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성호이익의 생애와 저서
Ⅱ. 성호이익의 사상체계
1. 시대 상황적 배경
2. 성호이익 사상의 특징
3. 개혁사상
Ⅲ. 성호학파
Ⅳ. 결론
Ⅱ. 성호이익의 사상체계
1. 시대 상황적 배경
2. 성호이익 사상의 특징
3. 개혁사상
Ⅲ. 성호학파
Ⅳ. 결론
본문내용
유형원의 안보다 다소 온건하지만 실재로 실시 가능한 토지의 균등한 분배를 주장하였다. 이를 한전론(限田論)이라 한다. 이익은 유형원이 주장한 균전론(勻田論)실시를 뒷받침할 구체적인 방안으로 농가마다 일정한 면적의 영업전(永業田 : 영원히 경작할 수 있는 토지)을 주어 매매할 수 없도록 하는 영업전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영업전 대신 비영업전 매매를 인정하자고 주장하였다.)이는 농민들이 지주에게 토지를 빼앗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3) 조세론
이익은 백성이 있는 곳에 국가가 있고, 국가가 있는 곳에는 경비가 필요하게 마련이니 조세의 징수는 불가피하다 하였다. 특히 당시는 국가예산의 편성과 집행에 질서가 없었고, 서리(胥吏)는 급료가 없거나 아주 적었기 때문에, 서리의 부정행위를 막을 수 없었다. 그리하여 이익은 불공평한 과세를 바로잡고 서리의 부정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세제(稅制)를 바로잡고 서리의 급료를 제대로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이익은 당시 전세부담률이 기존의 토지생산물의 20분의 1에서 10분의 1수준으로 인상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렇게 하면 국가의 세입이 증가하여 관리의 대우개선으로 인한 부정행위를 막을 수 있고 백성들은 각종 무상 부역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Ⅲ. 성호학파
평생을 고향에서 농민들과 함께 호흡하며 학문에 열중한 그는 인근에 명성이 자자하였다. 그러자 이웃 고을들에서 제자 되기를 청하며 찾아오는 이가 많았다. 그의 문하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많이 배출되어 학해(學海)를 이룰 정도였다. 그들은 스승의 뜻을 이어 실학사상의 확산에 힘쓰게 된다.
① 안정복 : 이익의 역사의식은 안정복에게 영향을 끼쳤다. 안정복은 역사연구에 힘을 쏟아 <동사강목>이란 역사책을 썼다.
② 권칠신, 이가환, 이벽 : 이익과는 다르게 서양과학뿐만 아니라 천주교에 대해서도 찬성하던 이익의 제자들이었다.
③ 신후담, 안정복 : 천주교를 반대한 이익의 제자들이었다.
④ 윤동규, 이중환 : 지리에 대한 연구가 뛰어났던 이익의 제자들이다
그의 학문은 이후 다산 정약용에게까지 이어져 커다란 진전을 이루게 된다.
Ⅳ. 결론
성호이익은 그의 사상적 이념적 기반인 성리학에 있으면서도 실사구시 정신을 계승해 조선후반기의 실학의 물꼬를 튼 인물이다. 이익은 토지를 바탕으로 한 정치 경제 사회적 개혁을 꿈꾼 학자이며 서민대중의 후생안민을 위한 방안에 힘쓴 학자였다.
(3) 조세론
이익은 백성이 있는 곳에 국가가 있고, 국가가 있는 곳에는 경비가 필요하게 마련이니 조세의 징수는 불가피하다 하였다. 특히 당시는 국가예산의 편성과 집행에 질서가 없었고, 서리(胥吏)는 급료가 없거나 아주 적었기 때문에, 서리의 부정행위를 막을 수 없었다. 그리하여 이익은 불공평한 과세를 바로잡고 서리의 부정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세제(稅制)를 바로잡고 서리의 급료를 제대로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이익은 당시 전세부담률이 기존의 토지생산물의 20분의 1에서 10분의 1수준으로 인상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렇게 하면 국가의 세입이 증가하여 관리의 대우개선으로 인한 부정행위를 막을 수 있고 백성들은 각종 무상 부역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Ⅲ. 성호학파
평생을 고향에서 농민들과 함께 호흡하며 학문에 열중한 그는 인근에 명성이 자자하였다. 그러자 이웃 고을들에서 제자 되기를 청하며 찾아오는 이가 많았다. 그의 문하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많이 배출되어 학해(學海)를 이룰 정도였다. 그들은 스승의 뜻을 이어 실학사상의 확산에 힘쓰게 된다.
① 안정복 : 이익의 역사의식은 안정복에게 영향을 끼쳤다. 안정복은 역사연구에 힘을 쏟아 <동사강목>이란 역사책을 썼다.
② 권칠신, 이가환, 이벽 : 이익과는 다르게 서양과학뿐만 아니라 천주교에 대해서도 찬성하던 이익의 제자들이었다.
③ 신후담, 안정복 : 천주교를 반대한 이익의 제자들이었다.
④ 윤동규, 이중환 : 지리에 대한 연구가 뛰어났던 이익의 제자들이다
그의 학문은 이후 다산 정약용에게까지 이어져 커다란 진전을 이루게 된다.
Ⅳ. 결론
성호이익은 그의 사상적 이념적 기반인 성리학에 있으면서도 실사구시 정신을 계승해 조선후반기의 실학의 물꼬를 튼 인물이다. 이익은 토지를 바탕으로 한 정치 경제 사회적 개혁을 꿈꾼 학자이며 서민대중의 후생안민을 위한 방안에 힘쓴 학자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