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주요 사이트 분석 및 방향 제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주요 사이트 분석 및 방향 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SNS 개념

2. SNS 사이트 분석
 (1) 페이스북
 (2) 싸이월드
 (3) 카카오톡
 (4) 트위터
 (5) 미투데이

3. SNS 방향 제시
 (1) 개방성
 (2) 편의성
 (3) 오락성
 (4) 안전성

4. SNS 평가

본문내용

이 지나면 쓴 글을 수정하거나 삭제하기가 불가능해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는 2010년 4월 1일 이후 삭제 기능을 도입하며 개선했다.
3. SNS 방향 제시
(1) 개방성
한국인들은 지나치게 개방적인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페이스북에서 사생활 침해와 관련된 불만이 자주 발생하는 것은 미국과 한국의 문화적 차이 때문인데,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할 때 자신의 글이 공개되는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싸이월드에는 비밀 글 이라는 기능이 있어 서로 개인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나, 페이스북에는 그러한 기능이 없다. 특히 상대방의 담벼락에 글을 게시할 경우 공개범위는 게시자가 아니라 담벼락의 주인이 결정한다. 따라서 공개범위를 엄밀하게 정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페이스북이 인기가 있는 이유 중 하나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싸이월드는 사용자가 쓴 글은 페이지를 새로 고침 하지 않는 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는 데에 반해서 페이스북에서는 사용자가 쓴 댓글이나 담벼락 게시물이 몇 초 지나지 않아 실시간으로 뜨게 된다. 이렇듯 온라인상에서도 빠르게 의견들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서비스는 포함해야 한다. 한국의 문화적 특성상 뭉치는 것을 좋아한다. 페이스북의 그룹 기능이나 싸이월드의 클럽기능과 같이 일정한 수의 사람을 하나의 단체로 묶어주는 기능도 필수적이다. 이렇게 SNS에 가입한 사용자들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모여서 만든 클럽에 사람들이 가입을 하면서 교류하며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것 또한 중요한 성공요인이 될 수 있다.
(2) 편의성
우선 조작이 쉬워야 한다. 설문조사에서 싸이월드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들의 사용하지 않는 이유를 조사해본 결과 상당수가 이것저것 손댈 곳이 많아서라고 대답했다. 또한 이들은 페이스북과 같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SNS를 이용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작의 편리성이나 간단한 인터페이스 또한 고려되어야 할 조건이다. 그 다음으로 자신이 보게 될 글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상당수가 어떤 SNS를 이용하고 있든 간에 선정적인 글이나 광고성 글들을 보기를 싫어했다는 점에서 이러한 기능 역시 필요하다.
(3) 오락성
약간의 꾸미기 기능도 필요하다. 싸이월드가 성공했었던 이유가 미니홈피, 즉 꾸미기 기능 때문이었는데, 자신만의 공간을 꾸밈으로써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을 표출할 수 있게 된다면 사용자를 끌어들이기에 충분히 매력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물론 이 부분은 무료화가 되어야 사용자들의 외면을 받지 않을 것이다. 재미를 더해줄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아침 출근길에 지하철에 앉아서 무료하게 보내는 시간에 SNS에 포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사람들 간의 소통만으로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이런 부분을 엔터테인먼트의 요소를 지닌 애플리케이션으로 보완해주면 좋을 것이다.
(4) 안전성
첫째, 자동 필터링 기술을 도입하여 악성코드가 포함된 담벼락 게시물이 등록이 불가능하거나 쪽지 전송이 불가능하도록 원천에 차단하는 것이다. 둘째, 이미지 파일에 대한 프로파일 및 이메일 주소 태그 설정 시 사용자의 동의 요청이 의무화되어야 한다. 사용자들이 의식적으로 보안을 위해 조심하기가 어렵다면 기술적인 측면에서 사이트의 개선을 통해 사용자들이 계속해서 보안의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미지 게시물이나 이메일 주소를 공개할 때마다 어느 수준의 정보 공개를 사용자가 동의하는지 설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대용량 다운로드를 제한하는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 악성코드가 유포될 때 주로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 하게끔 유도하는 방법이 이용되기 때문에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것에 제한을 두어 이용자가 파일 다운로드에 있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SNS 스팸과 피싱에 대한 대응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SNS 스팸이나 피싱 같은 경우 대량의 메시지가 단번에 전송되는 것이기 때문에,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메시지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스팸과 피싱이 전송되기 전에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4. SNS 평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SNS들에게는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고, 그에 대해 이용자들이 느끼고 있는 불편함을 조사함으로써 이 연구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SNS를 통해 우리는 매일 사회적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의 좋은 이야기들을 전해 듣거나 나 자신이 겪는 다양한 세상사는 이야기들을 전하는 즐거움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다양한 보안 위협들도 같이 포함이 되어 있어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인의 경우 해킹을 당한 후엔 피해자가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예방책으로 사이트의 비밀번호를 자주 바꾼다거나, 발신자가 확실한 파일만을 받는 등의 것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는 근본 대책이 되긴 힘들다. 예방도 중요하지만 아직 SNS의 역사가 짧아 이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 문화가 성숙되지 못한 만큼 이를 사용하는 이들의 올바른 윤리의식 제고를 위해 사회 각계에서 올바른 가치관 교육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www.facebook.com
www.cyworld.com
www.kakao.com
www.twitter.com
www.me2day.net
www.seri.org
www.lgeri.com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www.mk.co.kr
www.edaily.co.kr
SNS의 모든 것 - 김대중, 경향미디어, 2012
SNS 파워마케팅 - 배성환, 명진출판사, 2011
소셜 네트워크 혁명 - 정병태, 로뎀나무, 2011
페이스북 시대 - 클라라 샤이, 전성민 역, 한빛미디어, 2010
트위터 비즈니스 - 신호철, 아라크네, 2010
소셜 네트워크 e혁명 - 매튜 프레이, 최경은 역, 행간, 2010
소셜네트워크가 만드는 비즈니스 미래지도 - 김중태, 한스미디어, 2010
  • 가격1,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2.05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04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