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또는 담관 폐쇄 없이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 수치가 3.0mg/dl 이상으로 간기능이 저하된 경우이다.
2) 합병증
TACE 시행 후 간암과 일부 간세포가 괴사되면서 postembolization syndrome으로 오심, 구토, 복부통증, 간헐적 발열, 식욕부진 등이 있으며 그 이외에 패혈증, 간기능 저하, 간부전, 간내 담관 손상, 간농양, 상부위장관 출혈, 담낭경색, 비장경색, 폐동맥 색전, 척추동맥 색전 등이 있을 수 있다.
8. 시술 후 관리(F/U)
TACE 시술 후 대부분 수개월내에 재발하게 되므로 계속적인 경과 관찰과 반복적인 TACE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TACE는 3개월 간격으로 반복 시행하며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한 1개월 후 liver dynamic CT를 시행하고 CT영상의 결과에서 간동맥 화학색전술시 간암에 집적된 lipiodol의 집적결손과 새로운 병변 발견시와 AFP(alpha-fetoprtein)수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을 경우에 1~2개월 간격으로 반복 시행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선우外3명(2004).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제27권 제1호. 간동맥화학색전술(TACE)
사진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2) 합병증
TACE 시행 후 간암과 일부 간세포가 괴사되면서 postembolization syndrome으로 오심, 구토, 복부통증, 간헐적 발열, 식욕부진 등이 있으며 그 이외에 패혈증, 간기능 저하, 간부전, 간내 담관 손상, 간농양, 상부위장관 출혈, 담낭경색, 비장경색, 폐동맥 색전, 척추동맥 색전 등이 있을 수 있다.
8. 시술 후 관리(F/U)
TACE 시술 후 대부분 수개월내에 재발하게 되므로 계속적인 경과 관찰과 반복적인 TACE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TACE는 3개월 간격으로 반복 시행하며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한 1개월 후 liver dynamic CT를 시행하고 CT영상의 결과에서 간동맥 화학색전술시 간암에 집적된 lipiodol의 집적결손과 새로운 병변 발견시와 AFP(alpha-fetoprtein)수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을 경우에 1~2개월 간격으로 반복 시행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선우外3명(2004).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제27권 제1호. 간동맥화학색전술(TACE)
사진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