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선수의 아킬레스건의 전반전인 이해 및 손상,치료 재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축구선수의 아킬레스건의 전반전인 이해 및 손상,치료 재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해부학 구조 및 형태 기능
메커니즘
기능
주 손상 부위
파열증상
파열 이유
치료 방법
아킬레스건의 치유과정에서의 중요성
아킬레스 전반전인 배경

본문내용

서서히 감소
대퇴 삼두근에 의한 점진적 저항 운동 시작
환측 다리가 정상측 다리의 70%정도의 세기가 되었다면 런닝도 고려.
최대 발목 굴절력을 회복 하는데 12개월 이상 걸릴 수 있음
최근의 방법
무릎을 45도 굴곡하고, 발목을 최대한 족저 굴곡한 상태에서 장하지 석고 붕대를 약 6주간 단하지 석고 붕대를 6주간 3개월간 발목을 위로 젖혀 다치는 것을 예방하는 보조기를 약 3개월 정도 보호하는 치료 법
2. 인대를 직접 열어보고 접합해주는 수술적 요법 재활 프로토콜
① 수술 후 6-8주
수술 후 바로 패드를 대어 20도의 후굴상태로 석고 부목
수술 접합부가 붙은 수술 후 7일쯤 능동적인 비체중 운동 시작
3-4주간은 석고 고정 목발 보행, 그 이후에는 플라스틱으로 고정, ROM의 빠른 회복
② 8-12주
점진적 체중 부하
운동시작은 발목관절을 매우 부드럽게 천천히 수동적으로 후굴 하며 능동적 배굴은 20도까지 가능. 하루에 세번, 한 번에 각각 5회씩 두 세트 다섯 동작을 하루에 세번 한다.
@관절 운동 (등장성 개방 역학적 사슬 운동)
*발목 plantarflexion 의 능동적 관절 가동 범위 운동
*발목 dorsiflexion 의 능동적 관절 가동 범위 운동
*발목 내반의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
*발목 외반의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
*발가락의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운동의 굴곡과 신전
*타월 당기기 운동
@관절 운동(폐쇄 역학적 사슬운동)
*앉아서 하는 발목의 폐쇄 역학적 사슬 ROM 운동
*앉아서 하는 발목의 폐쇄 역학적 사슬 운동
@스트레칭
*타월을 이용한 발목의 족저굴곡
*서서 발목의 배측굴곡 스트레칭
1개월 후 1cm의 정도 heel lift를 감소 시켜서 발목을 서서히 중립 위치로 놓는다.
저항 없는 실내용 자전거와 수영을 실시
③ 12-14주
완전 체중 부하 가능하며 걷기 및 조깅 실행
등속성 검사 실시
@폐쇄 역학적 사슬운동 실시
*뒤꿈치 들기/한발로 뒤꿈치 들기
*스텝퍼 운동
등속성 운동
*등속성 발목 내반/외반의 능동적 근력강화 운동
*발목의 등속성 배측굴곡/족저굴곡의 능동적 근력강화 운동
④ 14-20주
족저 굴곡근의 근력과 지구력의 향상에 중점
기능적 훈련
⑤ 20주~
심폐 지구력 및 플라이오 매트릭 실시
기능적 훈련
복귀
완전히 능동적인 가동이 가능
등속성 근력이 90-95% 30초간 발 들기 가능
조깅 및 달리기 방향 전환 등이 가능 하면 훈련 복귀
아킬레스건의 치유과정에서의 중요성
신축성뿐만 아니라 유연성의 회복!
섬유화는 주위조직과의 유착을 야기 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 하기위해
주변조직의 반흔을 스트레칭에 의해 늘려서 유착을 끊어줘야 한다!
아킬레스 전반전인 배경
아킬레스의 완전파열은 중년환자에서 전조 증상없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부분 파열은 숙련된 운동선수에서 생기며 건의 외측에서 발생한다. 급성파열은 흔히 퇴행성 만성 건염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배굴된 상태의 발목 관절에서 급작스런 배굴을 일으키는 과도한 힘이 작용하여 일어난다. 환자에게 과거에 스테로이드나 프로로퀴놀로을 주입한적이 있는가를 반드시 물어보아야 한다.(건의 파열이나 쇠약과 관련이 있을수도 있기때문이다.)
일부의 환자에서는 이학적 검사만으로는 완전 파열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어렵다.
건의 파손이 큰 혈종에 의해 감추어 질수 있다. 톰슨검사시 외부 족저굴근이 표층 후하지 구획의 구조물들과 함께 압박되었을 때 족굴근에 의해 발의 족저굴곡이 일어나는 경우 위음성이 생긴다. 톰슨 검사는 정상측다리의 결과와 면밀히 비교하는것이 중요하다
부분 파열 역시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므로 mri에 의한 확진이 반드시 필요하다.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3.15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4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