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 i t l e
Cu(I)과 Cu(II) 화합물의 비교-Cu(I) 염화물의 제조
2. I n t r o d u c t i o n
불용성 화합물
수용성 화합물
3. P r o d u c e
4. R e s u l t
5. D i s c u s s i o n
★ Cu(I) 산화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다른 방법은?
7. R e f e r e n c e
Cu(I)과 Cu(II) 화합물의 비교-Cu(I) 염화물의 제조
2. I n t r o d u c t i o n
불용성 화합물
수용성 화합물
3. P r o d u c e
4. R e s u l t
5. D i s c u s s i o n
★ Cu(I) 산화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다른 방법은?
7. R e f e r e n c e
본문내용
것이다. 리간드가 금속과 σ결합을 형성하는 외에 π-전자 받개로 작용한다면 안정한 착물을 형성할 것이다. 금속이온의 전자밀도가 높다면 금속은 리간드에 π-전자를 좀더 용이하게 제공할 것이다. 일정한 금속에서 낮은 산화상태의 금속이온이 높은 전자밀도를 갖고 있으며, 따라서 π-결합에 좀더 쉽게 참여할 것이다. Cu+ 이온의 안정도를 증가시키는데 적당한 리간드로 황원자를 통해 배위하는 티오우레아(thiourea)가 있다.
트리스(티오우레아)구리(I) 이온의 안정도는 구리와 염화수소의 반응과 비교하여 알 수 있다. 구리와 염산간에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지만 티오우레아를 가하면 수소가 발생한다.
반쪽반응에 대한 적극 전위는 다음과 같다.
Cu+ + e- Cu0 E0=0.52V
H+ + e- 1/2 H2 E0=0(1 M HCl)
Cu0 + e- Cu+ + 1/2H2 반응이 진행되려면 위 반응 조건 하에서 Cu+ + e- Cu0 의 전극 전위는 0보다 작아야 한다. 이러한 반응은 용액에서 Cu+ 이온의 활동도가 크게 감소하면 일어날 것이다.
아래 식에서
E = 0 = E0 +
RT
ln
[Cu+]
nF
[Cu0]
T=298.15K이고 [Cu0]=1, E0 = 0.52V 이면
log [Cu+] =
0.52
= -8.8
0.0592
그러므로 용액에서 Cu+의 최대 농도는 10-8.8M 이하이다. 이 사실은 티오우레아의 존재 하에 착물을 형성하여 Cu+이온의 농도가 크게 감소한 사실을 의미한다. Ag(II)와 같은 높은 산화상태의 안정화가 일어나면 금속이온에 전자를 주므로 금속이온과 π-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리간드는 안정한 착물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이온의 전기 음성도가 크면 리간드의 π-전자를 쉽게 받는다. π-의 세기, 즉 착물의 안정도는 증가한다. 일정한 금속에서 전기 음성도는 산화상태가 커지면서 증가한다. 그러므로 높은 산화상태의 금속이온은 이러한 형태의 π-경합을 더욱더 세세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착물은 안정도가 증가하므로 용액 내의 금속이온의 농도가 감소한다.
7. R e f e r e n c e
1) 신영국 외 4인, 1998, 대학무기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pp. 151~156
2) http://my.dreamwiz.com/solarssw/DeNoxCu.html
3) http://211.57.112.1/env/%BB%E7%BA%BB%20-%20html/ham1/1-1.htm
트리스(티오우레아)구리(I) 이온의 안정도는 구리와 염화수소의 반응과 비교하여 알 수 있다. 구리와 염산간에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지만 티오우레아를 가하면 수소가 발생한다.
반쪽반응에 대한 적극 전위는 다음과 같다.
Cu+ + e- Cu0 E0=0.52V
H+ + e- 1/2 H2 E0=0(1 M HCl)
Cu0 + e- Cu+ + 1/2H2 반응이 진행되려면 위 반응 조건 하에서 Cu+ + e- Cu0 의 전극 전위는 0보다 작아야 한다. 이러한 반응은 용액에서 Cu+ 이온의 활동도가 크게 감소하면 일어날 것이다.
아래 식에서
E = 0 = E0 +
RT
ln
[Cu+]
nF
[Cu0]
T=298.15K이고 [Cu0]=1, E0 = 0.52V 이면
log [Cu+] =
0.52
= -8.8
0.0592
그러므로 용액에서 Cu+의 최대 농도는 10-8.8M 이하이다. 이 사실은 티오우레아의 존재 하에 착물을 형성하여 Cu+이온의 농도가 크게 감소한 사실을 의미한다. Ag(II)와 같은 높은 산화상태의 안정화가 일어나면 금속이온에 전자를 주므로 금속이온과 π-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리간드는 안정한 착물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이온의 전기 음성도가 크면 리간드의 π-전자를 쉽게 받는다. π-의 세기, 즉 착물의 안정도는 증가한다. 일정한 금속에서 전기 음성도는 산화상태가 커지면서 증가한다. 그러므로 높은 산화상태의 금속이온은 이러한 형태의 π-경합을 더욱더 세세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착물은 안정도가 증가하므로 용액 내의 금속이온의 농도가 감소한다.
7. R e f e r e n c e
1) 신영국 외 4인, 1998, 대학무기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pp. 151~156
2) http://my.dreamwiz.com/solarssw/DeNoxCu.html
3) http://211.57.112.1/env/%BB%E7%BA%BB%20-%20html/ham1/1-1.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