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탈하지 않고 지나갈 경우의 출발점의 높이 h를 측정한다.
4) 구가 낙하되리라고 추정되는 위치에 먹지와 갱지를 깔고 과정 3에서 정한 높이 h에서 구슬을 굴러 내려서 수평거리 x를 5회 측정한다.
5) 점 C에서 구의 속력 (실험)를 x와 y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6) 식 에 h값을 대입하여 구해 구슬의 속력 v(이론)과 비교한다.
7) v(실험)과 v(이론)이 같지 않다면 이유를 생각해 보고 역학적 에너지의 손실 를 계산하라.
8) 구슬의 공간운동장치를 [그림 2]와 같이 끝부분이 수평면과 각 를 이루도록 설치하고 과정 2와 같은 실험으로 높이 를 측정하고, 점 C와 지면의 수직거리 및 원형트랙의 반경 R을 재어 기록한다.
9) 과정 8에서 측정한 가 (식 6) , 을 만족시키는지 검토하라.
10) 구가 낙하되리라고 추정되는 위치에 먹지와 갱지를 깔고 과정 8에서 정한 높이 에서 굴러 내려 수평거리 를 5회 측정한다.
11) 과정 8과 과정 10에서 측정한 , 및 의 값을
식 에 대입하여 (실험)를 계산하고 이것을 식 에 대입하여 (실험)를 구한다.
12) 식 에서 (이론)를 계산하고 과정 11에서 구한 (실험)와 비교하여 같지 않다면 이유를 생각해 보고 과정 6에서 구한 역학적 에너지 손실 를 고려하여 (이론)을 계산한 후 (실험)과 다시 비교하여 검토하라.
5. 참고자료
1) 대학물리학 개정 4판 제 1권, JEWTT & SERWAY, 청문각
2) 일반물리학 실험 건국대학교 물리학과,나노과학기술전공, 북스힐
3) 일반물리학 개정 7판 제 1권, Halliday 외 2인, 범한서적
4) 위키백과
4) 구가 낙하되리라고 추정되는 위치에 먹지와 갱지를 깔고 과정 3에서 정한 높이 h에서 구슬을 굴러 내려서 수평거리 x를 5회 측정한다.
5) 점 C에서 구의 속력 (실험)를 x와 y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6) 식 에 h값을 대입하여 구해 구슬의 속력 v(이론)과 비교한다.
7) v(실험)과 v(이론)이 같지 않다면 이유를 생각해 보고 역학적 에너지의 손실 를 계산하라.
8) 구슬의 공간운동장치를 [그림 2]와 같이 끝부분이 수평면과 각 를 이루도록 설치하고 과정 2와 같은 실험으로 높이 를 측정하고, 점 C와 지면의 수직거리 및 원형트랙의 반경 R을 재어 기록한다.
9) 과정 8에서 측정한 가 (식 6) , 을 만족시키는지 검토하라.
10) 구가 낙하되리라고 추정되는 위치에 먹지와 갱지를 깔고 과정 8에서 정한 높이 에서 굴러 내려 수평거리 를 5회 측정한다.
11) 과정 8과 과정 10에서 측정한 , 및 의 값을
식 에 대입하여 (실험)를 계산하고 이것을 식 에 대입하여 (실험)를 구한다.
12) 식 에서 (이론)를 계산하고 과정 11에서 구한 (실험)와 비교하여 같지 않다면 이유를 생각해 보고 과정 6에서 구한 역학적 에너지 손실 를 고려하여 (이론)을 계산한 후 (실험)과 다시 비교하여 검토하라.
5. 참고자료
1) 대학물리학 개정 4판 제 1권, JEWTT & SERWAY, 청문각
2) 일반물리학 실험 건국대학교 물리학과,나노과학기술전공, 북스힐
3) 일반물리학 개정 7판 제 1권, Halliday 외 2인, 범한서적
4) 위키백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