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몰입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 몰입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주제선정의 이유 ………………………………………………………………… 1

Ⅱ. 영어몰입교육 정책의 대두와 진행 과정 …………………………………… 1

Ⅲ. 몰입 교육이란 무엇인가? …………………………………………………… 1

Ⅳ. 우리나라에서의 영어몰입교육과 그 문제점 ……………………………… 3

Ⅴ. 대안 …………………………………………………………………………… 5

Ⅵ. 결론 ……………………………………………………………………………… 6

【참고문헌】 ………………………………………………………………………… 7

본문내용

기술을 터득하도록 도우며 영어권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등 영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신장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2. 국가 경쟁력 향상의 측면
영어 몰입 교육이 제안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인 ‘국가 경쟁력’을 향상을 위해서는 이와 같은 현행 제도의 개선과 아울러, 공교육의 정상화와 대학 교육의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 국가 경쟁력 향상은 영어 실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고등 사고 능력의 신장과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
인간은 모국어로 사유하며 아무리 영어에 능통해도 사유는 한국어로 하는 법이다. 중요한 것은 일단 자기 언어로 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확장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다. 일본은 공교육의 경우 문법과 독해 중심의 영어 교육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벙어리 영어 사용자’를 양산했으나, 국가적으로 번역 사업에 중점을 두어 웬만한 책은 두 세 달 만에 자국어 번역이 나오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덕분에 유학을 가지 않아도 될 정도의 자생력을 갖게 되어, 일본은 경제뿐만 아니라 순수 학문에 이르기까지 경쟁력 있는 정보와 지식을 갖춘 ‘영어 못하는 선진국’이 되었다.
이런 사례에서 보듯이 중요한 것은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중요한 것은 영어 그 자체가 아니라 지식에 대해 얼마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가, 그리고 고등 사고 능력이 얼마나 신장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본의 경우처럼 번역 사업을 확대 실시하여 고급 지식에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대학교육의 경쟁력을 제고해야 국가 경쟁력 향상의 단초가 만들어 질 수 있다.
Ⅵ. 결 론
영어 몰입 교육은 세계적으로 봤을 때 일반적으로 다중 언어 사회에서 적용되던 교육법으로, 대체로 구성원들 간의 동일성을 유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과 다소 동떨어져 있는 측면이 크다. 이것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회 문화 언어적 환경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그리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게다가 영어 몰입 교육이 도입될 경우 생길 수 있는 현실적인 측면에서의 정책적 고려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영어 몰입 교육을 공교육에서 추진한다는 것은 졸속적이라는 비난을 받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영어 몰입 교육은 단순히 영어 교육을 강화하자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이야기다. 다른 과목까지 영어로 수업을 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다른 과목의 학업 성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국가 교육 체계 전반을 재검토해야 하는 일인 것이다.
단순히 민족 정체성을 지키자는 감상적 측면을 배제하고 보더라도 영어 몰입 교육은 그것이 내세우고 있는 국가 경쟁력 향상과는 동떨어져 있다. 현재와 같이 사회 문화 언어적 환경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상황에서 실시될 경우, 영어 몰입 교육은 국가 경쟁력을 더 하락시킬 지도 모를 위험성을 안고 있다.
따라서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공교육차원에서의 영어 몰입 교육보다는 현행 영어 교육 시스템을 21세기 지식 정보화 시대에 맞도록 개선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참고 자료
노경희(2008). “몰입교육, 초등영어교육이 나아갈 방향인가?”.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회보 제 24호, 11-15.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민찬규(2008). “영어 몰입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영어교과 교육 7권 1호, 109~123. 한국 영어교과 교육학회.
박휴용(2008). “영어몰입프로그램의 공교육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언어학 제 16권 1호, 131~158. 사회언어학회.
유석재(2008). “영어 ‘몰입’의 함정”. 철학과 현실 2008년 봄, 89~95.
이병민(2008). “영어에 부여된 과잉가치를 걷어내자”. 월간 말 2008년 3월호, 58~63. 월간 말.
진중권(2008). “반론은 영어로만 받겠습니다”. PRESSian. 2월 2일.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80202034351&Section= 에서 2008년 11월 28일 인출.
주간조선(2008). “당신도 꼭 알아야 할 MB주요 정책 20 무엇이 어떻게 달라지나”. 10월 6일. http://weekly.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9/30/2008093001322.html에서 2008년 11월 28일 인출.
EBS(2008). “경쟁력의 조건”. 지식채널 e. 2월 25일.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2.16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6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