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을까? 해답은 지하철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달려 있다. 만약 지하철 요금 인상에 부담을 느낀 많은 서민들과 학생들이 지하철 대신에 버스를 이용하거나 한 두 정거장은 걸어 다니기로 했다면 지하철 수입은 오히려 감소할 것이다. 즉 지하철 수요가 탄력적이라면 요금인상은 오히려 수입 감소로 귀착된다. 반대로 지하철 요금이 인상 되어도 마땅한 대체 교통수단이 없어 대부분의 승객들이 그대로 지하철을 이용한다면 지하철 수입은 증가한다. 즉 지하철 수요가 비탄력적이라면 요금인상은 수입 증가로 귀착된다. 우리나라의 대학들이 등록금을 인상하는 이유도 바로 대학교육의 수요가 비탄력적이기 때문이다. 등록금 인상률보다 휴학하거나 대학을 그만두는 학생의 비율이 커지면(탄력적 수요) 대학은 등록금을 인상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