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미생물학실험_report_4_(박테리아 생장곡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병원미생물학실험_report_4_(박테리아 생장곡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Subject
2. Object
3. Principle
4. Apparatus & Reagents
5. Procedure
6. Result
7. 고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기한 후, 배양액 1ml을 채취 후 삼각 플라스크는
shaking incubator에 배양한다.
4. 채취 한 배양액 1ml은 t0를 108 접종 한 조는 104, 105, 106으로 각각 희석하고, 106
을 접종 한 조는 102, 103, 104으로 희석 하여 500ul over-lay한다.
5. incubator(37℃, 16hr)에서 배양 후, 셀 수를 측정한다.
(0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7시간)
( 2시간 간격으로 TSB액상 배지가 든 삼각 플라스크를 shaking incubator에서 꺼내 과정 4, 5를 반복한다. 단, 마이크로 튜브의 표기는 시간마다 다르게 한다. )
6. Result
1조의 Enterococcus균을 희석하여 overlay 도말 결과
희석배수가 높아짐에 따라 균수가 현저히 감소한다.
2조의 Enterococcus균을 희석하여 overlay한 결과
희석배수는 각기 다르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수가 증가했으며,
아래 세 개의 배지에는 균이 자라지 않은 빈 공간이 관찰된다.
1조, 2조의 균수 측정 자료이다.
수가 크므로 10의 계승을 맞춰(1조는 104, 2조는 106으로) log 값을 취해보면
위와 같은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보면 아래와 같다.
(0hr의 균 수가 다른 이유는 희석배수가 다르기 때문, 1조는 106, 2조는 108)
1,2조의 O.D값 측정자료이다.
그래프로 나타내보면 아래와 같다.
세균이 증식함에 따라 배양액은 더욱더 혼탁해지고, 따라서 O.D값은 증가한다.
1조는 그래프의 2hr에서 값이 감소하였고, 4hr부터 6hr까지 일정한 증가폭을 보이나
2조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4hr부터 증가폭이 감소했다.
2조는 2hr, 1조는 4hr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대수기임을 예측할 수 있다.
균수측정값(왼쪽)과 O.D값을 비교해보았다.
둘 다 증가하긴 하지만 증가하는 양상이 같진 않다.
생균수 측정값으로 세대 시간을 구해볼 수 있다.
: 시간‘0’에서 세포 수
: 특정시간에서의 세포 수
N: 세대수
N=(log-log)/log2
위의 식에 값을 대입 해보면
:662000(7hr), :4(0hr)
N=(5.820858-0.60206)/0.301
=17.3382세대 (약 17세대)
GT(세대시간)
=특정시간(t혹은,단위 분)/세대수(N)
역시 위의 식에 대입해보면
GT= 420분/17세대 = 25분
∴ 1조 값의 결과는 약 25분의 세대시간을 갖는다.
:662000(7hr), :4(0hr)
N=(5.342423-1.778151)/0.301
=11.84144세대 (약 12세대)
GT= 420분/12세대 = 35분
∴ 2조 값의 결과는 약 35분의 세대시간을 갖는다.
600nm
1od = 0.8 x 10^9 cells/ml
7. 고찰
이번 실험에서는 도말평판법을 이용하여 생균수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시간이 부족한 관계로 대수기 중간정도까지의 값을 측정하였다. 균 원액을 그대로 써서 접종하면 지나치게 많은 수의 균이 형성되고, 균수 측정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처음에 108짜리 1ml를 TSB배지 100ml를 넣어 106을 만든 다음, 106짜리 100㎕와 900㎕의 물을 넣고 피펫팅하여 105짜리 희석액을 만든다. 같은 방법으로 반복해서 104짜리를 만드는 연속희석법을 사용했다.
2조의 도말 결과 배지에 빈공간이 생긴 이유
overlay도말할 때 배지에 배양액 접종 후 빈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골고루 퍼뜨려줬어야 했는데, 제대로 퍼뜨리지 않아 t=7 , 104 접종배지에는 균이 아예 뭉쳐서 셀 수 조차 없는 부분도 있었다.
O.D값과 균수측정 값의 그래프가 다른 이유
이론상으로는 같은 배양액으로 같은 시간에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그래프가 같아야한다.
그러나 O.D값은 정확한 값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밀폐된 배양액에서 균은 집단 생장을 하며, 배지 속의 영양소를 소모하기도 하고 미생물의 독소나 배설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당연히 시간이 지날수록 배양액은 혼탁해진다. O.D값은 이 혼탁한 정도로 값을 측정하는데, 배양액 속에 이런 부유물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오차가 생길 수 있는 소지가 클 수밖에 없다. 좀 더 정확한 값을 얻으려면 측정 전에 배양액을 충분히 흔들어 부유물을 골고루 분산 시켰어야했다.
Cell counting을 이용하여 예측한 세대시간과 실데이터 세대시간 값 비교
대장균의 세대시간은 최적의 조건에서 20분이다. 우리가 실험했던 환경이 최적의 환경이라고 할 수 있을까? 실험 전 과정을 클린벤치에서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균의 오염 가능성은 충분히 있었다. 다른 균이 유입된다면 영양분 소모시간도 달라질 뿐만 아니라 기타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그 밖에 피펫으로 배양액을 딸 때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고, 피펫팅 역시 제대로 되지 않으면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오차가 생길 수 있는 요지는 무수히 많다. 균 또한 같은 종류라 할지라도 모두 같은 속도로 생장하진 않는다. 따라서 세대 시간의 오차는 생길 수 밖에 없다.
O.D값만으로 균수를 예상할 수 있을까?
가능하다. 600nm파장에서의 1O.D 값은 0.8 x 109 cells/ml이므로, 2조의 2hr에서의 O.D값으로 예측해보면 0.1088 x 109cells/ml 임을 알 수 있다.
8.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jsyooo?Redirect=Log&logNo=120127019514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ies_hty&ie=utf8&query=%EB%8F%99%EA%B8%B0%EC%83%9D%EC%9E%A5%20%EA%B3%A1%EC%84%A0
http://cms.daegu.ac.kr/sgpark/microbiology/%EC%83%9D%EC%9E%A5%EC%A6%9D%EC%8B%9D.htm
http://cms.daegu.ac.kr/sgpark/microbiology/세대시간예.jpg
http://blog.naver.com/tmvptufgod?Redirect=Log&logNo=30097700587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2.12.24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7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