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사랑의 시작
제 2절 사랑의 능력과 애착관계
제 3절 사랑과 심리적인 성숙간의 관계
제 4절 사랑의 능력
제 2절 사랑의 능력과 애착관계
제 3절 사랑과 심리적인 성숙간의 관계
제 4절 사랑의 능력
본문내용
이것은 나중에 다른 사람과 성숙한 사랑을 하는데 꼭 필요함
(3)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특성
①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주는 사랑을 인정하고, 기꺼이 받아들임
② 다른 사람에게 깊은 사랑을 느낄 줄 앎
③ 사랑하는 사람과 정서적으로는 친밀하면서도 각자의 개성을 인정해주며 상대방으로 인하여 압도당하지 않음
-> 결별과 화합의 미묘한 균형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가 됨
2)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유형
(1) 부모가 부정적인 태도로 양육함
. 부정적인 태도
: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자아상
: 자신에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완벽성을 요구하는 부모에게서 나타남
. 완벽성의 기준을 어린 자녀들에게도 적용
. 자녀에게 실수할 기회나 권리를 허용하지 않고, 실수에 대해 무조건 질책
-> 자신에 대한 열등감, 부정적 자아상 형성, 수행불안에 걸림
-> 다른 사람의 사랑을 진심으로 받아들이지 못함
(2) 사랑이 부족한 가정에서 양육 받음 (일관성 있는 사랑 받지 못함)
① 사랑이 풍부한 가정에서 자란 사람들보다 덜 행복함
② 인생의 중요한 요소로서 사랑의 가치를 아주 조금밖에 인정하지 않음
③ 사랑이 관련되는 상황이나 인간관계를 회피함
(3) 과잉 보호
. 사랑을 무절제하게 받음
. 의존적으로 성장하여, 성인이 되어서도 유아기 단계 이상의 정서적 성장이 불가능
제 4절 사랑의 능력
1) 정신건강, 자아정체감의 건전성
. 인간의 정신건강 위상과, 사춘기 전후에 결정적으로 형성되는 자아정체감의 건전성 여부와 밀접한 관계
. 인간이 갓 태어났을 때부터 주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키워온 능력
2) 성인기의 사랑의 특성 (이성간)
. 쌍방 간에 두 사람 모두가 때로는 불안해하고, 안전을 구하는 동시에 안전과 보호를 제공
. 거의 성적 매력과 관계있으며 자웅결합 혹은 생식 기능의 역할을 함
3) 결론
. 어릴 때, 부모 혹은 주변 사람들과의 원만한 애착 관계를 통해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상을 가진 사람은 자신을 사랑하듯 상대방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사랑할 줄 앎
. 이런 사람은 진실한 사랑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기꺼이 사랑을 줄 줄 아는 심리적으로 성숙한 사람
- 진정한 자기사랑은 자신의 결점을 인정하지만, 장점을 더 크게 보고 자신은 다른 사람의 사랑을 받을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기는 태도로 긍정적 자아상(self-image)을 갖고 있는 상태이다.
- 부모로부터 일관된 사랑과 긍정적인 양육을 받으면 안정된 애착관계 형성되고 정서적으로 독립성이 함양된다.
- 사랑의 능력은 인간의 정신건강 위상과, 사춘기 전후에 결정적으로 형성되는 자아정체감의 건전성 여부와 밀접하게 관계된다.
참고문헌
심리학개론 정미경, 문은식 외 3명 저 양서원
심리학개론 (마음을 이해하는 원리) 임창재 저 동문사
심리학개론 (신용일 외4인) 신용일 저 동문사
교육심리학개론 김상인 저 한국전인교육개발원
사회심리학 개론 고영복 저 사회문화연구소
기독교 상담심리학 개론 폴 마이어 저 한재희 외 5명 역 | 기독교문서선교회 |
심리학개론 학습지침서 홍대식 저 양영각
(3)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특성
①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주는 사랑을 인정하고, 기꺼이 받아들임
② 다른 사람에게 깊은 사랑을 느낄 줄 앎
③ 사랑하는 사람과 정서적으로는 친밀하면서도 각자의 개성을 인정해주며 상대방으로 인하여 압도당하지 않음
-> 결별과 화합의 미묘한 균형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가 됨
2)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유형
(1) 부모가 부정적인 태도로 양육함
. 부정적인 태도
: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자아상
: 자신에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완벽성을 요구하는 부모에게서 나타남
. 완벽성의 기준을 어린 자녀들에게도 적용
. 자녀에게 실수할 기회나 권리를 허용하지 않고, 실수에 대해 무조건 질책
-> 자신에 대한 열등감, 부정적 자아상 형성, 수행불안에 걸림
-> 다른 사람의 사랑을 진심으로 받아들이지 못함
(2) 사랑이 부족한 가정에서 양육 받음 (일관성 있는 사랑 받지 못함)
① 사랑이 풍부한 가정에서 자란 사람들보다 덜 행복함
② 인생의 중요한 요소로서 사랑의 가치를 아주 조금밖에 인정하지 않음
③ 사랑이 관련되는 상황이나 인간관계를 회피함
(3) 과잉 보호
. 사랑을 무절제하게 받음
. 의존적으로 성장하여, 성인이 되어서도 유아기 단계 이상의 정서적 성장이 불가능
제 4절 사랑의 능력
1) 정신건강, 자아정체감의 건전성
. 인간의 정신건강 위상과, 사춘기 전후에 결정적으로 형성되는 자아정체감의 건전성 여부와 밀접한 관계
. 인간이 갓 태어났을 때부터 주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키워온 능력
2) 성인기의 사랑의 특성 (이성간)
. 쌍방 간에 두 사람 모두가 때로는 불안해하고, 안전을 구하는 동시에 안전과 보호를 제공
. 거의 성적 매력과 관계있으며 자웅결합 혹은 생식 기능의 역할을 함
3) 결론
. 어릴 때, 부모 혹은 주변 사람들과의 원만한 애착 관계를 통해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상을 가진 사람은 자신을 사랑하듯 상대방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사랑할 줄 앎
. 이런 사람은 진실한 사랑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기꺼이 사랑을 줄 줄 아는 심리적으로 성숙한 사람
- 진정한 자기사랑은 자신의 결점을 인정하지만, 장점을 더 크게 보고 자신은 다른 사람의 사랑을 받을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기는 태도로 긍정적 자아상(self-image)을 갖고 있는 상태이다.
- 부모로부터 일관된 사랑과 긍정적인 양육을 받으면 안정된 애착관계 형성되고 정서적으로 독립성이 함양된다.
- 사랑의 능력은 인간의 정신건강 위상과, 사춘기 전후에 결정적으로 형성되는 자아정체감의 건전성 여부와 밀접하게 관계된다.
참고문헌
심리학개론 정미경, 문은식 외 3명 저 양서원
심리학개론 (마음을 이해하는 원리) 임창재 저 동문사
심리학개론 (신용일 외4인) 신용일 저 동문사
교육심리학개론 김상인 저 한국전인교육개발원
사회심리학 개론 고영복 저 사회문화연구소
기독교 상담심리학 개론 폴 마이어 저 한재희 외 5명 역 | 기독교문서선교회 |
심리학개론 학습지침서 홍대식 저 양영각
추천자료
2011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성숙이론 구성주의)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성숙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의 배경, 기본전제, 대표적 이론가의 주...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성숙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의 배경, 기본전제, 대표적 이론가...
2012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중간시험과제물공통1 (성숙이론과 학습이론의 비교)
2013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성숙이론과 학습이론의 비교)
아동생활지도의 이론 중 성숙이론과 정신분석이론에 근거하여 유아 생활지도시 적용방안에 대...
건전하게 적응하는 성격적 특징을 올포트의 성숙한 인간상과 마스로우의 자기실현으로 설명
대인관계가 우리 삶에서 가지는 의미와 성숙한 대인관계를 위한 중요한 점은 무엇인지 서술하...
간호지도자론] 자신이 속해있는부서 구성원성숙도를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근거 진단, ...
[유아교육과정] 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중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개념, 특...
게젤(Gesell) 성숙이론의 기본원리 및 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