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와 WOCN 문헌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부와 WOCN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피부의 구조 및 기능
2. 상처간호
1) 상처의 분류
2) 상처치유의 단계
3) 상처유합의 유형
4) 상처배액의 종류
5) 상처치유에 영향을 주는 요소
6) 상처회복의 합병증
7) 상처의 사정
8) 간호진단
3. 드레싱(Dressing)
1) 드레싱의 목적
2) 드레싱의 기능 및 조건
3) 드레싱 시 유의사항
4) 드레싱 선택
5) 드레싱 제품
4. WOCN ( Wound, Ostomy, Continence Nurses )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 머지 않아 실시되는 DRG적용에 따른 재원일수의 단축과 지역사회의 방문간호사업 추진 등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장루·상처·실금전문간호사는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역할들이 요구되면서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는 전문간호영역이다.
4) 국내 상처장루실금 간호의 소개
국내에서 상처 . 장루 . 실금 간호가 처음으로 소개된 것은 1985 년 김채숙교수 ( 당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에 의해 이루어졌다 . 그 이후 1995 년부터 2004 년 현재까지 18 명의 간호사들이 세계장루간호전문가회 (WCET) 에서 인정하는 외국 교육기관에서 꾸준히 연수를 받아 , 총 25 명 (24 명 미국 , 1 명 홍콩 ) 에 이르러 최근 십년 남짓하여 상처 . 장루 . 실금 간호의 붐을 일으키고 있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 또한 이들은 현재 병원이나 지역사회 , 제품회사 혹은 프리랜서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면서 국내 상처 . 장루 . 실금 분야의 간호교육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이들 뿐 아니라 국내 전문간호과정을 통해 배출된 간호사는 대부분 본인들의 고유한 업무를 하면서 , 정해진 근무외의 시간을 활용해 자발적으로 상처장루실금전문간호사 역할도 함께 하고 있다 . 그러나 일부에서는 병원 자체적으로 상처전문간호사를 선발하거나 Clinical Nurse Practitioner 를 배치하여 장루간호나 상처간호 만을 전담하는 독립된 직위를 부여하고 있다 . 상처전문간호사는 최근 여러 병원에서 각기 호칭은 다르지만 ( 상처장루실금전문간호사 , 상처장루전문간호사 , 상처전문간호사 , 장루전문간호사 , 외과전문간호사 , Wound specialist, 외과 CNS, 상처전담간호사 , 욕창전담간호사 등 ) 서비스 대상자가 있으면 정식으로 의뢰를 받고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교육 , 상담 , 직접적인 간호를 통해 상처 . 장루 . 실금 간호를 수행하고 있다 .
또한 이들은 대한장루상처실금전문간호사회 (Korean Association of Wound, Ostomy,
Continence Nurses, KAWOCN) 를 구성하여 정기적인 모임 및 홈페이지를 통하여 서로 정보 교환을 하고 있으며 정회원의 수는 100 여명에 이른다 .
5)) 국내 상처관리 간호교육 과정
국내에서는 1987 년 서울대학교병원에 장루전문간호교육과정이 처음으로 개설되었고 1997 년에는 삼성서울병원이 'WOC 전문간호과정 ' 이란 과정명으로 국내에서 Wound 라는 용어를 프로그램명에 처음 사용하면서 강의와 실습을 병행하여 4 주 동안 운영하면서 상처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고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
그 후 한국의 상처관리 간호 교육은 실시하는 기관에 따라 교육기간과 교과과정의 차이가 있으나 주관처가 간호부서로 대한간호협회에서 보수교육으로 인정받은 교육 과정은 현재 상기에 언급한 2 개 기관 외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2001 년 개설 ), 연세의대세브란스병원 (2001 년 개설 ), 이어서 국립암센타 (2002 년 개설 ), 서울아산병원 (2003 년 개설 , 2004 년 미개설 ) 등이 차례로 전문간호과정을 운영 하여 현재 국내 총 6 개의 교육기관에서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 이 프로그램은 2~3 주 가량의 일정으로 강의와 실습을 함께 년 1~2 회 정도로 실시하였다 . 또한 아직 간호협회로부터 보수교육으로 인정받지는 않았지만 송도병원 (2001 년 개설 ) 의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 이러한 국내 교육과정을 통해 이수한 WOC Nurses(ET Nurses) 는 약 700 여명에 이르고 있다 .
특히 올해 4 월 국내에서 최초로 삼성서울병원의 상처 . 장루 . 실금 전문교육과정 '(Samsung Medical Center Wound Ostomy Continence Nursing Education Program, SMC WOCNEP) 이 WCET 로부터 국제적인 전문교육과정으로 공식 인증을 받았다 .
곧이어 8 월 국립암센타도 인증을 받음으로써 이 두 과정을 이수하게 되면 국제 상처 . 장루 . 실금 전문간호사로 인정을 받게 되며 , 각 나라가 주관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진다 . 이러한 공식 인준은 한국의 간호교육 프로그램 수준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된 계기가 되어 큰 의미가 있다 .
이외에도 대한간호협회로부터 보수교육으로 인정되어 각 병원에서 주관하는 8~10 시간 강의의 상처관리 프로그램이 16 개 장루관리가 2 개로 총 18 개 ( 대한간호협회 , 2004), 그 외에도 각 지역의 임상간호사회 (Korean Clinical Nurses Association) 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특강 형식의 상처 교육이 많이 있다 . 각 대학에서 주관하는 1 년 정도의 가정간호수습과정에서도 WOC 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 각종 중환자간호 , 재활간호 , 신경계간호 , 호스피스간호 , 종양간호 , 산업간호 , 화상간호 , 수술간호 , 소화기간호 , 심지어 신규교육 등 임상에서는 전문간호과정 , 보수교육 , 재직교육 등의 형태를 통해 교육 내용의 깊이에 따라 피부손상에 대한 기본간호부터 하지궤양이나 암 상처 등 심화 내용의 일정한 부분을 교육한다 . 또한 간호대학에서는 교과서적인 내용으로 피부의 해부 및 생리 , 상처 치유 기전 등 내용만을 언급하다가 실무와 연관된 상처 사정 , 관리 , 구체적인 드레싱 방법 등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어 특강 형식으로 간호 대학생들에게 소개되고 있다 .
현재 이러한 상처관리에 대한 교육은 간호사들 사이에 호응도가 대단히 높다 . 이를 반영하듯 2001 년 임상간호사회에서 ‘ 병원에서의 전문간호사 도입 필요성 ' 에 대해 400 병상 이상 84 개 병원 , 의사 1050, 전문간호사 178, 간호부서장 75 명 총 1303 명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 25 개 전문간호사 중 상처간호 93 점 , 당뇨 67 점 , 감염관리 63 점 , 가정간호 55 점 등으로 상처간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5. 참고 문헌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 전시자 외.
현문사 <건강사정> 최공옥 외.
정담 <기본간호학 상, 하> 김정자 외.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1.09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4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