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Boys, Don't Be Ambitious.
- 박민규 소설들의 감상 비평
Screen
Sport
Sex
- 박민규 소설들의 감상 비평
Screen
Sport
Sex
본문내용
게 이제는 일상에서 깨어나 눈을 떠야한다고 말하고 있다. 80년대의 많은 영향을 받은 작가 본인이 젊은 시절 누구보다 열심히 일하며 자본주의에 순응하며 살다 글을 쓰고 싶다는 욕망으로 전업 작가의 길을 걷게 되었기 때문에 그의 목소리는 사뭇 진실하게, 그러나 무겁지 않게 다가온다. 그러나 소설의 결말에 구체적 해결이 그려지지 않는다는 점과 리포트 초반에 언급했듯 약육강식의 세계를 ‘남자들의 세계’로만 그리고 있다는 점은 조금 아쉽다.
박민규의 주인공들은 어린 시절에 가혹한 사회의 논리 앞에 바보 취급을 받거나 갑작스런 피해를 당한 후 강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다가 자본주의 원리의 노예가 된다. 어쩌면 작가가 그 어린 소년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Boys, don't be ambitious"가 아닐까?
박민규의 주인공들은 어린 시절에 가혹한 사회의 논리 앞에 바보 취급을 받거나 갑작스런 피해를 당한 후 강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다가 자본주의 원리의 노예가 된다. 어쩌면 작가가 그 어린 소년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Boys, don't be ambitious"가 아닐까?
추천자료
현대소설의 흐름(대중소설)
소설담론과 담론 주체의 가치관 및 가치관교육으로서 소설교육의 목표
여성영웅소설(남성영웅소설)
판소리계소설과 세태소설
고전소설의 유형론 - 애정소설을 중심으로
[도스토예프스키 문학][죄와 벌][악령에 투영된 러시아]도스토예프스키 문학 이해 고찰과 도...
[귄터그라스]귄터 그라스의 역사개념, 귄터 그라스의 소시민관, 귄터 그라스의 상실의 미학과...
단편소설의 미학을 보여주는 액자소설, 김동인『배따라기』
소설의 배경 - 시간 &#8226; 공간 자연적, 사회적, 심리적, 상황적 : 박태원의 <소설가 ...
소설속의 공간과 테마파크조성(소설속공간재현, 김유정문학촌, 롯데월드, 신밧드모험, 테마파...
영웅소설과 판타지소설의 비교 -<유충렬전>과 <드래곤라자>를 중심으로-
고전소설강독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을 비교 분석해 보시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