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마찰계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마찰계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마찰계수, 동마찰계수 Table
2. 자유진동
3. 충격량
4. Graph
5. 고찰

본문내용

동마찰계수에 을 한 값을 취한다. 그러나 우리의 실험에서는 오히려 동마찰계수가 정마찰계수보다 크게 나왔는데, 막대바의 정확한 마찰계수를 몰라도 이것으로부터 실험으로 구한 정마찰계수와 동마찰계수가 오차가 크게 발생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첫 번 째로, 정마찰실험에서 그 오차 원인에 대해 생각을 해보면 가장 큰 오차의 이유로 먼저 막대바가 미끄러지기 시작한 순간의 각도를 사람이 눈으로 확인해야 했기 때문에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 점이 있다. 또한 막대바의 표면상태를 오차의 원인으로 들 수 있는데, 막대바의 표면상태가 불규칙하게 부식되어 있어서 마찰계수가 모든면에서 일정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미세하겠지만, 베드의 수평을 맞출 때 수평계가 없어 조교님의 기억으로 베드의 수평을 맞췄는데, 이때 베드가 완벽한 수평을 이루지 않고 있는 점도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동마찰계수 측정실험에서는 무엇보다 주기를 측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가장 큰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막대바가 좌우로 움직이는 주기의 시작점과 끝점이 분명하지 않아 사람이 눈으로 주기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신뢰성이 의심되기 때문이다. 또한 rpm이 증가함에 따라 주기의 불분명한 정도가 더욱 커졌는데, 따라서 고rpm에서 얻은 결과값은 저rpm에서 얻은 결과값 보다 그 정확성이 더욱 떨어질 것이다.
마지막 실험인 충격량 실험은 힌지에 연결 된 충격 해머로 진동 장비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생기는 파형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여 기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그래프화해 이론식을 통해 물리량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우선 이론식을 토대로 자유진동으로부터 얻은 질량은 2.343kg이고 충격량으로부터 얻은 질량은 2.1385kg으로 앞에 실험에 비해 비교적 적은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런 적은 오차의 원인은 앞에서 정마찰계수와 동마찰계수 측정실험에서는 데이터값을 사람 눈으로 확인하는데 반해, 이 실험에서는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래도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는데 이 오차의 원인은 아마 실험장치로 부터 발생했을 것이다. 이론식에서는 힌지에 연결된 해머에 대한 모든 저항을 무시했는데 실제 실험에서는 힌지 부분에서 발생하는 마찰과 해머가 떨어지는 동안 공기와 발생하는 마찰로부터 에너지손실이 발생했을 것이다.
비록 오차가 많이 발생한 실험이었지만 다른 실험들에 비해 이론식이 실제 실험의 모습과 비슷해 물리량들의 의미를 체감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2.24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7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