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니클로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사례
1) UT 시리즈
2) +J
3) 유니클로는 왜 콜라보레이션을 택했는가?
2.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분석
1) 콜라보레이션의 정의
2)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효과
① 유니클로 X 빅뱅 콜라보레이션
②유니클로 X 디자이너 질 샌더와의 콜라보레이션 [+J]
3.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효과로 인한 유니클로의 성장
3. 유니클로의 성공 요인
1 )Fashion
2 )Acceptable Price
3 )Speed
4 )Trust
4.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앞으로의 방향
1)소비자들 원하는 ‘+α’ 공략이 핵심
2) 세계적 트렌드, 콜라보레이션에 편승하라
참고자료
1) UT 시리즈
2) +J
3) 유니클로는 왜 콜라보레이션을 택했는가?
2.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분석
1) 콜라보레이션의 정의
2)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효과
① 유니클로 X 빅뱅 콜라보레이션
②유니클로 X 디자이너 질 샌더와의 콜라보레이션 [+J]
3.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효과로 인한 유니클로의 성장
3. 유니클로의 성공 요인
1 )Fashion
2 )Acceptable Price
3 )Speed
4 )Trust
4.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앞으로의 방향
1)소비자들 원하는 ‘+α’ 공략이 핵심
2) 세계적 트렌드, 콜라보레이션에 편승하라
참고자료
본문내용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채용, 봉제장인, 염색장인 등의 칭호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또 중국 현지공장의 기술 및 생산지도를 철저히 관리하고, 섬유개발회사 등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기능성 소재개발을 지속한 것이 대표적 성공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바탕으로 유니클로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입고 싶은 패션'으로 소비자 들로부터 각광받는 대표적인 패스트 패션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적은 품목을 대량 생산하고 대량 소비를 이끌며 소비자들의 숨은 욕구를 만족 시킨 유니클로의 앞으로의 성장도 기대가 된다.
4.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앞으로의 방향
1)소비자들 원하는 ‘+α’ 공략이 핵심
세계적인 불황의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소비문화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 이른바 ‘하류의 상(上)’ 현상이라고 불리는 현상이다. 하류의 상은 일본의 마케팅 전문가인 미우라 아쓰시의 책 ‘하류사회’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이다.
1990년대 일본의 장기 불황으로 중산층이 급격히 붕괴되면서 대부분의 사람이 하류가 된 상황에서 그래도 남들과는 차별화하려는 사람들을 그렇게 표현했다. 불황에도 불구하고 싸지만 싸구려 티가 나지 않는 양질의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의 심리도 마찬가지란 얘기다.
한마디로 ‘거품을 뺀 실용성’으로 불황기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것이다. 유니클로의 콘셉트는 심플한 디자인과 기능을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와 맞아떨어져 일본뿐만 아니라 아시아, 미국, 유럽 등지에서도 인기를 모으고 있다.
이런 유니클로의 히트 상품들을 보면 불황기 기업들의 제품 개발이나 마케팅 전략도 눈에 들어온다. 불황으로 주머니가 가벼워졌다고 해서 소비자들이 싼 제품만 찾는 건 아니라는 게 분명하다. 소비자들이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니즈를 불황이라고 포기하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오히려 그동안 다양한 제품을 이미 경험해 본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에도 좋은 품질과 좋은 기능의 ‘보물’을 찾길 원하는지 모른다. 불황기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기업들이 되새겨 봐야 할 대목인 듯싶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들이 더욱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을 통해 기업이 서로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 내는 방식은 이제 어디에서나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면 콜라보레이션이 최근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며 주목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무엇보다, 무한 경쟁 체제 속에서 경쟁의 양상이 입체적·복합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나의 경쟁상대가 누구인가'가 생각의 각도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고, 미리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복잡 다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소비자가 주말에 시간을 보내기 위해 유니클로에서 쇼핑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가정해 보자. 이때 유니클로의 경쟁사는 어디일까? 자라(Zara) 정도라고 생각하는가? 그렇지 않다. 경쟁의 범위를 넓게 본다면 게임방,노래방,서점도 경쟁자가 될 수 있다. 즉 '쇼핑을 하는 소비자'에서 '여가를 보내는 방법을 고민하는 소비자'로 관점을 확대해서 '소비자가 쇼핑을 하는 동기에 대한 근본적인 니즈'를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는 요즘, 영역을 뛰어넘어 소비자에게 제품을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드는 방법이 바로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핵심이다.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이 뜨는 또 다른 이유는 이제 단일 제품이나 서비스로는 차별화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다양한 제품이 고객을 유혹하고 있다. 그러나 기능이 좋은 최첨단의 상품이라도 단 몇 개월만 지나면 경쟁사의 비슷한 제품과 경쟁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은 소비자를 보다 쉽게 우리 브랜드의 고객으로 유입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된다.
2) 세계적 트렌드, 콜라보레이션에 편승하라
콜라보레이션을 기업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성공적인 콜라보레이션은 목표와 방향이 뚜렷해야 한다. 콜라보레이션은 두 기업 간 유형적인 제품을 넘어, 무형의 자산인 혁신과 혁신, 그리고 서로의 비전과 비전을 콜라보레이션 해야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두 기업이 같은 비전을 가지고 비즈니스를 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상적인 콜라보레이션은 두 기업의 사람들이 벽을 허물고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적 교류와 공동활동을 통해 친밀감과 신뢰를 쌓아가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얻은 이윤을 함께 나누어 상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신의 기업의 이윤만 추구하려 하지 말고, 상대 기업과 함께 '공생' '공존' 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이제 기업은 무조건 일방적인 아웃소싱에만 의존하기보다 새로운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지 적극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콜라보레이션은 아웃소싱을 대체할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업 부문을 단순하게 아웃소싱해서는 시너지를 얻기 어려울 수 있고, 아웃소싱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1+1=2'식의 단순한 전략밖에 수립할 수 없다.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은 기업이 독자적으로 살아남겠다는 생각을 뛰어넘어, 고객들에게 다양하고 색다른 세상을 전달하겠다고 하는 의지를 기본으로 한다. 이는 기업에 새로운 성공신화를 안겨줄 것이다.
참고자료
www.uniqlo.kr/
www.uniqlo-ut.com/
www.fi.co.kr/ (패션인사이트) [유니클로, ‘질샌더’ 날개 달고 훨훨]
http://cafe.naver.com/westwoodman
「패션산업에서의 콜라보레이션 전략」, 조현아, 명혜진, 장남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05 제5권 제1호
http://okfashion.co.kr/index.cgi?action=detail&number=8306&thread=81r15
http://cfactory.tistory.com/160
http://blog.naver.com/papyrus503/70075177786
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10520001009&subctg1=10&subctg2=00
이러한 요인들을 바탕으로 유니클로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입고 싶은 패션'으로 소비자 들로부터 각광받는 대표적인 패스트 패션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적은 품목을 대량 생산하고 대량 소비를 이끌며 소비자들의 숨은 욕구를 만족 시킨 유니클로의 앞으로의 성장도 기대가 된다.
4.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앞으로의 방향
1)소비자들 원하는 ‘+α’ 공략이 핵심
세계적인 불황의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소비문화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 이른바 ‘하류의 상(上)’ 현상이라고 불리는 현상이다. 하류의 상은 일본의 마케팅 전문가인 미우라 아쓰시의 책 ‘하류사회’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이다.
1990년대 일본의 장기 불황으로 중산층이 급격히 붕괴되면서 대부분의 사람이 하류가 된 상황에서 그래도 남들과는 차별화하려는 사람들을 그렇게 표현했다. 불황에도 불구하고 싸지만 싸구려 티가 나지 않는 양질의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의 심리도 마찬가지란 얘기다.
한마디로 ‘거품을 뺀 실용성’으로 불황기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것이다. 유니클로의 콘셉트는 심플한 디자인과 기능을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와 맞아떨어져 일본뿐만 아니라 아시아, 미국, 유럽 등지에서도 인기를 모으고 있다.
이런 유니클로의 히트 상품들을 보면 불황기 기업들의 제품 개발이나 마케팅 전략도 눈에 들어온다. 불황으로 주머니가 가벼워졌다고 해서 소비자들이 싼 제품만 찾는 건 아니라는 게 분명하다. 소비자들이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니즈를 불황이라고 포기하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오히려 그동안 다양한 제품을 이미 경험해 본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에도 좋은 품질과 좋은 기능의 ‘보물’을 찾길 원하는지 모른다. 불황기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기업들이 되새겨 봐야 할 대목인 듯싶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들이 더욱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을 통해 기업이 서로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 내는 방식은 이제 어디에서나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면 콜라보레이션이 최근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며 주목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무엇보다, 무한 경쟁 체제 속에서 경쟁의 양상이 입체적·복합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나의 경쟁상대가 누구인가'가 생각의 각도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고, 미리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복잡 다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소비자가 주말에 시간을 보내기 위해 유니클로에서 쇼핑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가정해 보자. 이때 유니클로의 경쟁사는 어디일까? 자라(Zara) 정도라고 생각하는가? 그렇지 않다. 경쟁의 범위를 넓게 본다면 게임방,노래방,서점도 경쟁자가 될 수 있다. 즉 '쇼핑을 하는 소비자'에서 '여가를 보내는 방법을 고민하는 소비자'로 관점을 확대해서 '소비자가 쇼핑을 하는 동기에 대한 근본적인 니즈'를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는 요즘, 영역을 뛰어넘어 소비자에게 제품을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드는 방법이 바로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핵심이다.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이 뜨는 또 다른 이유는 이제 단일 제품이나 서비스로는 차별화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다양한 제품이 고객을 유혹하고 있다. 그러나 기능이 좋은 최첨단의 상품이라도 단 몇 개월만 지나면 경쟁사의 비슷한 제품과 경쟁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은 소비자를 보다 쉽게 우리 브랜드의 고객으로 유입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된다.
2) 세계적 트렌드, 콜라보레이션에 편승하라
콜라보레이션을 기업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성공적인 콜라보레이션은 목표와 방향이 뚜렷해야 한다. 콜라보레이션은 두 기업 간 유형적인 제품을 넘어, 무형의 자산인 혁신과 혁신, 그리고 서로의 비전과 비전을 콜라보레이션 해야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두 기업이 같은 비전을 가지고 비즈니스를 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상적인 콜라보레이션은 두 기업의 사람들이 벽을 허물고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적 교류와 공동활동을 통해 친밀감과 신뢰를 쌓아가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얻은 이윤을 함께 나누어 상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신의 기업의 이윤만 추구하려 하지 말고, 상대 기업과 함께 '공생' '공존' 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이제 기업은 무조건 일방적인 아웃소싱에만 의존하기보다 새로운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지 적극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콜라보레이션은 아웃소싱을 대체할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업 부문을 단순하게 아웃소싱해서는 시너지를 얻기 어려울 수 있고, 아웃소싱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1+1=2'식의 단순한 전략밖에 수립할 수 없다.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은 기업이 독자적으로 살아남겠다는 생각을 뛰어넘어, 고객들에게 다양하고 색다른 세상을 전달하겠다고 하는 의지를 기본으로 한다. 이는 기업에 새로운 성공신화를 안겨줄 것이다.
참고자료
www.uniqlo.kr/
www.uniqlo-ut.com/
www.fi.co.kr/ (패션인사이트) [유니클로, ‘질샌더’ 날개 달고 훨훨]
http://cafe.naver.com/westwoodman
「패션산업에서의 콜라보레이션 전략」, 조현아, 명혜진, 장남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05 제5권 제1호
http://okfashion.co.kr/index.cgi?action=detail&number=8306&thread=81r15
http://cfactory.tistory.com/160
http://blog.naver.com/papyrus503/70075177786
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10520001009&subctg1=10&subctg2=00
키워드
추천자료
SPA 의류 유니클로의 성공요인과 전략
스파오SPAO 마케팅사례분석 파워포인트<영문자료>
자라 ZARA 마케팅사례와 경영성공요인 -세계적인 의상 체인
유니클로(uniqlo)의 경영전략 분석
유니클로 SWOT 분석, 유니클로 STP 분석, 유니클로 4P 분석, 유니클로 기업분석, 경쟁사 분석
패스트패션 FastFashion 개념,사업현황,패스트패션 SPA브랜드의 마케팅전략분석- FOREVER21(...
패스트패션 개념과 FOREVER21(포에버21) 마케팅사례분석
오감마케팅_사례발표
블랙야크 vs 노스페이스 경영전략,마케팅전략 비교분석및 두브랜드 마케팅실패사례분석과 블...
UNIQLO 유니클로 브랜드분석과 경영전략분석및 현 문제점분석과 해결방안제안
「유니클로 (Uniqlo)」 유니클로의 한국 진출, 유니클로 산업구조분석, SWOT 분석, 유니클로 ...
ZARA 자라 기업분석과 자라 글로벌(중국,한국) 마케팅성공사례분석및 자라 새로운전략 제안
SNS 활용 기업의 마케팅 사례
ZARA 자라 마케팅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