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지행동 모델
2. 인지행동모델
3. 인지치료의 실제
4. 적용연구
2. 인지행동모델
3. 인지치료의 실제
4. 적용연구
본문내용
처하게 됨.
여성 환자의 경우는 외모 변화, 성, 임신, 출산, 결혼생활에서의 역할 수행상의 문제, 비합리적인 신념으로 더욱 스트레스가 많음.
여성신장이식환자를 대상으로 비합리적인 질병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켜 스트레스 상황에 잘 대처 할 수 있도록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를 적용한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다용한 인지행동 치료기법들을 활용함.
프로그램 내용 : 질병관리, 인지왜곡 바로잡기, 이완훈련, 단전호흡 등.
2) 공황장애 환자를 위한 인지행동치료접근
공황장애 환자를 위해 1주간의 기초선 측정(A)과 4주간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B)으로 구성된 A-B 설계로 연구함.
환자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호소하는 공황증상으로 인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반적인 증상의 심각도를 측정하는 GPI척도(Global Pathology Index)를 활용하여 개입 전후를 비교.
공황발작의 예측 변인으로 알려진 불민감성(Anxiety Sensitivity)과 공황장애 심각도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도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
분석을 통해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고,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48.8%의 증상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남.
3) 공황장애 환자를 위한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세션
주제
내용
과제
치료전
1. 사전모임
① 치료진 협의
② 치료계약(일정, 치료소개)
③ 과제설명
④ 불안민감성 측정
⑤ 공황장애 심각도 측정
- 세션1을 위한 과제
- 인지 왜곡표 작성
- GPI 작성
1
1. 자기소개, 증상토론
2. 공황장애 교육
3. 자동사고의 이해
① 공황장애의 정의, 특징, 및 원인
② 정상 불안과 병적 불안의 의미
③ 공황장애로 인한 제반 문제점
④ 다른 치료법의 소개와 인지행동치료의 차이점
⑤ 공황장애의 인지왜곡의 이해 및 교정
⑥ 기초선 단계 측정치 입력 후 검토
- 인지 왜곡표 작성
- 세션2를 위한 과제
- GPI 작성
2
1. 잘못된 생각의 교정과 합리적 반응의 유도
① 인지 왜곡표 발표 및 합리적 사고훈련
② 신체적 조정의 시범 및 실행
③ 신체감각노출 훈련
- 인지 왜곡표 작성
3
1. 노출훈련의 숙지
① 신체감각 노출훈련의 평가
② 인지왜곡의 이해
③ 가상노출훈련
- 인지 왜곡표 작성
- 세션3을 위한 과제
- GPI 작성
4
1. 실제상황 노출을 통해 증상극복 확인
2. 치료기법의 재검토
3. 가족교육
4. 재발에 관한 교육
① 과제발표 및 생황 중 실제노출연습 발표
② 활동척도의 변화 확인
③ 치료경과 평가
④ 가족역할 교육
⑤ 재발에 관한 교육
⑥ 불안민감성 측정
⑦ 공항장애심각도 측정
- 인지 왜곡표
- GPI 작성
사후지도1
증상점검(ASI, PDSS) 및 심리사회적 상담
- 인지왜곡표 검토
- 종결 2주 후
사후지도2
증상점검(ASI, PDSS) 및 심리사회적 상담
- 인지왜곡표 검토
- 종결 1달 후
참고문헌
의료사회사업론 권육상, 이준원 외 3명 유풍출판사
의료사회사업론 윤현숙 나남
의료사회사업원론 이광재 인간과 복지
의료사회사업론 이윤로 학지사
여성 환자의 경우는 외모 변화, 성, 임신, 출산, 결혼생활에서의 역할 수행상의 문제, 비합리적인 신념으로 더욱 스트레스가 많음.
여성신장이식환자를 대상으로 비합리적인 질병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켜 스트레스 상황에 잘 대처 할 수 있도록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를 적용한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다용한 인지행동 치료기법들을 활용함.
프로그램 내용 : 질병관리, 인지왜곡 바로잡기, 이완훈련, 단전호흡 등.
2) 공황장애 환자를 위한 인지행동치료접근
공황장애 환자를 위해 1주간의 기초선 측정(A)과 4주간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B)으로 구성된 A-B 설계로 연구함.
환자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호소하는 공황증상으로 인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반적인 증상의 심각도를 측정하는 GPI척도(Global Pathology Index)를 활용하여 개입 전후를 비교.
공황발작의 예측 변인으로 알려진 불민감성(Anxiety Sensitivity)과 공황장애 심각도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도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
분석을 통해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고,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48.8%의 증상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남.
3) 공황장애 환자를 위한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세션
주제
내용
과제
치료전
1. 사전모임
① 치료진 협의
② 치료계약(일정, 치료소개)
③ 과제설명
④ 불안민감성 측정
⑤ 공황장애 심각도 측정
- 세션1을 위한 과제
- 인지 왜곡표 작성
- GPI 작성
1
1. 자기소개, 증상토론
2. 공황장애 교육
3. 자동사고의 이해
① 공황장애의 정의, 특징, 및 원인
② 정상 불안과 병적 불안의 의미
③ 공황장애로 인한 제반 문제점
④ 다른 치료법의 소개와 인지행동치료의 차이점
⑤ 공황장애의 인지왜곡의 이해 및 교정
⑥ 기초선 단계 측정치 입력 후 검토
- 인지 왜곡표 작성
- 세션2를 위한 과제
- GPI 작성
2
1. 잘못된 생각의 교정과 합리적 반응의 유도
① 인지 왜곡표 발표 및 합리적 사고훈련
② 신체적 조정의 시범 및 실행
③ 신체감각노출 훈련
- 인지 왜곡표 작성
3
1. 노출훈련의 숙지
① 신체감각 노출훈련의 평가
② 인지왜곡의 이해
③ 가상노출훈련
- 인지 왜곡표 작성
- 세션3을 위한 과제
- GPI 작성
4
1. 실제상황 노출을 통해 증상극복 확인
2. 치료기법의 재검토
3. 가족교육
4. 재발에 관한 교육
① 과제발표 및 생황 중 실제노출연습 발표
② 활동척도의 변화 확인
③ 치료경과 평가
④ 가족역할 교육
⑤ 재발에 관한 교육
⑥ 불안민감성 측정
⑦ 공항장애심각도 측정
- 인지 왜곡표
- GPI 작성
사후지도1
증상점검(ASI, PDSS) 및 심리사회적 상담
- 인지왜곡표 검토
- 종결 2주 후
사후지도2
증상점검(ASI, PDSS) 및 심리사회적 상담
- 인지왜곡표 검토
- 종결 1달 후
참고문헌
의료사회사업론 권육상, 이준원 외 3명 유풍출판사
의료사회사업론 윤현숙 나남
의료사회사업원론 이광재 인간과 복지
의료사회사업론 이윤로 학지사
추천자료
[사회복지]심리사회모델과 인지행동모델 정리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념정의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념정의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
인지행동모델과 위기개입모델 요약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념 및 개입방법★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념 및 개입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기술의 모델 - 행동수정모델과 인지행동모델.PPT자료
인지행동모델의 특징 : 인지행동모델의 특징과 주요개념을 정리하고 이 모델의 적용이 어려운...
클라이언트중심모델, 인지행동모델, 심리사회모델, 과제중심모델, 행동수정모델을 표로 비교...
심리사회모델과 인지행동모델의 장단점 비교
(인지행동모델) 인지행동모델을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장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