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이하 HAART 요법)이 HIV 질환의 진행을 늦추고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 데에 획기적인 성과를 나타내면서, 에이즈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조절 가능한 만성 질환으로 인식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HAART 요법은 뉴클레오사이드 유사 역전사효소 억제제(Nucleoside analogu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이하 NRTI)와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이하 NNRTI) 및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 이하 PI)와 같은 항바이러스 제제를 병합하는 요법이다. 2가지 NRTI 약물에 1~2가지 PI 약물을 환자에게 함께 투여하거나, 2가지 NRTI 약물에 1가지 NNRTI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이러한 초기치료가 실패하면, 약물 전체를 바꾸어 다시 시도하는 것이 원칙이다.
항바이러스 제제의 유형별 약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뉴클레오사이드 유사 역전사효소 억제제
-Zidovudine, Didanosine, Zalcitabine, Stavudine, Lamivudine, Abacavir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Nevirapine, Delavirdine, Efavirenz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 PI)
-Saquinavir, Ritonavir, Indinavir, Nelfinavir, Amprenavir
2000년대 들어서는, 그동안 에이즈 치료제의 주류를 이루었던 역전사효소 억제제와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의 치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능을 갖는 약물의 개발도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2007년부터 새로운 형태의 에이즈 치료약이 미국 FDA의 승인을 받고 시장에 출시되기 시작했다. 2007년 7월에 처음 소개된 maraviroc (Pfizer, 상품명 Selzentry)는 최초로 병원체인 바이러스가 아닌, 숙주세포에서 감염에 관여하는 수용체 (receptor)의 작용을 억제시키는 치료제이며, 2007년 12월 FDA의 승인을 받고 시판된 Reltegravir (Merck, 상품명 Insentress)는 HIV 바이러스에서 역전사된 DNA가 숙주 세포의 유전자 안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억제하는 치료제이다.
HAART 요법은 뉴클레오사이드 유사 역전사효소 억제제(Nucleoside analogu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이하 NRTI)와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이하 NNRTI) 및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 이하 PI)와 같은 항바이러스 제제를 병합하는 요법이다. 2가지 NRTI 약물에 1~2가지 PI 약물을 환자에게 함께 투여하거나, 2가지 NRTI 약물에 1가지 NNRTI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이러한 초기치료가 실패하면, 약물 전체를 바꾸어 다시 시도하는 것이 원칙이다.
항바이러스 제제의 유형별 약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뉴클레오사이드 유사 역전사효소 억제제
-Zidovudine, Didanosine, Zalcitabine, Stavudine, Lamivudine, Abacavir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Nevirapine, Delavirdine, Efavirenz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 PI)
-Saquinavir, Ritonavir, Indinavir, Nelfinavir, Amprenavir
2000년대 들어서는, 그동안 에이즈 치료제의 주류를 이루었던 역전사효소 억제제와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의 치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능을 갖는 약물의 개발도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2007년부터 새로운 형태의 에이즈 치료약이 미국 FDA의 승인을 받고 시장에 출시되기 시작했다. 2007년 7월에 처음 소개된 maraviroc (Pfizer, 상품명 Selzentry)는 최초로 병원체인 바이러스가 아닌, 숙주세포에서 감염에 관여하는 수용체 (receptor)의 작용을 억제시키는 치료제이며, 2007년 12월 FDA의 승인을 받고 시판된 Reltegravir (Merck, 상품명 Insentress)는 HIV 바이러스에서 역전사된 DNA가 숙주 세포의 유전자 안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억제하는 치료제이다.
추천자료
[과학기술과 문서작성][발표와 커뮤니케이션]면역 유전자 치료제
사슴피 섭취시 발생할 수 있는 면역학적 문제
[영양][영양소][영양분]영양(영양소, 영양분)의 기능, 종류, 결핍증, 영양소 과잉증과 바람직...
면역제제 항염증제 골격근 및 관절염치료제 국소제제 비타민류와 무기염류
기의시대면역의시대
신생아문헌고찰 면역
면역이란?
아연의 체내기능과 결핍증
성인 간호학 - 염증, 감염, 면역반응 요약
(기초간호과학 1500원,11p)면역 관여 세포 4가지 과민반응 악성종양 양성종양 차이 국소영향 ...
[병원감염, 병원성감염, 원내감염, 병원외 감염]병원감염(병원성감염, 원내감염)의 정의, 특...
(스포츠의학, 운동처방관련학과) 인체 면역 시스템과 스포츠 관련성 감염.pdf
[병리학] 혈전으로 인한 질환의 종류 및 기전 - 혈전으로인한 질환, 기전 (혈전과 혈전증, 혈...
[생물학 실험] 면역 반응 _ 항원, 항체 반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