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례, 계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례, 계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개 요 -
1. 들어가는말

2. 관례,계례에 대하여
 가. 관례
 나. 계례
 다. 관례, 계례의 의의

3. 현대와 관례
 가. 성년의날
 나. 현대의 성인식
 다. 우리가 생각하는 성인식

4. 맺는말

본문내용

날과 만 19세로 정한 청소년 보호법과의 모순점 2004년에 제정된 청소년보호법에 따르면 청소년을 만19세로 정하고 있지만 현실을 반영하
여 만 19세가 되는 해를 청소년에서 제외시켜 성인으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2005년에
만 19세가 되는 사람들은 2005년 1월 1일부터 법적으로 청소년이 아닌 성인으로 법으로
인정한다는 것이 된다. 이것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만19세에 도달하는 나이에 2월에 고등
학교 졸업식이 치뤄진다는 현실을 감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2)현재 성인식의 대안
현재는 이전에 비해 두발의 모습이나 의복생활이 달라졌기 때문에 복잡한 절차의 관례를 모든 성년자가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현대의 성인식에는 적지않은 문제점이 있어 보인다. 이에 따라 현대 성인식의 해결점에 대해 토론한 결과 몇가지의 의견을 낼 수 있었다.
첫째, 성인식에 기모노를 입는 것이 당연시되는 일본의 경우를 참고로 하여 형식적인 면에서 한복을 입자는 의견이 나왔다. 이는 현재 한복에 대한 사람들의 편견을 해결 할 수 있는 또하나의 기회가 되어 보인다. 둘째, 현재 기독교나 천주교에서 쓰는 세례명이나 불교에서 쓰이는 수계명의 경우처럼 자를 지어주는 것 역시 성인으로 인정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셋째, 고등학교의 졸업을 성인의 출발로 생각하는 인식에서 특별히 성년의 날을 정할 것이 아니라 고등학교 졸업식과 성인식을 병행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4. 맺는말
이상으로 관례와 계례의 유래, 형식, 절차와 현대 성인식에 행해지고 있는 행사, 그리고 현대 성인식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미흡하나마 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성인이 된다는 것은 한 개인이 온전한 인간으로 거듭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나라에는 통과의례의 성격을 가진 성년의례는 있어왔고 우리나라의 왕족, 사대부에서는 그 성년의례가 관례라는 형식으로 발전되어 관혼상제의 첫 번째 행사로 자리매김 한 것이다. 하지만 관례는 복잡한 절차와 단발령등을 이유로 사라져갔고 지금은 정부에서 성년의 날을 시작으로 하여 여러 성인식이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앞서 살펴보았듯이 현대의 성인식 역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우리 사회는 일정 나이가 되면 성인으로 인정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단순히 나이를 많이 먹는 것이 과연 자신의 행동과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이 되는 것아닌 현실에서 단순히 머리모양을 바꾸는 것이 아닌 그 과정을 통해서 개인적, 사회적 의미의 성인으로써의 자신을 자각함을 중시했던 관례의 의의는 성인에 대한 논의자체가 부족한 현대 성인식을 되돌아 보는 잣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동아대학교고전연구실『譯註 高麗史(11)』, 東亞大學校出版社 , 1965
이정옥. 『관례복식연구』영남대학교 출판부, 1990
『민속학술자료총서 426 - 예 관혼상제 8 』우리마당 터 , 2004
『민속학술자료총서 237 - 예도 복식 2 』우리마당 터 , 2002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3.20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5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