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의 종류, 인대, 근육, 움직임, 골격(해부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절의 종류, 인대, 근육, 움직임, 골격(해부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관절의 골격 - 뼈 (bone) 2

Ⅱ. 관절의 인대 - 인대(ligament) 4
힘줄(건 : tendon) 5

Ⅲ. 관절의 근육 - 근육 (muscle) 6

Ⅳ. 관절의 움직임 (movement) 및 관여하는 근육 8

Ⅴ. 각 관절의 종류 11
1. 어깨 관절 11
2. 팔꿈치 관절 12
3. 전완근 해부학(손목 및 손을 움직이는 근육) 14
4. 고관절 Hip(coxal) joint 14
5. 슬관절 Knee joint 14

본문내용

=3 heads
O - long head : infraglenoid tubercle of scapula
lateral head : posterior humerus 윗쪽
medial head : posterior humerus 1/3 지 점
I - olecranon of ulna
가장 강한 elbow extension
long head : adduction
주두 (olecranon) 의 골절 시 팔꿈치 신전이 안됨
Anconeus (주근)
Ancon=elbow
O - lateral epicondyle of humerus
I - lateral aspect of olecranon process of ulna
짧은 삼각형 모양의 근육
Supinator (회외근)
Deep muscle
Supinator (회외근)
Deep muscle
O - lateral epicondyle of humerus
I - proximal end of radius
Pronator teres (원회내근)
two-headed muscle
superficial view between brachioradilais and flexor carpi radilalis
o - medial epicondyle of humerus, coronoid process of ulna
I - lateral radius 의 중간 Pronation
weak flexor of elbow
Pronator quadratus (방형회내근)
Deep muscle
O - distal portion of anterior ulna shalt
I - distal of anterior radius
Pronator teres 와 함께 작용한다
Ulna와 radius를 붙잡고 있는 것을 도와준다.
3. 전완근 해부학(손목 및 손을 움직이는 근육)
대부분의 근육들은 proximal에 위치한다.
긴 tendon을 갖고 있으며 손가락에 연결되어 있다.
Tendon들이 손목과 손바닥에 밀집되어 있으므로 마찰을 줄이기 위해 미끄러운 tendon sheath 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손목에서 많은 tendon들은 flexor retinaculum(굴근지 대)와 extensor retinaculum(신근지대) 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많은 근육들은 humerus의 distal에서부터 시작되어 elbow를 거쳐 손목과 손가락 관절까지 뻗어 있다. 그러나 elbow에서의 역할은 매우미약하다.
대부분 flexor의 origin은 common tendon from the medial epicondyle of the humerus
대부분 extensor으I origin은 commom tendon from the lateral epicondyle of the humerus
4. 고관절 Hip(coxal) joint
골반과 대퇴골을 접합하는 관절로 관골구와 대퇴골두가 이루는 구상관절이다.
고관절은 상지의 어깨관절에 해당하는데, 관골 바깥쪽에 관골구라는 움푹 패인 곳이 있어 이곳에 대퇴골부가 끼워져 있다. 사람의 경우 똑바로 섰을 때 좌우 두 다리의 신체를 지탱하는 관절이다. 관골구의 관절와 역시 둘레에 두꺼운 섬유연골성의 관절순(acetabular labrum)이 둘러싸고 있으나 하면은 불안전하다. 대퇴골두가 관절의 깊은 관골두에 들어가 있으며 관절낭은 비교적 두껍고 튼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견관절보다 더욱 안정되며 다축성이어서 사방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견관절보다는 운동범위가 상당히 좁고 특히 배방굴곡에 대한 제한이 두드러진다.
보강인대로는 대퇴골두인대(ligament of head of femur)와 장골대퇴인대(iliofemoral(Y) ligament)가 있는데 장골대퇴인대는 인대는 인체에서 가장 강한 인대로 관절의 전면을 덮고 있으며 고관절의 관절운동을 제어여 과신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윤대·치골낭인대 ·좌골낭인대 등이 주로 관절낭을 보강한다.
5. 슬관절 Knee joint
대퇴골 하단과 경골 상단 및 슬개골 (무릎뼈) 의 후면 사이에 있는 관절로 인체에서 가장 복잡하고 침해를 받기 쉬운 관절이다. 내.외측과와 경골 상단의 내.외측과 사이에 이루어지는 접번관절이며 전면에 슬개골이 부착하여 관절 형성에 관여한다. 다리를 무릎에서 뒤쪽으로 굽히는 기능이 있다. 관절낭은 대퇴골 하단의 가장자리에서 시작되어 경골 상단의 가장자리에 붙어 있다.
그 밖에 내측 및 외측의 측부인대, 관절강 안에 있는 슬십자인대를 비롯하여 많은 튼튼한 인대에 의하여 뼈의 결합이 강화됨과 동시에 운동방향과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슬십자인대에는 경골의 과관융기 intercondylar eminence 전방에서 대퇴골 외측과외 내측연을 이으며 슬관절 신전 유지에 관여하는 전십자인대 anterior cruciate lig. 와 과관융기 후방에서 대퇴골 내측과의 외측연을 이으며 굴곡 유지에 관여하는 후십자인대 posterior cruciate lig.가 있는데 전십자인대가 끊어지면 경골이 앞쪽으로 전위되고, 후십자인대가 끊어지면 경골이 뒤쪽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또 관절강 내에는 섬유연골로 된 1쌍의 반환형인 관절반월이라는 판이 있다. 이는 서로 의 관절면이 고르지 못하여 관절원판의 일종인 C자형의 내측반월 medial meniscus과 O자형의 외측반월 lateral meniscus이 경골 내측과와 외측과에 붙어서 관절강의 모양을 적당히 보조하고 관절면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활막주름 synovial fold은 충격을 흡수하여 관절은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역시 주위 조직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주요 활액낭에는 큰 슬개상낭 suprapatellar bursa, 전슬개낭 prepatellar bursa, 슬개하낭 intrapatellar bursa 등이 있다.
즉 슬관절은 일종의 원주관절로서 1축성 운동을 하는 관절로 무릎을 펴면 측부인대collateral ligament 가 긴장하여 하퇴는 대퇴와 일직선을 이루어 고정된다. 그러나 무릎을 구부리면 인대가 늘어나 하퇴는 어느 정도 좌우로 동요하는 가능성이 생긴다.
  • 가격3,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11.30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