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조주의의 개념 정의
1) 넓은 의미의 구조주의
2) 수업 시간에 배운 구조주의의 정의
2. 구조주의의 등장 배경
1) 시대적 배경
2) 학문적 배경
3. 구조주의의 특징
1) 구조의 개념이 가지고 있는 세 가지 특징
2) 실존주의, 주관주의에 대립 되는 사상
3) 공시론적 분석 방법
4) 형상화
4. 구조주의 비평 예
1) 시행들 사이의 체계성
2) 2연의 구조적 특징
3) 1연과 2연의 구분
5. 구조주의 이론가
1) 소쉬르
2) 레비스트로스
3) 라캉
4) 바르크
6. 탈구조주의란?
7.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의 차이점
8. 탈구조주의 비평 예
9. 탈구조주의 이론가
1) 니체
2) 미셀 푸코
3) 에드워드 사이드
4) 자크 데리다
10. 참고문헌
1) 넓은 의미의 구조주의
2) 수업 시간에 배운 구조주의의 정의
2. 구조주의의 등장 배경
1) 시대적 배경
2) 학문적 배경
3. 구조주의의 특징
1) 구조의 개념이 가지고 있는 세 가지 특징
2) 실존주의, 주관주의에 대립 되는 사상
3) 공시론적 분석 방법
4) 형상화
4. 구조주의 비평 예
1) 시행들 사이의 체계성
2) 2연의 구조적 특징
3) 1연과 2연의 구분
5. 구조주의 이론가
1) 소쉬르
2) 레비스트로스
3) 라캉
4) 바르크
6. 탈구조주의란?
7.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의 차이점
8. 탈구조주의 비평 예
9. 탈구조주의 이론가
1) 니체
2) 미셀 푸코
3) 에드워드 사이드
4) 자크 데리다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직화 및 문학과 학문의 과학화를
배격하며 이성 중심적 태도를 지양
하나의 구조, 하나의 체계를 분리해 내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역사를 무시하는
비역사적 태도를 보이게 됨
역사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표명하며
과거를 향수가 아닌 탐색의 대상으로 취급
자아의 주체나 개인의 사유를 인정하지 않고
모든 것을 객관화시키는
비인본주의적 태도를 보임
자아와 주체를 중요시
‘구조’는 곧 모든 것의 기원이나 중심이 되며
‘개체’에 대한 특권을 부여받은 존재라 봄
절대적인 진리나 센터나 근원의 독선과
횡포를 거부하여 이분법적 사고방식으로부터
탈피하여 ‘타자’를 인정하고 포용함
언어의 재현 가능성을 믿어서 모든 것의
근본이 언어체계, 기호체계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음
모든 기호와 그것들의 재현 능력을 불신함
8. 탈구조주의 비평 예
「
바다에 섬이 있다
섬 안에 또 하나의 바다가 있고
그 바다로 나가면 다시 새로운 섬
섬 안의 섬 그 안의 더 많은 바다 그리고 더 많은 섬들
그 중심에서 나는 잠이 들었다
잠들면서 꿈을 꾸었고
꿈속에서 다시 잠이 들었다 또 꿈꾸었다
꿈속의 꿈 그리고 그 안의 더 많은 잠 더 많은
꿈들 」
이 시는 류시화의 ‘섬’이라는 시인데 바다라는 공간에서 자신의 꿈속으로 계속 침잠하고 있는 ‘점추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동시에 표현방법을 반복적인 흐름으로 나타냈다. 동시에 표현방법을 반복적인 흐름으로 나타냈다. 공간적인 개념으로 나눈다면, 그 첫 부분이 바다에서 섬으로 반복하는 바깥공간일 테고, 다른 한 부분은 잠과 꿈으로 반복하는 자아 내적인 공간일 것이다. 이러한 반복기법으로 바다와 섬, 잠과 꿈은 서로 호응하는 구조를 갖는 듯 보인다. 하지만 조금 더 생각해보면 이러한 구조는 해체된다. 바다 바깥에는 다른 공간이 있을 것이며, 그 공간 역시 끝없는 공간의 무한적인 반복 안에 있을 것이다. 그것은 꿈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바다와 잠, 섬과 꿈을 동일화하며 경계를 긋는 행동은 다른 해석에 대한 배제와 억압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작품 속 자아가 바다 속의 섬, 그 안의 바다, 그 안의 섬의 중심으로 잠이 들었다고 한다면, 바다와 섬이라는 공간적 개념 역시 꿈 안에 있다고 해석이 가능하다. 나아가 시를 쓰고 있는 작업이 하나의 섬이고 바다일 수 있으며, 꿈일 수 있고, 잠이 드는 과정은 물론 그것은 시를 접하게 되는 독자의 위치에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작가와 작품 안의 자아, 독자는 한 곳에 유동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이들은 작품을 통해 그 존재를 해체하게 된다.
9. 탈구조주의 이론가
1) 니체
탈 구조주의자의 사상적 뿌리, 절대적 진리인 부재 선언, 서구 형이상학적, 독선적 횡포 비판
2) 미셀 푸코
진리로서 계시된 것들은 사실 모두 당대의 언술행위 이다.
예)제레미 벤섬의 “사면감시탑”
3) 에드워드 사이드
급진적인 미국인 비평가
세속적 비평: 텍스트의현실인식과 역사인식, 그리고 텍스트와 현실 세계와 긴밀한 연관 의미
이분법적서열의 해체
예)오리엔탈리즘 : 서구인의 상상과 의식속의 재현된 허상.
4) 자크 데리다
글은 반복, 재생을 통해 그 의미 변질, 말은 사고의 근원 직접적인 “현존”
상호텍스트성 이론
해체이론 : 내부에서 구축 해 놓은 것 들을 그 근본부터 해체를 하여 시간적 공간적 경계를 초월.
10. Reference
http://cafe.naver.com/harukistudy.cafe
문학의 이해, 새문사, 김은철 외
구조주의 비평, 글나무, 문덕수 외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이상우 외
문학이론입문, 새문사, 진정구 외
문학일반의 이해, 시문학사, 문덕수 외
수업 시간 내용
배격하며 이성 중심적 태도를 지양
하나의 구조, 하나의 체계를 분리해 내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역사를 무시하는
비역사적 태도를 보이게 됨
역사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표명하며
과거를 향수가 아닌 탐색의 대상으로 취급
자아의 주체나 개인의 사유를 인정하지 않고
모든 것을 객관화시키는
비인본주의적 태도를 보임
자아와 주체를 중요시
‘구조’는 곧 모든 것의 기원이나 중심이 되며
‘개체’에 대한 특권을 부여받은 존재라 봄
절대적인 진리나 센터나 근원의 독선과
횡포를 거부하여 이분법적 사고방식으로부터
탈피하여 ‘타자’를 인정하고 포용함
언어의 재현 가능성을 믿어서 모든 것의
근본이 언어체계, 기호체계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음
모든 기호와 그것들의 재현 능력을 불신함
8. 탈구조주의 비평 예
「
바다에 섬이 있다
섬 안에 또 하나의 바다가 있고
그 바다로 나가면 다시 새로운 섬
섬 안의 섬 그 안의 더 많은 바다 그리고 더 많은 섬들
그 중심에서 나는 잠이 들었다
잠들면서 꿈을 꾸었고
꿈속에서 다시 잠이 들었다 또 꿈꾸었다
꿈속의 꿈 그리고 그 안의 더 많은 잠 더 많은
꿈들 」
이 시는 류시화의 ‘섬’이라는 시인데 바다라는 공간에서 자신의 꿈속으로 계속 침잠하고 있는 ‘점추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동시에 표현방법을 반복적인 흐름으로 나타냈다. 동시에 표현방법을 반복적인 흐름으로 나타냈다. 공간적인 개념으로 나눈다면, 그 첫 부분이 바다에서 섬으로 반복하는 바깥공간일 테고, 다른 한 부분은 잠과 꿈으로 반복하는 자아 내적인 공간일 것이다. 이러한 반복기법으로 바다와 섬, 잠과 꿈은 서로 호응하는 구조를 갖는 듯 보인다. 하지만 조금 더 생각해보면 이러한 구조는 해체된다. 바다 바깥에는 다른 공간이 있을 것이며, 그 공간 역시 끝없는 공간의 무한적인 반복 안에 있을 것이다. 그것은 꿈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바다와 잠, 섬과 꿈을 동일화하며 경계를 긋는 행동은 다른 해석에 대한 배제와 억압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작품 속 자아가 바다 속의 섬, 그 안의 바다, 그 안의 섬의 중심으로 잠이 들었다고 한다면, 바다와 섬이라는 공간적 개념 역시 꿈 안에 있다고 해석이 가능하다. 나아가 시를 쓰고 있는 작업이 하나의 섬이고 바다일 수 있으며, 꿈일 수 있고, 잠이 드는 과정은 물론 그것은 시를 접하게 되는 독자의 위치에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작가와 작품 안의 자아, 독자는 한 곳에 유동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이들은 작품을 통해 그 존재를 해체하게 된다.
9. 탈구조주의 이론가
1) 니체
탈 구조주의자의 사상적 뿌리, 절대적 진리인 부재 선언, 서구 형이상학적, 독선적 횡포 비판
2) 미셀 푸코
진리로서 계시된 것들은 사실 모두 당대의 언술행위 이다.
예)제레미 벤섬의 “사면감시탑”
3) 에드워드 사이드
급진적인 미국인 비평가
세속적 비평: 텍스트의현실인식과 역사인식, 그리고 텍스트와 현실 세계와 긴밀한 연관 의미
이분법적서열의 해체
예)오리엔탈리즘 : 서구인의 상상과 의식속의 재현된 허상.
4) 자크 데리다
글은 반복, 재생을 통해 그 의미 변질, 말은 사고의 근원 직접적인 “현존”
상호텍스트성 이론
해체이론 : 내부에서 구축 해 놓은 것 들을 그 근본부터 해체를 하여 시간적 공간적 경계를 초월.
10. Reference
http://cafe.naver.com/harukistudy.cafe
문학의 이해, 새문사, 김은철 외
구조주의 비평, 글나무, 문덕수 외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이상우 외
문학이론입문, 새문사, 진정구 외
문학일반의 이해, 시문학사, 문덕수 외
수업 시간 내용
추천자료
대중음악의 구조주의와 기호학
구조주의이론과 사회행위이론
성경비평방법론연구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의 명칭과 차이점
문학비평이론 정리[문학이론][문학비평] [문학비평이론]
[경영이론][조직이론][경영원론][조직관리][조직목표]경영이론, 조직이론, 경영원론, 조직관...
대중소설로서의 상록수를 통해 독자 개개의 비평을 중시하는 독자중심비평의 이론을 앞세워 ...
문학비평이론(현대비평의 이해)
[비평이론, 문학이론, 문학비평이론] 문학비평과 문학비평이론
구조주의적 교육과정 개발모형(타일러, 아이즈너, 워커)
문학 비평 방법
해체비평의 방법론
가족치료의 모델 보웬, 구조주의, 경험주의
교육철학 정리 - 임용고시 대비 {교육철학,피터스와 허스트,동양 교육철학,진보주의,본질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