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룸 테크놀로지 [In-room Technology]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룸 테크놀로지 [In-room Technology]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In-room Technology
 1. In-room Technology의 정의
 2. In-room Technology의 필요성
 3. In-room technology의 장․단점
  1) 장 점
  2) 단 점

제 3 장 In-room technology 회사소개
 1. 루 넷 (roonets)
  1) TBIS의 고객 가치
  2) TBIS의 호텔 가치
 2. 매지넷(maginet)
  1) MIV ((Maginet Interactive Video)
  2) MITV ((Maginet Internet TV)
  3)MLC (Maginet Laptop Connect)
  4)IRIS (In-Room Information System)

제 4 장 P M S
 1. P M S(Property Management System) 의 정의
 2. P M S 의 운영
 3. P M S (Property Management System) 제공기능
 4. PMS 인터페이스 기술

제 5 장 호텔 정보시스템
 1. 호텔 정보시스템의 발전과정
  1) 수동화 시스템( ~ 1959)
  2) 반자동화 시스템(1960~197  4)
  3) 자동화 시스템(1975 ~ )
 2. 호텔정보시스템의 정의와 목적
  1) 호텔정보시스템의 정의
  2) 호텔정보시스템의 목적
 3. 호텔정보시스템의 구성
  1) Front Office Sytem
  2) 백오피스시스템(Back Office System)
  3) POS 시스템
  4) 인터페이스 시스템(Interface System)

제 6 장 호텔정보시스템의 호텔사례
 1. 모듈러 하이테크: 시티즌M(CitizenM)
 2. 미트패킹 디스트릭트 속의 럭셔리함: 호텔 갱스부르(Hotel Gansvoort)
 3. 움직임 감지 서비스: 호텔 1000(Hotel 1000)
 4. 외국계 체인호텔, 표준화된 패키지 프로그램 다수
 5. 하얏트·힐튼 호텔, 호텔경영진의 IT투자 적극적
 6. 비즈니스 호텔, 신기술 지원 활발
 7. 신라·조선·롯데·워커힐, 자체 시스템 개발

제 7 장 In Room Technology의 미래
 1. 객실 키 자동 지급 시스템의 도입

제 8 장 결 론

본문내용

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기계장치는 주변환경의 안락한 온도조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정시간 에너지 공금을 중단시킬수 있다. 에너지 요구사항 조절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창고 적정량에 의해 제한을 두고 사용수준을 유지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프로그램에 의해 조절되는 장치기구는 좋은 환경으로 제공되는 과정에서 멈출 수도 있다.
② 작업순환(Duty Cycling)
각 시간마다 일정시간 순차적인 방법으로 기계장치를 소등한다. 난방·통풍과 냉방 시스템(HVAC; Heating`Ventilation&Airconditioning) 시스템이 안락한 공간온도를 유지하면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순환은 과열하지 않고 빈번하게 점등·소등할 수 없는 대형 모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③ 객실점유센서(Room Occupancy Sensor)
객실의 물리적인 재실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적외선 전등 혹은 초음파를 사용한다. 감지되는 공간에 고객이 들어오면 센서는 전등, 냉방장치, 난방장치 등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점등한다. 고객이 객실을 떠나면 센서가 작용하여 10초 이내에 전등을 소등하거나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한다. 양창식, 호텔정보시스템, 백산출판사, 2002
이런 원리로 고객이 객실이나 다른 영업장을 입실할 때마다 감응기는 자동적으로 빛의 발산, 공기상태, 열 장치 등의 모든 에너지를 가동한다. 만약 객실점유율이 50%라고 하면 총객실을 대상으로 효율적이고 전반적인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작동하여 호텔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해야 한다. http://cafe.daum.net/hotelis
(4) 부가서비스(Auxiliary guest service)
호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가 서비스 중 하나는 모닝콜(wake-up call)이다. 또한 부재중인 고객을 위한 메시지 전달로써 TV나 전화 램프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한다.
① 모닝콜 시스템(Morning Call System)
Morning Call또는 Wake up Call 이라고도 하며, 객실고객이 아침에 일어나는 시간을 통보해주는 시스템으로 고객이 원하는 기상시간을 교환실에 부탁하면 컴퓨터시스템에 모닝콜을 부탁한 객실과 시간을 입력하게 되며, 이 자료에 의해 자동적으로 고객에게 통보하게 된다.
② 보이스메일시스템(Voice Mail System)
고객이 객실을 비운사이 중요한 전화가 오게 되면 일정한 신호가 가고 자동적으로 부재중이면 메시지를 남기라는 안내방송이 나온다. 객실에 설치된 전화기는 일반 가정용하고는 조금 차이가 있는데 그 이유는 음성사서함 기능과 메시지 전달기능을 위해서 전화기 앞면에 빨간 램프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객실에 돌아온 고객은 전화기에서 발산하는 빨간색 램프를 보고 메시지가 왔다는 사실을 알게되며 확인을 하게 된다.
③ 고객호출시스템(Calling Name Display System)
객실고객이 객실에서 호텔내의 어느 영업장에 관계없이 전화를 하게 되면 영업장에 부착된 전화기나 별도의 매개체에 의해 해당 객실번호와 고객 성별 및 성명이 나타나며, 종사원은 고객 확인과 동시에 인사와 이름을 부르면서 보다 친근감있는 서비스로 응대하게 된다. 이러한 고객의 자료도 이미 입력된 프론트 오피스시스템의 자료와 연계된다.
(5) 고객작동장치(Guest-operated device)
대부분의 경우 기기들은 호텔의 직원들에 의해서 사용되나 몇몇 기기들은 고객들이 직접 작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되며, 이러한 기기들은 객실내부 혹은 로비와 같은 공공장소 등 목적에 적합한 장소에 설치된다.
① 셀프 체크인/체크아웃(Self check-in/check-out)
호텔의 직원이 아닌 고객에 의해 투숙 및 퇴숙절차를 진행하는 기기로서 주로 로비와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된다. 흔히 볼 수 있는 시스템은 아니며 전산화에 대한 관심 및 투자가 높은 몇몇 호텔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상용고객이 주요고객인 호텔의 경우 셀프 체크인/체크아웃 기기를 도입한 호텔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시스템은 고객이 사전에 예약을 해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신용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고객이 신용카드를 기기에 삽입한 후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단말기는 PMS와의 통합을 통해 사용가능한 객실유형 및 객실가격을 화면에 제시하게 된다. 고객이 객실유형을 결정하게 되면, 기기는 자동으로 키카드를 고객에게 제시하거나, 키카드를 받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게 된다. 퇴숙 시에는 마찬가지로 고객이 투숙할 때 사용한 신용카드 혹은 키카드를 기기에 삽입하면, 기기는 고객의 폴리오를 화면에 제시하게 된다. 고객의 승인에 의해 호텔에 지불할 금액이 신용카드계좌로 청구되고 영수증이 발근된다. 김동진, 관광정보의 이해, 백산출판사, 2003
② 객실내 소형냉장고시스템 (In House Mini-Bar System)
일반적으로 미니바(Mini Bar)라고 일컫는 객실 내에 비치되어있는 작은 냉장고, 및 물품판매대이다. 각종 음료수, 안주류, 스낵류, 잡화등 다양한 상품을 진열하고 있다. 냉장고에 비치된 음료수 종류는 센서기를 달아서 음료수를 끄집어 낼 때마다 자동적으로 품목명과 개수, 가격이 계산되어 프론트오피스시스템의 고객계정으로 이체된다.
불편한 점은 고객이 한번 선택하면 다른 품목으로 변경하는 불편의 어려움이 따름으로 신중하게 생각하고 선택하여야 한다. 미니바의 자동화원리도 사설교환장치와 프론트오피스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할 경우에 일어나며, 미니바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끔 중간에 설치된 미니바 소프트웨어에 의해 각종 경영보고서가 출력된다.
선진국에서는 자동자판기를 복도에 설치해서 인건비를 감소시키는 차원에서 미니바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냉장고로부터의 품목소비는 매일 모니터 되고 고객폴리오에 등재된다. 과거에 이것은 객실에 들어와서 냉장고의 내용물을 체크하는 호텔스텝이나 소비한 품목을 고객을 통해 확인하는 아너시스템(honor system)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런 방법 모두는 비효율적이다. 첫 번째 방법은 노동집약적이고 또한 고객에게 방해가 된다. 두 번째 방법은 고객의 정직성에 의지하는 것으로
  • 가격4,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13.02.01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00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