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ST Ⅱ를 적용하여 검사하고 발달상태 설명하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DST Ⅱ를 적용하여 검사하고 발달상태 설명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학습활동5-2. DDST Ⅱ를 적용하여 검사하고 발달상태 설명하기>

DDST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1. 검사배경
2. 검사목적
3. 검사구성
4. DDST의 개념상 주의사항
5. 검사 시 유의사항
6. 검사 시행절차
7. 각 항목의 결과 해석
8. 전체결과의 해석
9. 재검사 및 의뢰
10. 운동발달 지체아의 조기발견 필요성


(( 검사 시작 ))

● 검사 대상자
● 연령 계산
● 검사 시 유의사항 전달
● 검사 항목에 따른 대상자 관찰
대인-사회성
미세운동 및 적응
언어
전체운동
● 검사 결과 해석
<개인 - 사회성 발달 영역>
<미세운동 및 적응 발달 영역>
<언어 발달 영역>
<전체운동 발달 영역>

본문내용

지를 말한다.
검사방법: 단어 한 가지를 말 할 수 있는지 물어보았다.
⇒ F: 아직 단어는 말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바나나”를 말하려고 한다면 “빠빠빠”라고 하며 “딸기”는 “따따따”라고 말한다고 함.
15
단어 2가지를 말한다.
검사방법: 단어 두 가지를 말 할 수 있는지 물어보았다.
⇒ F: 아직 단어는 말하지 못함.
16
2개의 그림을 지적한다.
검사방법: 딸기와 바나나 두 그림을 놓고 아기에게 “딸기가 뭐지?” 라고 물어보았다.
⇒ R: 아기가 협조해 주지 않았다.
17
반은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한다.
검사방법: 아기가 알아들을 정도의 말을 하는지 물어보았다.
⇒ F: 단어 한 가지를 분명하게 발음하여 말하지는 못한다. 어떤 단어를 말하려 하는지는 알 수 있지만 아직까지 말을 잘 하지는 못함.
18
1개 그림의 이름을 말한다.
검사방법: 아기가 알고 있는 그림을 보여주며 “이게 뭐지?” 라고 물어보았다.
⇒ P: “따따따기” 라고 대답하였다.
전체운동
번호
연령선 왼쪽의 세부항목
검사방법 및 결과
1
대칭으로 움직인다.
검사방법: 검사를 하며 아기를 계속 관찰하였다.
⇒ P: 아기가 누워서 양 손발을 움직이며 노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2
머리를 잠시 든다.
검사방법: 검사를 하며 아기를 계속 관찰하였다.
⇒ P: 아기가 머리를 가누고 움직인다.
3
고개를 45도 든다.
검사방법: 아기보다 높은 위치에서 아기의 시선을 끌었다.
⇒ P: 아기가 고개를 비스듬히 들고 검사자를 바라보았다.
4
고개를 90도 든다.
검사방법: 달랑거리는 고리를 아기 얼굴 위쪽으로 올려 시선을 끌었다.
⇒ P: 아기가 고리를 따라 고개를 90도 각도로 들었다.
5
앉혀놓을 때 고개를 잘 가눈다.
검사방법: 앉아있는 아기를 관찰하였다.
⇒ P: 아기가 고개를 잘 가누고 앉아 있는다.
6
다리로 몸무게를 지탱한다.
검사방법: 아기를 세워놓고 관찰하였다.
⇒ P: 아기는 잘 서 있는다.
7
팔을 받치고 가슴을 든다.
검사방법: 검사를 하며 아기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 P: 아기가 두 팔을 이용하여 기어간다.
8
뒤집는다.
검사방법: 엄마에게 아기가 뒤집기를 할 수 있는지 물어보았다.
⇒ P: 할 수 있다.
9
당겨 앉힐 때 고개를 가눈다.
검사방법: 가만히 앉아있는 아기를 당겨 앉혀 본다.
⇒ P: 아기가 고개를 잘 가눈다.
10
기대지 않고 앉는다.
검사방법: 앉아있는 아기를 관찰하였다.
⇒ P: 아기는 도움 없이도 잘 앉아 있는다.
11
잡고 서 있는다.
검사방법: 아기를 일으켜 세워 보았다.
⇒ P: 쇼파를 잡고 서 있을 수 있다.
12
붙잡고 일어선다.
검사방법: 검사하는 동안 아기를 관찰하였다.
⇒ P: 아기가 낮은 선반을 잡고 일어선다.
13
혼자 일어나 앉는다.
검사방법: 아기가 혼자서 일어나 앉을 수 있는지 물어보았다.
⇒ P: 아기가 혼자 일어나기도 하고 앉기도 한다고 말하였다.
14
2초 동안 서 있는다.
검사방법: 서있는 아기를 관찰하였다.
⇒ P: 아기는 2초 이상 혼자 서 있을 수 있다.
15
혼자 잘 서 있는다.
검사방법: 서있는 아기를 관찰하였다.
⇒ P: 아기는 혼자서 잘 서 있으며 걷기도 하고 뛰기도 한다.
16
몸을 굽혔다가 바로 할 수 있다.
검사방법: 검사하는 동안 아기를 관찰하였다.
⇒ P: 아기는 스스로 몸을 굽히기도 하고 펴기도 한다.
17
잘 걷는다.
검사방법: 서있는 아기를 관찰하였다.
⇒ P: 혼자서 균형을 잡고 앞으로 잘 걸어간다.
18
뒷걸음질을 친다.
검사방법: 엄마에게 아기가 뒷걸음칠 치기도 하는지 물어보았다.
⇒ P: 뒷걸음칠 치는 것을 보았다고 하였다.
19
달린다.
검사방법: 걷는 아기를 관찰하였다.
⇒ P: 아기는 엄마를 향해 달려온다.
20
계단을 올라간다.(벽이나 난관을 잡고)
검사방법: 계단을 올라갈 수 있는지 엄마에게 물어보았다.
⇒ F: 아직 스스로는 올라갈 수 없고 엄마의 손을 잡고는 올라간다고 하였다.
21
공을 앞으로 찬다.
검사방법: 서있는 아기에게 공차는 시범을 여러번 보여주었다.
⇒ P: 발로 가볍게 공을 밀친다.
● 검사 결과 해석
대상자 “정솔민”은 자신의 연령인 18개월에 맞는 DenverⅡ 발달사정 도구를 이용 하여
검사한 결과,
<개인 - 사회성 발달 영역>
항목
P
F
연령선에 닿은 항목
1
3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
10
1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
0
0
⇒개인-사회성 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해당하는 항목 중 3개는 실패, 1개는 통과 하였고, 그 중 실패한 3개는 25~75% 범위에 있다.
결과: 현재 정상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세운동 및 적응 발달 영역>
항목
P
F
연령선에 닿은 항목
0
2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
13
2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
0
1
⇒미세운동 및 적응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해당하는 항목 중 2개는 실패, 0개 통과 하였고, 그 중 실패한 1개는 25~75% 범위에 있지만, 실패한 다른 1개는 75~90% 범위에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결과: 현재 정상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언어 발달 영역>
항목
P
F
연령선에 닿은 항목
1
F:1 , R:1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
12
2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
0
0
⇒언어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닿은 항목 중 2개는 실패, 1개는 통과 하였고, 실패 한 2 가지는 25~75% 범위에 속하므로 정상으로 간주한다.
결과: 현재 정상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체운동 발달 영역>
항목
P
F
연령선에 닿은 항목
3
1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
17
0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
0
0
⇒운동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닿은 항목 중 1개는 실패, 3개는 성공하였고, 이 중 실패한 1개는 25~75% 범위에 속하므로 정상으로 간주하며 왼쪽에 있는 항목은 모두 성공 하였다.
결과: 현재 정상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사회성 발달 영역, 언어발달 영역, 운동 발달영역인 4가지 영역에서 지연항목과 기회없음 항목은 없었으며, 미세운동 및 적응발달영역에서 주의항목이 1개 있었다. 또한 이 4가지 모든 항목에서 월등한 항목은 없었다.
따라서 대상자의 현재 발달 상태는 정상(Normal)발달 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1.21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9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