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다. 따라서 다이오드 을 이상적인 다이오드로 대치하면 출력전압 은 1차측 전압의 절반 크기의 전압이 나타난다.
■음의 반주기 동작
변압기 1차측 전원의 음의 반주기 동안 은 역방향으로 는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변압비가 1:1이고 변압기 2차측의 중앙에 탭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1차측의 절반 크기를 가진 정현파가 2차측의 중간 탭에서 를 거쳐 부하저항 까지 구성되는 회로에 인가된다. 여기서 부하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양의 반주기 동작에서와 마찬가지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양의 반주기 동안에 나타났던 동일한 극성으로 출력전압이 나타난다.
(2) 전파브리지 정류기
전파브리지 정류기(Full-wave Bridge Rectifier)는 4개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브리지 형태로 결선하여 구성한다.
■양의 반주기 동작
변압기 1차측의 양의 반주기 동안은 과 는 순방향으로 , 는 역방향으로 바이어스 되기 때문에 변압기 2차측에는 1차측 전압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며, 과 부하저항 그리고 로 구성된 회로 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다이오드 양단 전압들 (0.7V + 0.7V = 1.4V)을 무시하면 부하저항 양단에는 변압기 1차측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나타난다.
■음의 반주기 동작
변압기 1차측의 음의 반주기 동안은 과 는 역방향으로 , 는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결국 양의 반주기 동안과는 다이오드 상태가 정반대로 되기 때문에 변압기 2차측에는 1차측 전압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며, 와 부하저항 그리고 로 구성된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다이오드 양단 전압들 (0.7V + 0.7V = 1.4V)을 무시하면 부하저항 양단에는 변압기 1차측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나타난다. 양단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양의 반주기 동작에서 흐르는 방향과 동일하므로 양의 반주기 동안의 출력 전압 과 동일한 극성으로 에 나타난다.
2.3 실험기기 및 부품
멀티탭 (110V) 1개, 중간 탭이 달린 변압기 1개, 전원트랜스 110V(1차측), 6V, 12V(2차측) 1개, 오실로스코프 1대, 저항 (10㏀, 1/4W) 1개, 저항 (1㏀, 1/4W) 1개, 다이오드(1N914) 2개, 다이오드 (1N5625) 4개, 멀티미터 1개, 스위치 3개
2.4 실험핵심
①반파 정류기와 전파 정류기의 차이점을 비교
②센터 탭이 있는 변압기를 사용하는 정류기와 브리지형 정류기의 동작 방법의 차이점을 비교
■음의 반주기 동작
변압기 1차측 전원의 음의 반주기 동안 은 역방향으로 는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변압비가 1:1이고 변압기 2차측의 중앙에 탭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1차측의 절반 크기를 가진 정현파가 2차측의 중간 탭에서 를 거쳐 부하저항 까지 구성되는 회로에 인가된다. 여기서 부하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양의 반주기 동작에서와 마찬가지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양의 반주기 동안에 나타났던 동일한 극성으로 출력전압이 나타난다.
(2) 전파브리지 정류기
전파브리지 정류기(Full-wave Bridge Rectifier)는 4개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브리지 형태로 결선하여 구성한다.
■양의 반주기 동작
변압기 1차측의 양의 반주기 동안은 과 는 순방향으로 , 는 역방향으로 바이어스 되기 때문에 변압기 2차측에는 1차측 전압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며, 과 부하저항 그리고 로 구성된 회로 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다이오드 양단 전압들 (0.7V + 0.7V = 1.4V)을 무시하면 부하저항 양단에는 변압기 1차측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나타난다.
■음의 반주기 동작
변압기 1차측의 음의 반주기 동안은 과 는 역방향으로 , 는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결국 양의 반주기 동안과는 다이오드 상태가 정반대로 되기 때문에 변압기 2차측에는 1차측 전압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며, 와 부하저항 그리고 로 구성된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다이오드 양단 전압들 (0.7V + 0.7V = 1.4V)을 무시하면 부하저항 양단에는 변압기 1차측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나타난다. 양단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양의 반주기 동작에서 흐르는 방향과 동일하므로 양의 반주기 동안의 출력 전압 과 동일한 극성으로 에 나타난다.
2.3 실험기기 및 부품
멀티탭 (110V) 1개, 중간 탭이 달린 변압기 1개, 전원트랜스 110V(1차측), 6V, 12V(2차측) 1개, 오실로스코프 1대, 저항 (10㏀, 1/4W) 1개, 저항 (1㏀, 1/4W) 1개, 다이오드(1N914) 2개, 다이오드 (1N5625) 4개, 멀티미터 1개, 스위치 3개
2.4 실험핵심
①반파 정류기와 전파 정류기의 차이점을 비교
②센터 탭이 있는 변압기를 사용하는 정류기와 브리지형 정류기의 동작 방법의 차이점을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