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방향 민관협력체계 구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다. 이 때 사례관리자는 사례 공모에서 선정된 대상자를 맡은 사회복지사로 하며, 시범적으로 동사무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사례관리자로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복지계획 수립 및 정책제언을 위한 보고서를 발간해야 한다. 물론 보고서 발간 이전에 모든 사업에 대한 계획일정과 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하며, 본 협의체와 실무협의체 위원으로 발간위원회를 구성하여 최종 보고서를 발간한다.
넷째, 워크샵, 간담회, 공청회 및 보고회 등을 수시로 개최한다. 우선 협의체 위원들의 협의체에 대한 홍보 및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워크샵을 개최한다. 그리고 지역사회 인식도를 높이기 위해 공무원, 사회복지 관련 기관장과 실무자, 시민사회단체 기관장과 실무자 등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한다. 시범사업 후 보고서를 갖고서 공무원, 사회복지 관련 기관장, 실무자 시민사회단체, 그리고 주민 대상으로 공청회를 개최한다. 또한 지자체에 지역사회복지정책을 건의하기 위해 시장 및 시의회 의원, 관련부서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보고회를 개최한다.
<참고문헌>
문순영(2001), “한국 민간사회복지부문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심재호(2004), “한국 사회복지에서의 민관 파트너십 - 시, 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이은구, 김겸훈(1999), “지방정부와 NGO의 생산적 협력관계 구축에 관한 이론 탐색”, 한국정치정보학회, [정치정보연구].
이은구 외(2003), [로컬거버넌스], 법문사
Salamon, L and Anheier, H.(1996), The Emerging Nonprofit Sector: An Overview, Lond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저자소개>
성명: 조흥식(曺興植)
(역임)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졸, 서울대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박사, 영국 Hull 대학교 객원교수, 미국 Chicago Loyola 사회복지대학원 교환교수,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회장,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 사회복지위원장, 서울대 사회과학대학 부학장
(현재)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한국사회복지학회 이사, 대통령직속 농특위 농촌복지분과위원장, 국무총리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보건복지부 중앙생활보장위원
(저서) 한국사회복지론, 가족복지학, 여성복지학, 산업복지론, 사회복지실천론 등 다수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6.29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4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