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장끼전이란?
장끼전의 유래
작자
주제
주요 인물
갈래
성격
장끼전의 특징
문체 및 표현
※구성과 줄거리
Ⅱ.장끼전에 나타난 수절과 개가의 문제
(1) 조선후기 정절 이데올로기의 확산
(2) <장끼전>에 나타난 수절과 개가
장끼전의 유래
작자
주제
주요 인물
갈래
성격
장끼전의 특징
문체 및 표현
※구성과 줄거리
Ⅱ.장끼전에 나타난 수절과 개가의 문제
(1) 조선후기 정절 이데올로기의 확산
(2) <장끼전>에 나타난 수절과 개가
본문내용
경력도 있었다. 하지만 상층의 열녀 이데올로기가 사회의 구석구석을 감염시킨 조선후기의 상황에서, 어떠한 여성도 수절-개가 담론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조문을 핑계로 찾아 온 새들은 가장을 잃은 그녀를 쉽게 차지할 수 있는 만만한 상대로 여기고 억혼을 요구하지만 까투리는 여필종부를 운운하며 열녀 담론이 지니는 사회적 권위를 이용하여 자신을 방어한다. 하지만 여기서 ‘여필종부’는 남성에 대한 여성의 무조건적인 복종을 의미했던 원래의 뜻과는 달리, 자신에게 어울리는 남자를 선택하겠다는 의미로 변용되고 있다. 하지만 까투리는 다른 장끼가 청혼하자, 갑자기 태도를 바꾸어 주저없이 응낙하고 새 삶을 선택한다. 장끼와 개가를 하게 되는 내용은 다소 돌연하고 엉뚱한 감이 없지 않다. 그러나 까투리의 입장에서는, 뭇새들의 일방적인 요구를 거절하고 난 뒤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관점에서 주체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배우자를 선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까투리가 갈가마귀나 물오리의 청혼을 거절했던 것은, 의지할 곳 없는 과부라는 이유로 그들이 자신의 인격을 무시하고 위력과 재물등 외적 조건만을 동원하여 억지 혼인을 강요했기 때문이다. 비록 의지할 바 없게 된 연약한 여인이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무에게나 자신을 의탁할 수 없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였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까투리의 개가를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발의 차원에서만 바라보는 것은 일면적이라 할 수 있다. 단순히 수절-개가 여부의 문제에만 매몰될 것이 아니라, 가혹한 현실 앞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새로운 삶을 개척해 나가는 주체적인 여인의 모습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요컨대, 봉건적 생활윤리를 강제함으로써 사회적 약자를 통제해 왔던 교화서의 권위를 서민층의 입장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도리어 이를 상층의 부당한 억압에 저항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봉건 지배층의 이데올로기를 단순히 수용 내지 모방하는 차원을 벗어나 그것이 지니는 허구성을 날카롭게 논파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서민예술로서 판소리 문학이 지니는 역사적 성격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장끼전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으나, 사실상의 주인공은 까투리므로 ‘까투리전’이라 부를 법하다. <여성 문제> 혹은 <여권 문제>를 다루었다고 볼 수 있는 이 작품은, 그 사회적 배경이 조선이라는 유교 봉건 사회임을 고려할 때, 상당한 진보성 내지 혁신적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문을 핑계로 찾아 온 새들은 가장을 잃은 그녀를 쉽게 차지할 수 있는 만만한 상대로 여기고 억혼을 요구하지만 까투리는 여필종부를 운운하며 열녀 담론이 지니는 사회적 권위를 이용하여 자신을 방어한다. 하지만 여기서 ‘여필종부’는 남성에 대한 여성의 무조건적인 복종을 의미했던 원래의 뜻과는 달리, 자신에게 어울리는 남자를 선택하겠다는 의미로 변용되고 있다. 하지만 까투리는 다른 장끼가 청혼하자, 갑자기 태도를 바꾸어 주저없이 응낙하고 새 삶을 선택한다. 장끼와 개가를 하게 되는 내용은 다소 돌연하고 엉뚱한 감이 없지 않다. 그러나 까투리의 입장에서는, 뭇새들의 일방적인 요구를 거절하고 난 뒤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관점에서 주체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배우자를 선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까투리가 갈가마귀나 물오리의 청혼을 거절했던 것은, 의지할 곳 없는 과부라는 이유로 그들이 자신의 인격을 무시하고 위력과 재물등 외적 조건만을 동원하여 억지 혼인을 강요했기 때문이다. 비록 의지할 바 없게 된 연약한 여인이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무에게나 자신을 의탁할 수 없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였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까투리의 개가를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발의 차원에서만 바라보는 것은 일면적이라 할 수 있다. 단순히 수절-개가 여부의 문제에만 매몰될 것이 아니라, 가혹한 현실 앞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새로운 삶을 개척해 나가는 주체적인 여인의 모습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요컨대, 봉건적 생활윤리를 강제함으로써 사회적 약자를 통제해 왔던 교화서의 권위를 서민층의 입장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도리어 이를 상층의 부당한 억압에 저항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봉건 지배층의 이데올로기를 단순히 수용 내지 모방하는 차원을 벗어나 그것이 지니는 허구성을 날카롭게 논파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서민예술로서 판소리 문학이 지니는 역사적 성격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장끼전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으나, 사실상의 주인공은 까투리므로 ‘까투리전’이라 부를 법하다. <여성 문제> 혹은 <여권 문제>를 다루었다고 볼 수 있는 이 작품은, 그 사회적 배경이 조선이라는 유교 봉건 사회임을 고려할 때, 상당한 진보성 내지 혁신적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천자료
장끼전- (현실우의의 기법과 소설적 재미)
<장끼전> 작품 분석
『장끼전』의 교육적 활용 방안 -<장끼전>이 지니는 사회적 함의를 중심으로
<장끼전>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장끼전] 우화소설 장끼전의 줄거리, 시대적 배경, 장끼전의 특징, 장끼전을 통해 살펴본 우...
풍자, 흐르는 말 속에 칼이 있다.- 흥부전, 호질, 장끼전을 중심으로 -
[판소리계 고전소설 장끼전]판소리계 고전소설 장끼전의 줄거리, 판소리계 고전소설 장끼전의...
소설 <장끼전>을 통해 바라본 조선과부의 삶과 개가금지 비판.
소설 장끼전을 통해 바라본 조선과부의 삶과 개가금지 비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