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아
2. 그림자
3. 의식과 무의식
4. 상징
5. 아니마와 아니무스
6. 외적인격과 내적 인격
7. 원형
8. 무의식
9. Persona
10. 개성화
2. 그림자
3. 의식과 무의식
4. 상징
5. 아니마와 아니무스
6. 외적인격과 내적 인격
7. 원형
8. 무의식
9. Persona
10. 개성화
본문내용
다. 그것은 개인과 사회가 '어떤 사람이 무엇으로 보이는 것'에 대하여 서로 타협하여 얻은 결과다.
그는 어떤 이름을 받아들이고 칭호를 얻고 지위라든가 또 이것저것을 남에게 내보인다. 이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현실이기는 하나 그 사람의 개성에 비추어 보아서는 2차적인 현실,
그 사람보다는 다른 사람이 더 많이 참여한 타협형성에 불과한 것이다. '페르조나'는 하나의 가상 Schein, 농담 삼아 규정하자면 2차원적 현실이다.
③ 많은 집단 정신 가운데 그 사람이 무엇을 받아들였는가 하는 것에는 개인차가 있겠지만 그가 받아들인 것이 집단정신의 일부라는 것은 틀림없다.
→ '페르조나'는 집단 정신의 단면. 사람들이 생각, 신념, 가치관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것은 결코 자기의 생각이 아닌 남들의 생각이라고 할 만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페르조나에 입각한 태도는 주위의 일반적 기대에 맞추어 주는 태도이며 외계와의 적응에서 편의상 생긴 기능 콤플렉스이다. "집단적인 일반적 윤리를 대변" - 모름지기, ...란
④ 페르조나와의 동일시 : 집단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동안 자아는 차츰 자기도 모르게 집단 정신에 동화되어 그것이 진정한 자기의 개성인 것으로 착각
→ 집단이 요구하는 역할에 충실히 맞추어 주는 사람이 된다.
→ 심해지면 내적인 정신세계와의 관계를 상실하여 자기 자신을 돌보지 못하고 존재를 잃게 된다. 페르조나와의 동일시는 스스로 자신의 본질을 숨기고 그것을 자신의 생각이라고 믿게 만든다.
그러나 페르조나는 주변의 가치관이나 부모의 생각이 은연중에 주입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페르조나는 제거의 대상인가? - 그렇지 않다.
⑤ 관계기능 Beziehungsfunktion : 자아로 하여금 외계와 관계를 맺게 해주는 기능
→ 페르조나는 가상이지만 없애야 할 것이라기 보다 구별되어야 한다. 페르조나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외계, 즉 그 사회에 걸맞는 기능을 못하고 자기의 기분에 의해 행동하는
완고하고 무자비한 인격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도덕적인 혼란을 유발한다. ? 박한상 사건
⑥ 사회적 역할과 페르조나
- 페르조나의 상실 → 사회에 부적응, 범죄
- 성역할과 페르조나 : 남자가 남자다운 페르조나를 갖지 못함. → 성도착·성주체성 장애
-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하거나 직업을 천직으로 삼는 경우 - 페르조나와의 맹목적 동일시라고 단언하기 어렵다. 그 사람에 있어 개성화란 그렇게 사는 것 (동일시 <자각된 선택)
⑦ 개성화가 나에게 씌인 모든 칭호, 지위, 출신, 배경을 벗어 던지고 의식과 무의식을 통틀 어 전체를 실현하는 것이라면 페르조나의 존재가 완전히 무시될 수 없는 것.
융:"페르조나는 우리가 세계와 교류하는 적응체계 혹은 태도, 그러므로 거의 모든 직업이 거기에 특징적인 페르조나를 가지고 있다. ... 위험한 것은 다만 사람들이 페르조나와 동일시하는 것이다. 그것은 마치 교수가 그의 교과서와 동일시하고 혹은 테너가수가 그의 목소리와 동일시하는 것과 같이 .. 좀 과장해서 말한다면 페르조나는 본래의 그가 아닌 것인데, 그와 다른 사람들이 그것이 그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개인이 공적으로 보이는 탈 내지는 겉보기이며, 사회에 받아들여지기 위해 좋은 인상을 주기를 목적으로 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페르소나에 지배되어 있는 생활과, 심리적 욕구들을 채우고 있는 생활의 이중생활을 하고 있다. 페르소나에 압도된 사람은 자기의 본성에서 소외당하게 되며, 지나치게 발달한 페르소나와 퍼스낼리티의 미발달 부분의 갈등 때문에 긴장상태 속에서 살게 된다.
자아가 페르소나와 동일화하는 것은 '팽창'이라고 불린다. 또 한편, 그는 훌륭히 제구실을 해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자만심을 가진다. 그는 강요하길 좋아한다. 그리고 때때로 이 구실을 남에게 투사하여, 같은 구실을 하도록 요구한다. 개인의 행위에 관한 풍습과 법률은 집단적인 페르소나의 표현이며, 이것은 개인의 욕구를 무시하고 획일적인 행동기준을 집단 전체에 강요하고자 한다.
다른 한편, 페르소나가 팽창한 사람은 기대되어 있는 수준에 합치하지 못할 경우, 열등감과 자책감에 몰리는 경우도 있다. 그 결과 공동사회에서 소외되어 있다고 느끼며, 고독감과 소외감을 가진다. 따라서 정신건강에 페르소나의 팽창의 위험은 명백하다.
당사자의 정신적 건강을 위해서는 무의식적 위선자이기보다는 의식적 위선자인 편이 나으며, 자기를 속이는 편보다는 남을 속이는 편이 낫다.
이상적인 것은 어떤 종류의 위선도, 속임도 있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아무튼 페르소나는 인간 존재에 있어서 하나의 사실이며, 그 어떤 형식으로든지 표현으로든지 표현되어야 한다. 물론 신중하게 표현하는 편이 바람직하겠다.
10. 개성화
융:"나는 개성화라는 말을 심리학적인 개체 즉 하나의 선별된 별개로 나눌 수 없는 단일한 것, 하나의 전체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라는 뜻에서 사용한다."
"개성화란 단일적 존재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개성이란 우리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 궁극적인 비교할 수 없는 유일무비의 것이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런 뜻에서 개성화란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개성화를 자기화 혹은 자기 실현이라고 번역할 수 있는 것이다."
"개성화 과정이 자아의 의식화와 혼동되고 그래서 자아를 자기와 동일시하는 경우를 흔히 본다. 그 때문에 구제할 길 없는 개념의 혼란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왜냐하면 이로써 개성화는 단순한 자기 중심주의와 자기애에 빠진다. 그러나 자기란 단순한 자아보다도 끝없이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다 ....자기는 자아와 마찬가지로 그 사람, 또는 다른 사람들이다. 개성화는 세계를 배제하지 않고 수용한다."
개별화란 우리 자신이 되는 것이며, 이기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가장 개성 있게 만든다. 개성, 이기주의, 개인주의는 아주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 개별화를 통해 그는 하나의 개인이 되는 동시에 집단의 구성원이 된다. 이렇게 본다면 개별화과정은 의식의 지도 아래에서, 성실하게 내면의 심리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려는 노력인 것이다
그는 어떤 이름을 받아들이고 칭호를 얻고 지위라든가 또 이것저것을 남에게 내보인다. 이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현실이기는 하나 그 사람의 개성에 비추어 보아서는 2차적인 현실,
그 사람보다는 다른 사람이 더 많이 참여한 타협형성에 불과한 것이다. '페르조나'는 하나의 가상 Schein, 농담 삼아 규정하자면 2차원적 현실이다.
③ 많은 집단 정신 가운데 그 사람이 무엇을 받아들였는가 하는 것에는 개인차가 있겠지만 그가 받아들인 것이 집단정신의 일부라는 것은 틀림없다.
→ '페르조나'는 집단 정신의 단면. 사람들이 생각, 신념, 가치관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것은 결코 자기의 생각이 아닌 남들의 생각이라고 할 만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페르조나에 입각한 태도는 주위의 일반적 기대에 맞추어 주는 태도이며 외계와의 적응에서 편의상 생긴 기능 콤플렉스이다. "집단적인 일반적 윤리를 대변" - 모름지기, ...란
④ 페르조나와의 동일시 : 집단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동안 자아는 차츰 자기도 모르게 집단 정신에 동화되어 그것이 진정한 자기의 개성인 것으로 착각
→ 집단이 요구하는 역할에 충실히 맞추어 주는 사람이 된다.
→ 심해지면 내적인 정신세계와의 관계를 상실하여 자기 자신을 돌보지 못하고 존재를 잃게 된다. 페르조나와의 동일시는 스스로 자신의 본질을 숨기고 그것을 자신의 생각이라고 믿게 만든다.
그러나 페르조나는 주변의 가치관이나 부모의 생각이 은연중에 주입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페르조나는 제거의 대상인가? - 그렇지 않다.
⑤ 관계기능 Beziehungsfunktion : 자아로 하여금 외계와 관계를 맺게 해주는 기능
→ 페르조나는 가상이지만 없애야 할 것이라기 보다 구별되어야 한다. 페르조나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외계, 즉 그 사회에 걸맞는 기능을 못하고 자기의 기분에 의해 행동하는
완고하고 무자비한 인격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도덕적인 혼란을 유발한다. ? 박한상 사건
⑥ 사회적 역할과 페르조나
- 페르조나의 상실 → 사회에 부적응, 범죄
- 성역할과 페르조나 : 남자가 남자다운 페르조나를 갖지 못함. → 성도착·성주체성 장애
-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하거나 직업을 천직으로 삼는 경우 - 페르조나와의 맹목적 동일시라고 단언하기 어렵다. 그 사람에 있어 개성화란 그렇게 사는 것 (동일시 <자각된 선택)
⑦ 개성화가 나에게 씌인 모든 칭호, 지위, 출신, 배경을 벗어 던지고 의식과 무의식을 통틀 어 전체를 실현하는 것이라면 페르조나의 존재가 완전히 무시될 수 없는 것.
융:"페르조나는 우리가 세계와 교류하는 적응체계 혹은 태도, 그러므로 거의 모든 직업이 거기에 특징적인 페르조나를 가지고 있다. ... 위험한 것은 다만 사람들이 페르조나와 동일시하는 것이다. 그것은 마치 교수가 그의 교과서와 동일시하고 혹은 테너가수가 그의 목소리와 동일시하는 것과 같이 .. 좀 과장해서 말한다면 페르조나는 본래의 그가 아닌 것인데, 그와 다른 사람들이 그것이 그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개인이 공적으로 보이는 탈 내지는 겉보기이며, 사회에 받아들여지기 위해 좋은 인상을 주기를 목적으로 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페르소나에 지배되어 있는 생활과, 심리적 욕구들을 채우고 있는 생활의 이중생활을 하고 있다. 페르소나에 압도된 사람은 자기의 본성에서 소외당하게 되며, 지나치게 발달한 페르소나와 퍼스낼리티의 미발달 부분의 갈등 때문에 긴장상태 속에서 살게 된다.
자아가 페르소나와 동일화하는 것은 '팽창'이라고 불린다. 또 한편, 그는 훌륭히 제구실을 해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자만심을 가진다. 그는 강요하길 좋아한다. 그리고 때때로 이 구실을 남에게 투사하여, 같은 구실을 하도록 요구한다. 개인의 행위에 관한 풍습과 법률은 집단적인 페르소나의 표현이며, 이것은 개인의 욕구를 무시하고 획일적인 행동기준을 집단 전체에 강요하고자 한다.
다른 한편, 페르소나가 팽창한 사람은 기대되어 있는 수준에 합치하지 못할 경우, 열등감과 자책감에 몰리는 경우도 있다. 그 결과 공동사회에서 소외되어 있다고 느끼며, 고독감과 소외감을 가진다. 따라서 정신건강에 페르소나의 팽창의 위험은 명백하다.
당사자의 정신적 건강을 위해서는 무의식적 위선자이기보다는 의식적 위선자인 편이 나으며, 자기를 속이는 편보다는 남을 속이는 편이 낫다.
이상적인 것은 어떤 종류의 위선도, 속임도 있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아무튼 페르소나는 인간 존재에 있어서 하나의 사실이며, 그 어떤 형식으로든지 표현으로든지 표현되어야 한다. 물론 신중하게 표현하는 편이 바람직하겠다.
10. 개성화
융:"나는 개성화라는 말을 심리학적인 개체 즉 하나의 선별된 별개로 나눌 수 없는 단일한 것, 하나의 전체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라는 뜻에서 사용한다."
"개성화란 단일적 존재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개성이란 우리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 궁극적인 비교할 수 없는 유일무비의 것이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런 뜻에서 개성화란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개성화를 자기화 혹은 자기 실현이라고 번역할 수 있는 것이다."
"개성화 과정이 자아의 의식화와 혼동되고 그래서 자아를 자기와 동일시하는 경우를 흔히 본다. 그 때문에 구제할 길 없는 개념의 혼란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왜냐하면 이로써 개성화는 단순한 자기 중심주의와 자기애에 빠진다. 그러나 자기란 단순한 자아보다도 끝없이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다 ....자기는 자아와 마찬가지로 그 사람, 또는 다른 사람들이다. 개성화는 세계를 배제하지 않고 수용한다."
개별화란 우리 자신이 되는 것이며, 이기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가장 개성 있게 만든다. 개성, 이기주의, 개인주의는 아주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 개별화를 통해 그는 하나의 개인이 되는 동시에 집단의 구성원이 된다. 이렇게 본다면 개별화과정은 의식의 지도 아래에서, 성실하게 내면의 심리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려는 노력인 것이다
추천자료
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단계이론과 실제수업의적용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
[발달심리학][프로이드][에릭슨][피아제]인간발달의 원리, 발달심리학의 출현, 발달심리학을 ...
사회정서발달에서_프로이드_심리성적이론과_에릭슨의_심리사회_이론에_대해_비교해서_서술하시오
융의분석심리이론
사회정서발달에서 프로이드 심리성적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 이론에 대해 비교해서 서술하...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과제] 심리사회치료모델 (심리사회이론의 기본적 가정, 심리사회이론의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심리사회치료모델 (심리사회이론의 기본적 가정, 심리사회이론의 주요 ...
[아동발달] 정신분석, 심리사회이론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시오 - 아동발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의 개념과 주요특징을 기술하고 두 이론의 ...
영아기 인성발달이론(영아기의 인성발달 - 프로이드의 심리성적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아동발달이론 - 정신분석이론] 아동발달의 정신분석적 관점(심리성적이론, 심리사회적 이론,...
[아동발달이론] 정신분석이론 -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프로이트의 심리성욕이론-프로이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