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Ⅰ. 서론
Ⅱ. 본론
1. 먹거리의 결핍문제와 과잉현상의 연결성
1) 식량위기의 시대와 먹거리의 결핍문제
2) 식량위기에 따른 먹거리의 과잉현상
3) 먹거리 양극화 실태
2. 한국사회의 먹거리 문제
1) 먹거리 생산기지의 급격한 변화
2) 먹거리 구성의 급격한 변화
3) 글로벌 시스템이 강요하는 먹거리 양극화
4) 먹거리 실험대상이 된 한국밥상
3. 먹거리 문제해결방안
1) 공공급식 확대와 농업의 회생
2) 자국 식량의 공동생산 인식
3) 농업의 미래성장을 위한 인식전환
4) 정부의 먹거리 정책 방안 추진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먹거리의 결핍문제와 과잉현상의 연결성
1) 식량위기의 시대와 먹거리의 결핍문제
2) 식량위기에 따른 먹거리의 과잉현상
3) 먹거리 양극화 실태
2. 한국사회의 먹거리 문제
1) 먹거리 생산기지의 급격한 변화
2) 먹거리 구성의 급격한 변화
3) 글로벌 시스템이 강요하는 먹거리 양극화
4) 먹거리 실험대상이 된 한국밥상
3. 먹거리 문제해결방안
1) 공공급식 확대와 농업의 회생
2) 자국 식량의 공동생산 인식
3) 농업의 미래성장을 위한 인식전환
4) 정부의 먹거리 정책 방안 추진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임으로 한국이 나아가려면 생태와 공생, 전통, 자급에 기반을 두는 농업농촌을 바로 세우지 않고서는 어렵다. 하여 농업농촌은 우리 모두의 사활의 문제이며 무한한 생명 콘텐츠를 키워내는 보물창고다. 하니 국민여러분! 저와 함께 농업을 국가전략의 중요전략으로 만들어 갑시다. 농업은 아주 오래된 우리의 미래입니다, 농촌은 도시의 골간이며 도시는 농촌의 공동파트너입니다" 라고 연설해 주기를 말이다.
농업농촌은 천대받고 있음이 분명하다 이유는 표가 얼마 안 된다는 이유로 말이다. 하지만 뒤집어 보면 곧 농업 농촌 콘텐츠가 얼마나 다양하고 파워풀한 국민 공감의 에너지를 지니고 있는지 알게 될 것이다. 새로운 세상에서 농업농촌이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지금부터라도 늦지 않았다. 식량과 먹거리를 농업, 농촌을 주요의제로 선점하길 바란다.
4) 정부의 먹거리 정책 방안 추진
농민은 생산자, 국민은 공동생산자로서 국민이 판로를 만들어 주고 농민들과 함께한다면 못할 것이 없다. 대통령 직속으로 국가 식량먹거리 보장위원회를 만들고 식량자급계획을 수립해서 자급률 50%를 목표로 나아가고 곡물 자급을 위해 남과 북의 농업협력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보편적 복지 확대로서 공공급식을 전면화해서 국민의 먹거리 복지를 확대하고 농민들에게 안정적인 판로와 계약재배를 실현하고 국민들에게는 농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기할 수 있다. 농업은 쇠락하는 산업이 아니고 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오래된 미래다. 건강과 생태, 환경이 어우러진 미래다.
Ⅲ. 결론
이러한 먹거리 양극화와 건강불평등의 문제를 먹거리 정의(food justice)의 문제로 접근하는 흐름이 있다. 값싼 패스트푸드나 정체불명의 정글 푸드를 먹고 비만과 식원성 질병에 시달리는 것은 개인의 선택과 그 결과지만, 개인의 선택은 사회적 영향 아래 놓여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사회는 먹거리는 개인적인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그러나 먹거리 양극화로 인한 건강불평등의 문제는 당장 무시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후에 더 많은 사회적 비용을 야기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아닐 수 없으며 따라서 정책적 대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먹거리 복지는 먹거리 정의의 문제를 제도적이고 정책적 접근을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이며 사회 양극화 양상이 인간 생존에 가장 필수적인 재화에 해당하는 먹거리 영역까지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참고문헌
김흥주, 2011 “학교급식을 넘어 공공급식으로”
김흥주, 2011 “먹거리양극화와 먹거리복지의 문제”
식량주권실현 2012 정책기획단 “식량주권 제도화 방안-국민기초식량보장체계 수립과 먹거리 기본권 보장을 중심으로”
남기철(2007). 21세기 한국사회 먹거리 복지의 모색 - 전 국민에게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
리 보장-. 국회사무처. 먹거리 종합정책에 관한 연구. pp.55-78.
박지은(2011). 식량위기, 먹거리 양극화와 정책과제 Ⅱ - 중소농 생산지원과 먹거리 보장연계 사례 -. 녀름 이슈보고서, 14, pp.54-67.
농업농촌은 천대받고 있음이 분명하다 이유는 표가 얼마 안 된다는 이유로 말이다. 하지만 뒤집어 보면 곧 농업 농촌 콘텐츠가 얼마나 다양하고 파워풀한 국민 공감의 에너지를 지니고 있는지 알게 될 것이다. 새로운 세상에서 농업농촌이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지금부터라도 늦지 않았다. 식량과 먹거리를 농업, 농촌을 주요의제로 선점하길 바란다.
4) 정부의 먹거리 정책 방안 추진
농민은 생산자, 국민은 공동생산자로서 국민이 판로를 만들어 주고 농민들과 함께한다면 못할 것이 없다. 대통령 직속으로 국가 식량먹거리 보장위원회를 만들고 식량자급계획을 수립해서 자급률 50%를 목표로 나아가고 곡물 자급을 위해 남과 북의 농업협력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보편적 복지 확대로서 공공급식을 전면화해서 국민의 먹거리 복지를 확대하고 농민들에게 안정적인 판로와 계약재배를 실현하고 국민들에게는 농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기할 수 있다. 농업은 쇠락하는 산업이 아니고 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오래된 미래다. 건강과 생태, 환경이 어우러진 미래다.
Ⅲ. 결론
이러한 먹거리 양극화와 건강불평등의 문제를 먹거리 정의(food justice)의 문제로 접근하는 흐름이 있다. 값싼 패스트푸드나 정체불명의 정글 푸드를 먹고 비만과 식원성 질병에 시달리는 것은 개인의 선택과 그 결과지만, 개인의 선택은 사회적 영향 아래 놓여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사회는 먹거리는 개인적인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그러나 먹거리 양극화로 인한 건강불평등의 문제는 당장 무시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후에 더 많은 사회적 비용을 야기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아닐 수 없으며 따라서 정책적 대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먹거리 복지는 먹거리 정의의 문제를 제도적이고 정책적 접근을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이며 사회 양극화 양상이 인간 생존에 가장 필수적인 재화에 해당하는 먹거리 영역까지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참고문헌
김흥주, 2011 “학교급식을 넘어 공공급식으로”
김흥주, 2011 “먹거리양극화와 먹거리복지의 문제”
식량주권실현 2012 정책기획단 “식량주권 제도화 방안-국민기초식량보장체계 수립과 먹거리 기본권 보장을 중심으로”
남기철(2007). 21세기 한국사회 먹거리 복지의 모색 - 전 국민에게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
리 보장-. 국회사무처. 먹거리 종합정책에 관한 연구. pp.55-78.
박지은(2011). 식량위기, 먹거리 양극화와 정책과제 Ⅱ - 중소농 생산지원과 먹거리 보장연계 사례 -. 녀름 이슈보고서, 14, pp.54-67.
키워드
추천자료
대한민국 투자대세
웨스턴바 사업계획서
마케팅 사례분석 : 오설록 티하우스 [o sulloc tea house]
스페인의 경제발전의 원동력
[마케팅]패밀리레스토랑 '마르쉐'의 브랜드마케팅
김치유통실태와 방안 및 김치산업의 발전을 위한 과제
전남지역 관광개발 계획 j프로젝트 연구
[국제 마케팅] 2ne7의 Switch P
6)사회-환경을 생각하는 국토 가꾸기(중안)
잠재력과 경기도개발잠재력, 지식기반사회, 잠재력과 성장, 시장잠재력, 잠재력과 IT잠재력, ...
문화관광을 통한 수원화성의 현재적 실의 추구 관광자원으로써의 수원 화성
국내기업과 해외기업의 윤리경영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크라제버거 (Kraze burger)」 기업 소개, 마케팅현황, 4C, STP, 7P,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