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마스킹(Sound masking) 효과와 적용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운드마스킹(Sound masking) 효과와 적용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사운드마스킹(Sound masking)
 1. 사운드마스킹의 개념
 2. 사운드마스킹 시스템의 역사
 3. 사운드마스킹의 특성

Ⅲ. 사운드마스킹 사례
 1. 일본 후쿠오카현 이와끼시 (Wave Wave Wave), (Umi-Tsukushi)
 2. 백색소음 도서관
  1) 스탠포드 대학의 그린도서관(The Green, Stanford)
  2) 킴벨 대학 도서관(KImberl Library)
 3. 백그라운드 사운드마스킹(background sound masking)

Ⅳ.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상이 개방식(open plan)으로 구성되어짐에 따라, 보다 더 효율적인 방음장치의 중요성이 중대한 이슈로 부각 되었다.
현재의 공간 밀집도(floor densities) 증가추세와 팀 단위의 공간의 공유, 환경, 스피커 폰 등의 사용량 증대로 인해 인테리어 시설 전문가 및 건축가에게 사무환경 방음이 중대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개방된 사무 공간에서는 방음판, 천장, 바닥 그리고 벽이 반드시 개인적인 대화내용이 보장 유지될 수 있도록 차폐가 되어져야 하고, 사무실 전체의 소음은 공간의 사용목적에 맞도록 조절이 되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밀집도의 증가와 개인 사무실에서의 개방, 공간 활용도, 실용적인 사무실로 이동하는 경향이 증가경향에 따라서 전통적인 사무실의 벽은 파티션의 도입으로 지속적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지만 이러한 환경에서 아직도 부분적 공간내의 소음이 순환함으로써 문제점으로 지적이 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하여 소음 문제가 더욱 대두될 것이며, 여러분의 공간 활용 계획에 사운드마스킹(Sound Masking)을 발전적으로 확장 도입 될 것이다.
Ⅳ. 결 론
대화 범위에서 사운드마스킹의 범위는 강력하게 두드러지며, 이것은 대화의 분산을 줄일 수가 있어서 대화내의 명쾌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 줄의 공간 파티션 방식, 높은 곳의 천정 타일을 사용, 상업적 카페트 방식, 방음용 벽면 판 방식 등의 통합적인 사운드마스킹 기법으로 사무 환경내의 음향의 안정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우리는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사운드에 노출이 되더라도 이를 식별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일상에서 경험하듯이 만약 하나의 음이 크다면 다른 음은 거의 듣지를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큰 음 으로 인해서 다른 음을 듣지 못하는 현상을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라 하는데, 이는 내이 및 신경계에서 하나의 음이 다른 음을 생리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서 설명이 된다.
바로 이것은 방해 음이 있기 때문에 최소 가청치가 상승하는 현상으로서, 최소 가청치의 증가량을 마스킹 량으로 표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800Hz의 100dB 음에 의해서 1Khz 음의 최소 가청치가 75dB로 커지게 되었다면, 이때의 마스킹 량은 75dB이 된다.
우리의 귀는 특정의 몇 주파수(frequency)에 대해서는 좀 더 민감하다.
사람의 주파수가 이들 특정한 진동수와 같을 일은 거의 없다.
이것은 사람이 주파수와 다른, 좀 더 높은 분명하게 알아들을 수 있는 (1,000Hz에서 3,000Hz 사이) 주파수이다.
오픈 사무 환경을 개선하는 경우에 가장 면밀하게 고려해야 할 주파수들이다.
오픈된 공간의 방음을 위한 NRC수치 평가에서, 소리의 높은 흡수 및 완화율은 고주파대의 인간의 소리를 흡수, 완화한다는 것이다.
오픈 플랜 음향학은 인간의 귀에 전달되어지는 다양한 주파대의 소리들 특히, 인간 음성의 주파대의 민감함을 반영하여 조절한다.
제일 낮고 높은 주파의 소리는 인간의 귀에는 절대로 잡히지 않으므로, 이런 것은 사무 환경개선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이다.
인간의 귀에 잡히는 주파대의 소리만이 데시벨로서 간주된다.
두개의 다른 물질이 같은 NRC일 경우에 하나는 고주파의 선명한 음성주파를 흡수, 완화한다.
[참고 자료]
스탠리 알텐, 김윤철 역, 미디어 음향,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Brian C. J. Moore, 최인용 역, 청각심리학, 학지사, 2011
루돌프E 라도시, 최병철 역, 음악심리학, 학지사, 2001
강성훈, 음향효과 처리, 음향기술산업연구소, 2006
전요섭, 황미선, 생활 속의 심리효과, 좋은나무, 2007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2.21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