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인코딩 방식의 역사 및 기술성
본 자료는 미리보기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 인코딩 방식의 역사 및 기술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글 인코딩 방식의 역사 및 기술성

우리가 컴퓨터에 쓰는 한글은 영어와 마찬가지로 코드로 이뤄져있다. 여기서 말하는 코드는 컴퓨터가 이해할수 있는 코드로 미국내의 컴퓨터끼리 문자를 주고받기 위해 제정된 공식 코드가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이다. 이는 최초의 코드로서 7bit로 이루어져 있으며,1967년에 표준으로서 발표되고 1986년까지 개정되면서 부족한 점을 보완해 왔다. 이후에 ASCII 코드로 표현할 수 없는 문자들, 즉 유럽권의 문자들을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진것이 ASCII-8 (8bit로 이뤄진 ASCII 코드 확장형) 이다. 단 1bit가 늘어났지만 표현할수 있는 문자의 갯수는 127개에서 256개로 2배가 늘어났다. 여기까지는 모두 단어들이 영어로 대부분 표시되기에 큰 문제가 없었다...

키워드

한글,   인코딩,   encoding,   역사,   8비트,   아스키코드,   코드
  • 가격5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3.03.20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기타(rtf)
  • 자료번호#835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