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코드와 콘텐츠]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 포스트모더니즘과 2000년대 한국에서의 일본소설 인기 연계 분석 -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코드와 콘텐츠]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 포스트모더니즘과 2000년대 한국에서의 일본소설 인기 연계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포스트모더니즘이란?

Ⅲ.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에 대해서

Ⅳ.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한계와
한국 출판계에서의 일본문학 인기

Ⅴ. Ⅳ에 대한 분석

Ⅵ. 결론

본문내용

한 독자의 호응은 당연한 것이었다.
이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얘기로 풀어가자면, 기존 모더니즘이 가졌던 중앙집권적인 힘으로 얘기해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전통으로 굳어버린 모더니즘에 대한 반항에 대한 결과로 나타난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것을 다시금 떠올릴 수 있겠다.
② 일본 소설의 다양성
우선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일본은 다른 나라이기에 다르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과거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관계 속에서 다르지만 비슷한 문화 역시도 존재한다. 그렇기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서양을 바라보는 것보다는,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의 거리는 훨씬 가까울 것이다. 그렇게 문화적으로 큰 거리감이 없기에, 소설을 받아들이는 데도 큰 불편은 없었다. 그리고 앞서 얘기한 것과 같이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의 출판 시장은 어마어마하게 크다. 그렇기에 그 속에 있는 작품 역시도 우리의 작품의 범위보다도 다양한 것은 다양하다. 그렇기에 독자들이 새롭게 들어오는 일본 소설을 대할 때에는 새롭고 참신한 작품들을 찾을 수가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폭이 넓었다는 것이다.
그에 대한 예로, 일본 엔터테인먼트 소설이라 칭하는 것은 그것이다. 추리 소설, 괴담 소설, 성장 소설, 유머 소설 등이 이에 속한다. 미야베 미유키로 대표되는 추리 소설류나, 기시 유스케로 대표되는 괴담 소설, 이시다 이라로 대표되는 성장 소설이 있고, 오쿠다 히데오로 대표되는 유머 소설 등이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다양한 장르소설의 시대를 여는데 역할을 했고, 서부소설이나 공상과학소설 등의 인기를 끌었다는 사실을 얘기할 수 있겠다.
③ 대중에게 검중된 작품
우리나라에 들어오고 있는 일본 소설들이 단순히 새롭고 재미있는 작품이 아니라는 것이다. 눈길을 끌기 위한 어떤 소재로 주목을 받는 다거나, 파격적인 내용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것이 아니다. 내용 역시도 탄탄하고, 검증을 받았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혹은 현재 인기를 끌고 있는 작품들을 살펴보면 ‘○○○상’ 수상작품이라는 수식어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일본의 순수문학에 주는 ‘아쿠타카와상’, 대중문학에 주는 ‘나오키상’을 들 수 있다. 거기에다가 ‘서점대상’ 역시도 많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수상에 대한 언급은 확실한 하나의 보증이 된다. 특히 ‘나오키상’이나 ‘서점대상’ 같은 경우는 일본의 대중들의 엄청난 지지 혹은 인기를 보였다는 증명이기에 우리나라의 독자 역시도 강하게 끌어당기는 매력이 있다. 그리고 그 외에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추리소설 같은 경우도, ‘일본추리작가협회상’이라는 것이 존재하여 앞에 설명과 같은 모습이 반영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으로 ‘대중문화’를 얘기했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일본소설들의 대부분이 위에서 얘기한 ‘나오키상’이나 ‘서점대상’ 등 대중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완벽한 검증을 마췄다는 얘기를 할 수 있다.
④ 탈장르화, 장르확산(OSMU)
일본 소설의 탈증르화, 장르확산에 대한 얘기로, OSMU(One Source Multi Use)적 성격을 말하고 싶다.. 우리는 단순히 일본 소설을 책이라는 하나의 매체로만 다루지 않는다. 인기 있는 많은 작품들이 영화로 제작이 되고 있고, 제작이 되어있다. <화차>, <하울링>, <고백>, <비밀>, <냉정과 열정사이>, <도쿄 타워>,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파랑 주의보>, <백야행>, <검은집>, <용의자 X의 헌신>, 등등이 그 예이다.
하나의 작품이 다른 장르로 다시 제작이 되었다는 것은 기존 작품에 대한 인기를 짐작할 수 있다. 수요에 따른 공급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제작되어진 혹은 제작되고 있는 한 장르의 작품이 인기를 끌게 된다면, 자연스레 소비자의 시선은 같은 작품의 다른 장르로도 역시 눈길을 준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영화로 성공한 작품들의 원작 소설이 영화 개봉과 동시에 베스트셀러 코너에 있는 것을 많이 볼 수가 있다.
이 부분역시도 포스트모더니즘과 가역하게 연계된다고 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장르에 대한 구분이 불가능하고, 각 장르에 대한 경계선을 뛰어넘고 간격을 좁히는 모습을 보였다. 그 부분에서 이렇게 탈장르화 혹은 장르의 확산을 얘기할 수 있고, 위에 얘기한 OSMU적인 활용은 실 사례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Ⅵ. 결론
지금까지 밝힌 내용은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그리고 이를 연관시켜서 한국에서의 일본소설 인기에 대해서 분석해보았다. 지금 크게 3가지에 대한 얘기를 진행했는데, 각각의 내용 하나하나가 사실은 엄청나게 방대한 내용을 품고 있는 영역이다. 그렇기에 많이 부족하고 보완해야 될 점이 많은 내용을 기술한 것이라 많이 부끄럽다. 이렇게 본인의 자성의 목소리를 내고 싶다. 하지만 이렇게 글을 옮겨 적는 기회를 통해서 본인이 막연하게 알고 있던 것에 대해 조금은 실체에 다가가지 않았나하는 나름의 보람 역시도 주고 싶다.
마지막으로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이라는 내용은 서로 깊은 연관이 있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본인이 관심 있었던 우리나라에서의 일본소설의 인기에 대해서는 그 연관성에 비해서는 깊이감이 많이 떨어진다. 그리고 자료를 찾고, 정리하는 과정에서도 본인과 같은 시각으로 바라본 사례가 없었기에 많은 부담감과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에 보시는 분들 역시도 필자의 부족한 능력을 많이 감안해주시면서, 이 글을 곱게 바라봐 주셨으면 한다.
* 참고문헌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청하, 1991년.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청하, 1991년.
김성곤, 『포스트모던 소설과 비평』, 열음사, 1993.
김성곤, 『소설의 죽음과 포스트모더니즘』, 글, 1992.
문연주, 「일본소설의 국내 번역 출판 현황과 특성에 대한 통사적 고찰」, 한국출판학연구 54호, 2008.
「[일본소설 열풍] 4가지 코드로 살펴본 일본소설의 힘」, 주간조선 2093호, 2010년 2월 15일.
[커버스토리]일본소설에 점령당한 한국소설, 주간경향, 2007년 6월 12일
<\'일본소설 열풍\'에 대한 3인3색>, 연합뉴스, 2007년 8월 29일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8.03.15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8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