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탈지액 제조 실험보고서 원리 실험방법 실험결과 산 탈지제, 알칼리 탈지제, 최적 조건의 탈지율 비교 음이온 계면 활정제의 변화 최적조건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SLS대신 LAS로 교체하여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탈지액 제조 실험보고서 원리 실험방법 실험결과 산 탈지제, 알칼리 탈지제, 최적 조건의 탈지율 비교 음이온 계면 활정제의 변화 최적조건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SLS대신 LAS로 교체하여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최적조건[NaOH(30g/L)+SLS(6.0g/L)+Na2SiO3(2.0g/L)+Na2CO3(40g/L)]에서 SLS대신 EDTA로 바꿔어 2.5, 5, 10, 15, 20, 25, 30, 40 (g/L) 양으로 실험한 결과 물방울 실험에서 탈지가 거의 되지 않았고, 또한 Hull_cell분석에서 도금 상태도 좋지 못하였다. EDTA만으로 탈지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양이 필요할 것 같다.
EDTA만으로 실험한 결과 가장 탈지율이 좋았던 10g/L와 급격히 떨어지는 15g/L를 중심으로 SLS(2g/L)에 EDTA양을 10,15,20 (g/L)로 실험한 결과 탈지율이 떨어졌고, SLS(4g/L)에 EDTA 10,15,20 (g/L)를 사용한 결과 20(g/L)에서 탈지율이 가장 좋았고, 물방울 실험에서도 육안 상 가장 좋았다.
SLS대신 LAS로 실험한 결과, 0.25~2.5 (g/L)까지는 탈지율이 좋지 않으나, 5g이상 부터는 탈지율이 급격히 상승했다. 하지만, 도금을 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도금된 금속 표면에 흰 가루 같은 것이 묻어 나와 도금상태가 불량하다는 것을 알 수있다. 이번에는 SLS + LAS 를 사용하여 탈지를 해봐야 할 것 같다.
물방울 실험할 때 정말 신기하였다
그리도 도금할 때 시편에 이온이 전달되는 과정은 신기하였다.
도금은 시안을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몸에 않 좋다고 들었지만 자동차 만들고 제조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탈지액 제조 실험을 하면서 먼저 철시편을 손세척을 하였다. 이때 스펀지같은 철시편에 손상이 가지않도록 부드러운 제품으로 씻어야한다. 그리고 건조한후 철시편 무게를 재고 이것에 기름을 도포한다음 다시 무게를 잰다. 이것을 탈지용액 500mL에 넣어 50℃의 온도에서 30분간 침지시켜 철시편의 기름을 제거한다. 이때 철시편의 매끈한면을 위쪽으로 하여 기름을 제거한다. 그리고나서 이 철시편을 물방을맺힘 시험을 하고 사진을 찍고 드라이기로 철시편을 건조하고 다시 무게를 잰다. 이때 철시편에 물때가 생기지 않도록 한쪽 방향으로 잘 말려야한다. 그리고 나서 Hell-cell 도금분석을 하여 말린후 도금분석하기전 철시편과 도금한후의 사진을 비교한다.
실험결과 최적조건이나 산·알칼리탈지제는 탈지가 잘되었다. 계면활성제를 빼고 EDTA의 양을 조절하여 실험하였으나 변화가 없었으며 계면활성제의 양을 고정하고 EDTA의 양을 조절하여 실험을 하였다.
도금 이라는 것 자체가 나에겐 생소한 실험 이였다. 책이나 미디어에서나 보던 도금이란 실험을 하게 되었으니 말이다. 이 실험은 철시편을 55℃에서 10분간 손세척하여 드라이기로 말린 후 철시편에 유지를 일정하게 도포하였다. 그 후 제조된 알칼리계 탈지용액 500mL에 넣어 50℃의 온도에서 30분간 침지 후 탈지과정을 수행하였다. 끝난 후 물방울 맺힘을 시도하여 Hell-cell 도금분석 실행하여 탈지성능을 정량화 하였고 최종적으로 분석을 통한 카메라 분석까지 하였다.
우리 조의 실험 조건은 최적조건 [NaOH(30g/L)+SLS(6.0g/L)+Na2SiO3(2.0g/L)+Na2CO3(40g/L)] 이고
탈지 조건은 50℃, 30분간 침지이였다.
탈지제로서 첫 번째 산은 탈지전 20.020g 기름도포 후 20.197g 탈지 후 20.021g 탈지율 99.44% 였고
두 번째 알칼리 는 탈지전 19.990g 기름도포 후 20.291g 탈지 후 19.992g 탈지율 99.34%
세 번째 최적은 탈지전 19.783g 기름도포 후 20.041g 탈지 후 19.793g 탈지율 96.12% 가 나옴으로써
탈지율은 산 ☞ 알칼리 ☞ 최적 순으로 나온 것을 볼 수 있었다.
  • 가격1,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2.18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