 눕힌다. 엎드러진 환자를 돌릴 때는 그의 아래쪽 팔로 머리를 괴어서 보호를 하고 위쪽의 팔은 차렷 자세로 하고 몸을 일직선으로 만들어 돌린다. 이 때 처치자는 무릎을 꿇고 환자의 등 쪽에서 어깨와 골반을 잡고 허벅지로 받치면서 돌린다. 환자의 위쪽 팔은 처치자의 안쪽으로 놓는다. 환자가 어느 정도 돌아왔을 때 머리가 땅에 떨어지지 않도록 목과 머리 뒷부분을 받치고 뒤로 물러나면서 안전하게 눕힌다.
5. 혈액순환 확인
목옆의 경동맥 확인 - 목 부위의 맥박을 짚어 심장이 박동 하는지 확인한다. 한 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눌러 머리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다른 손의 검지와 중지를 울대에 놓고, 두 손가락을 처치원 쪽으로 미끄러지듯 움직여 목 옆쪽의 근육과 기관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경동맥을 찾는다. 손끝으로 부드럽게 눌러 경동맥의 박동을 5-10초간 느낀다. 엄지로 하면 처치자의 맥박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검지와 중지로 하고 처치자 쪽의 경동맥을 짚어야 한다.
6. 연락
맥박을 확인하고 나면 전화 연락을 할 사람에게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설명하고 알리게 한다. 이 단계는 응급처치를 하는 동안 언제라도 이루어 질 수 있다.)
7. 맥박의 재확인
구조호흡을 1분간 (12회 정도) 실시한 후 환자의 맥박을 확인한다. 기도를 개방한 후 5-10초간 경동맥을 느낀다. 맥박이 뛰면 3-5초 간 호흡을 확인하고 호흡을 하면 계속 기도를 열어주고 호흡과 맥박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호흡을 하지 않으면 계속 구조호흡을 실시하고 1분마다 맥박을 재확인(숙달된 처치자라면 2-3분마다 맥박을 확인하도록 한다. 경동맥의 맥박이 박동하지 않으면 심폐소생법을 실시한다.
- 다음 상황이 될 때까지 구조호흡을 계속 실시하여야 함.
1. 호흡이 돌아왔을 때
2. 구급차나 구급요원이 도착하여 환자를 치료할 때
3. 훈련된 다른 처치원과 교대를 할 때
4. 처치원이 너무 지쳐서 구조호흡을 계속 할 수 없을 때
8. 쇼 크
쇼크는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신체 모든 부위에 순환시킬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생명기관이 산소공급을 온전하게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이렇게 되면 여러 가지 특이한 증상을 보인다.
■ 쇼크의 원인
사람이 운동을 할 때는 운동근육이 더 많은 산소를 요구하기 때문에 신장은 더 빠르고 힘차게 뛴다. 누구나 심한 상해를 입으면 혈류의 영향을 주는데 더 많은 산소요구량에 의해 심장박동이 빠르고 호흡도 신체의 산소요구량에 맞추어진다. 이때 맥박과 호흡이 불규칙적이면 심장기능에 지장을 초래한다. 어떤 부정맥의 경우에는 혈액순환이 전혀 안될 수도 있다.
■ 쇼크의 증상
- 불안, 과민
- 빠르고 약한 맥박
- 가쁜 호흡
- 창백하거나 푸르고 차가우며 축축한 피부
- 심한 갈증
- 메스꺼움, 구토
- 호수 또는 의식 상실
1. 쇼크의 응급처치
1)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한다.
2) 기도, 호흡, 순환을 지켜보고 문제가 있으면 처치한다.
3) 환자를 편하게 안정시킨다. 안정시키지 못하면 통증 때문에 신체 스트레스가 심해져서 쇼크 상태가 더 빨리 진행된다. 편안하게 쉬게 하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4) 정상체온을 유지하게 한다.
5) 환자를 안심시킨다.
6) 특별한 상태에 대한 처치를 한다.
9. 환자의 운반
환자를 운반하는 방법은 잘못 운반 시 도리어 나쁜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응급처치나 질병 치료만큼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운반 시 중요사항은 편하게, 안전하게,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확실하게 구급 구호시설로 옮기는 것이다.
위 사례에서는 대퇴부의 복합골절 및 두부에 출혈이 상당하므로 운반을 하지 않고 구급차가 오기를 기다린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11.30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