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임진왜란과 동아시아의 현실과 조선
2. 작품에 투영된 임진란과 동아시아 제국
1) 작자의 전쟁체험 및 작품 창작 배경
2) 작품의 형상화와 사실성
3) 동아시아제국의 공간설정과 그 의미
4)『최척전』과 ‘조위한’의 소설사적 의의
Ⅲ. 결론
Ⅱ. 본론
1. 임진왜란과 동아시아의 현실과 조선
2. 작품에 투영된 임진란과 동아시아 제국
1) 작자의 전쟁체험 및 작품 창작 배경
2) 작품의 형상화와 사실성
3) 동아시아제국의 공간설정과 그 의미
4)『최척전』과 ‘조위한’의 소설사적 의의
Ⅲ. 결론
본문내용
그러한 느낌을 주지 않고 주인공이 고난을 통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는 게 앞으로의 소설에서 구현해야할 인간상의 한 표본을 제시한 것이라 보여 진다.
두 번째는 서술의 주체성이다. 작품이 전개되어가면서 시간적인 부분이나 공간적 부분을 막론하고 역사적 현실과 실제적인 사건을 연결하여 주인공의 삶이 공허한 상상에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구체적 서술은 이 작품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전혀 낯설지 않게 하는 요소로 적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들은 이 작품에 대한 가치를 한층 높여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세 번째로 볼 수 있는 것은 구성의 치밀성이다. 이 작품은 읽는 이로 하여금 점점 작품에 빠져들게 하면서 감정의 변화를 증폭시키는 작용을 한다. 곧 이별과 만남, 그리고 또 다른 이별과 절망 속으로 헤매면서 전혀 가능성이 없어 보이다가 또 다시 극적인 만남을 이루게 됨으로써 그 고난이 한없는 희열로 현실화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네 번째는 작품의 무대를 한국과 중국에서 더욱 넓혔다는 점이다. 전대의 전기소설이나 우화소설 등에서 보여주는 시공의 초월과 같은 현상이 『최척전』에서는 구체적인 지역을 등장시켜 독자로 하여금 더욱 현실감 있게 하고 있다. 게다가 작자의 공간적 개념이 국외에 대한 관심으로 이동되면서 동시대인의 세계인식의 확대와 같은 문화적 현상을 리드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문학이 당대의 사회에 대한 고발뿐만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예측을 담당함으로써 그 의미를 한없이 넓혀준다는 뜻에서 이 작품의 동시대 소설사와의 차별성을 지적할 수 있으며, 특별히 돋보이게 되는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이상에서 『최척전』을 중심으로 한 임진왜란과 이 시기 동아시아제국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 작품이 우리의 소설사상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최척전』이 학계에 소개되었다가 연구된 후 그간 많은 업적이 쌓여왔다.
그렇지만 아직도 구명되지 못한 부분들이 많다. 민족 수난이었던 임진왜란을 통한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연구는 이 작품뿐만 아니라 다른 관계되는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도 지금까지와는 다른 시각에서의 다각적인 접근이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동엽,〈최척전에 나타난 임진왜란과 동아시아〉, <어문논총> 41, 한국문학언어학회, 2004.
민영대, 『조위한과 최척전』, 아세아문화사, 1993.
두 번째는 서술의 주체성이다. 작품이 전개되어가면서 시간적인 부분이나 공간적 부분을 막론하고 역사적 현실과 실제적인 사건을 연결하여 주인공의 삶이 공허한 상상에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구체적 서술은 이 작품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전혀 낯설지 않게 하는 요소로 적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들은 이 작품에 대한 가치를 한층 높여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세 번째로 볼 수 있는 것은 구성의 치밀성이다. 이 작품은 읽는 이로 하여금 점점 작품에 빠져들게 하면서 감정의 변화를 증폭시키는 작용을 한다. 곧 이별과 만남, 그리고 또 다른 이별과 절망 속으로 헤매면서 전혀 가능성이 없어 보이다가 또 다시 극적인 만남을 이루게 됨으로써 그 고난이 한없는 희열로 현실화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네 번째는 작품의 무대를 한국과 중국에서 더욱 넓혔다는 점이다. 전대의 전기소설이나 우화소설 등에서 보여주는 시공의 초월과 같은 현상이 『최척전』에서는 구체적인 지역을 등장시켜 독자로 하여금 더욱 현실감 있게 하고 있다. 게다가 작자의 공간적 개념이 국외에 대한 관심으로 이동되면서 동시대인의 세계인식의 확대와 같은 문화적 현상을 리드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문학이 당대의 사회에 대한 고발뿐만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예측을 담당함으로써 그 의미를 한없이 넓혀준다는 뜻에서 이 작품의 동시대 소설사와의 차별성을 지적할 수 있으며, 특별히 돋보이게 되는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이상에서 『최척전』을 중심으로 한 임진왜란과 이 시기 동아시아제국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 작품이 우리의 소설사상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최척전』이 학계에 소개되었다가 연구된 후 그간 많은 업적이 쌓여왔다.
그렇지만 아직도 구명되지 못한 부분들이 많다. 민족 수난이었던 임진왜란을 통한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연구는 이 작품뿐만 아니라 다른 관계되는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도 지금까지와는 다른 시각에서의 다각적인 접근이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동엽,〈최척전에 나타난 임진왜란과 동아시아〉, <어문논총> 41, 한국문학언어학회, 2004.
민영대, 『조위한과 최척전』, 아세아문화사, 1993.
추천자료
[신경숙]신경숙이 보는 문학, 신경숙의 추억 말하기 방법, 신경숙의 작품 풍금이 있던 자리, ...
[미켈란젤로][미켈란젤로의 생애][미켈란젤로와 르네상스][미켈칼란젤로의 작품]미켈란젤로의...
[고산 윤선도][윤선도][고산 윤선도의 작품][고산 윤선도의 문학][고산 윤선도의 시조작품론]...
[김남천][김남천 이념][통속성][김남천 작품][맥 작품분석][사랑의 수족관 작품분석]김남천의...
[미술감상][미술작품감상][미술작품감상방법]미술감상의 유형, 미술감상의 목적, 미술감상의 ...
[미술품][미술작품][저작권]미술품(미술작품)의 의미, 미술품(미술작품)의 저작권, 미술품(미...
고골의 『초상화』 작품분석 - 악마성을 중심으로 - [악마성의 의미][『초상화』에서 나타나...
[누항사][노계 박인로][누항사(노계 박인로) 전문][누항사 작가][작품해설][작품분석]누항사(...
[나도향][소설][소설 물레방아 작품분석][소설 벙어리 삼룡이 작품분석]나도향의 일생, 나도...
[은희경]소설가 은희경의 생애, 소설가 은희경의 소설 새의 선물 작품분석, 소설가 은희경의 ...
엘프리데 옐리넥(엘프리데 옐리네크)의 작품활동, 엘프리데 옐리넥(엘프리데 옐리네크)의 작...
채만식의 연보, 채만식의 문학세계, 채만식과 희곡, 채만식과 풍자, 채만식의 소설 태평천하 ...
앙리마티스(Henri Matisse)의 생애와 앙리마티스의 작품 감상 - 앙라마티스의 생애, 시대적 ...
채만식(蔡萬植) 작가론, 작품개관, 채만식의 주요작품과 작품의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