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성격이란
2. 건전하게 적응하는 성격적 특징
3. 건전하게 적응하는 성격적 특징 - 올포트의 성숙한 인간상
1) 자아감의 확장
2) 다른 사람과 우호관계를 가진 자아
3) 정서적 안정감
4) 현실적 지각
5) 기술과 연구과제
6) 자아객관화
7) 일관성 있는 생의 철학
4. 건전하게 적응하는 성격적 특징 - 마스로우의 자기실현
1) 인간관
2) 동기와 욕구
3) 자아실현인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성격이란
2. 건전하게 적응하는 성격적 특징
3. 건전하게 적응하는 성격적 특징 - 올포트의 성숙한 인간상
1) 자아감의 확장
2) 다른 사람과 우호관계를 가진 자아
3) 정서적 안정감
4) 현실적 지각
5) 기술과 연구과제
6) 자아객관화
7) 일관성 있는 생의 철학
4. 건전하게 적응하는 성격적 특징 - 마스로우의 자기실현
1) 인간관
2) 동기와 욕구
3) 자아실현인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마슬로우는 정신건강에 대한 정의와 인간의 동기에 대한 이론을 도출시켰던 것이다. 마슬로우가 제시하고 있는 자아실현인에게서 보여지는 가장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특성은 아마도 인생을 명확하게 보는 능력, 인생을 자기가 원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이다. 그들은 자기의 관찰에 대하여 감상적이 아니며 보다 객관적이다. 그들은 타인이 원하는 대로 말해 주지 않으며, 타인의 행동을 왜곡하여 말하지도 않는다. 더욱이 그들은 일종의 겸손을 가지고 있다. 타인의 의견에 신중히 귀를 기울이는 것은, 자기가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며, 타인으로부터 무엇인가를 배우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어린애와 같이 선입견 또는 초기 판단없이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마슬로우는 무비판적인 지각의 유형을 ‘존재인지’ 또는 ‘B인지’ 라고 부른다. 이것은 수동적이며 사물에 대해 수용적인 견해의 형태이다.
5. 시사점
자아를 실현하는 사람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일, 과업, 의무 또는 직업에 예외없이 전념하고 있음을 마슬로우는 발견하였다. 그들은 일에 흥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열심히 일하는 것이었지만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일과 유희의 구별은 애매하게 되어 있었다. 일이란 즐겁고 기쁜 것이었다. 중요한 직업에 몰두한다는 것은 성장, 자아실현, 행복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일을 가지고 있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못하다. 자아실현은 그것을 완전히 달성하여야 하는 것이다. 마슬로우는 창의성을 그가 연구한 자아실현인 모두에게서 볼 수 있는 보편적인 특징임을 발견하였다. 창의성은 건강, 자아실현, 완전한 인간성과 거의 같은 의미이다. 창의성과 연결되어 있는 특징은 유연성, 자발성, 용기,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 개방성 그리고 겸손이다. 이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창의성은 타인의 조롱을 배우지 않은, 사물을 신선하게 무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어린이와 많은 점에서 비슷하다. 자아실현적인 창의성은 일종의 자유로움이다.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고 모순에 휩쓸리지 않는 가치관을 지니는 것은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자아실현인들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자기 갈등의 정도가 낮다는 것이다. 그들은 자기를 두려워하거나 부끄러워 하거나 자기의 실패에 좌절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가 완벽하다는 것이 아니다. 그도 역시 실패를 저지를 수 있으나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아실현인은 사회 또는 환경보다도 내적인 지시, 자기 자신의 본성, 자연적인 요구에 의해 훨씬 크게 지배되어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건전하게 적응하는 성격적 특징을 올포트의 성숙한 인간상과 마스로우의 자기실현으로 설명해 보았다. Abraham H. Maslow(1908-1970)의 이론은 한 마디로 인간에 대한 긍정의 이론이다. 그의 이론은 인간에 대한 무한 긍정의 측면에서 근원적이고 심층적인 인간의 특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즉 Maslow는 인간의 무한 잠재력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그 잠재력을 최대로 발휘했던 인간을 연구하여 그들에게서만 발견되는 특징을 밝혀냄으로써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선한 인간의 전형을 보이고자했다. 그렇기 때문에 Maslow 이론은 그 당시 심리학 이론에서 이해하는 인간, 즉 악하고 불완전한 존재로서 인간에 대한 시각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참고문헌
조한혜정(2000).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박아청(1986). Maslow: 자아실현의 심리. 교육과학사.
정영수(2004). 정신과학적 교육학. 학지사.
조성호(2000). 경계선 성격장애. 학지사.
5. 시사점
자아를 실현하는 사람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일, 과업, 의무 또는 직업에 예외없이 전념하고 있음을 마슬로우는 발견하였다. 그들은 일에 흥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열심히 일하는 것이었지만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일과 유희의 구별은 애매하게 되어 있었다. 일이란 즐겁고 기쁜 것이었다. 중요한 직업에 몰두한다는 것은 성장, 자아실현, 행복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일을 가지고 있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못하다. 자아실현은 그것을 완전히 달성하여야 하는 것이다. 마슬로우는 창의성을 그가 연구한 자아실현인 모두에게서 볼 수 있는 보편적인 특징임을 발견하였다. 창의성은 건강, 자아실현, 완전한 인간성과 거의 같은 의미이다. 창의성과 연결되어 있는 특징은 유연성, 자발성, 용기,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 개방성 그리고 겸손이다. 이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창의성은 타인의 조롱을 배우지 않은, 사물을 신선하게 무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어린이와 많은 점에서 비슷하다. 자아실현적인 창의성은 일종의 자유로움이다.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고 모순에 휩쓸리지 않는 가치관을 지니는 것은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자아실현인들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자기 갈등의 정도가 낮다는 것이다. 그들은 자기를 두려워하거나 부끄러워 하거나 자기의 실패에 좌절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가 완벽하다는 것이 아니다. 그도 역시 실패를 저지를 수 있으나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아실현인은 사회 또는 환경보다도 내적인 지시, 자기 자신의 본성, 자연적인 요구에 의해 훨씬 크게 지배되어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건전하게 적응하는 성격적 특징을 올포트의 성숙한 인간상과 마스로우의 자기실현으로 설명해 보았다. Abraham H. Maslow(1908-1970)의 이론은 한 마디로 인간에 대한 긍정의 이론이다. 그의 이론은 인간에 대한 무한 긍정의 측면에서 근원적이고 심층적인 인간의 특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즉 Maslow는 인간의 무한 잠재력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그 잠재력을 최대로 발휘했던 인간을 연구하여 그들에게서만 발견되는 특징을 밝혀냄으로써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선한 인간의 전형을 보이고자했다. 그렇기 때문에 Maslow 이론은 그 당시 심리학 이론에서 이해하는 인간, 즉 악하고 불완전한 존재로서 인간에 대한 시각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참고문헌
조한혜정(2000).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박아청(1986). Maslow: 자아실현의 심리. 교육과학사.
정영수(2004). 정신과학적 교육학. 학지사.
조성호(2000). 경계선 성격장애. 학지사.
키워드
추천자료
경제지리학의 성격(특성)
[정서장애][정서장애아][정서장애아동]정서장애(정서장애아동)의 특성과 요인, 정서장애(정서...
[백운 이규보][백운 이규보 시][찬(贊)][잠명]백운 이규보 찬(贊)의 글쓰기 특성, 백운 이규...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배경, 특성, 성격,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지역수준교육과정, ...
[공교육]교실붕괴(학교붕괴, 학급붕괴)의 개념, 배경, 원인, 교실붕괴(학교붕괴, 학급붕괴)의...
성격 유형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여가문화적 특성과 현대여가문화의 성격
관광지 연출의 정의, 특징, 성격, 특성, 종류, 필요성, 관광객 심리, 관광지 성격 파악, 부여...
성격심리학 - 올포트 생물학적 접근
[국제회의사업] 국제회의의 본질(개념,성격,종류), 컨벤션센터의 구성 및 유형, 국제회의용역...
(관광농업) 관광농업의 개념(정의)과 분류(종류), 관광농업 발전과정(발달과정) (관광농업의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노년기 발달 특성 - 노인의 개념,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
인격장애의 개념(의미)과 특성(특징), 인격장애의 분류(유형), 반사회적 인격장애(반사회적 ...
콜로세움의 미학적 특성과 로마제국의 성격_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