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고나 할까... 아무튼 이를 보면 정체성 혼란이 왔을 수도 있겠구나 싶다. 웃긴 내용이기도 하면서 이상하게 받아들여졌던 부분이라 책을 다 읽은 순간까지도 너무 생생하게 기억이 났었다.
앞으로 말하고자하는 바를 분명하게 밝혀 많은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책이 출간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더 좋은 역사책들을 출판하길 기대해보며 끝을 맺겠다.
앞으로 말하고자하는 바를 분명하게 밝혀 많은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책이 출간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더 좋은 역사책들을 출판하길 기대해보며 끝을 맺겠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의 식민지 근대화(비판)
[한국 근대사 개설]『고종시대의 재조명』 요약 및 비평
'매혹의 질주, 근대의 횡단' 을 읽고
매혹의 질주, 근대의 횡단을 읽고..
1. 근대의 역사교육
식민지 근대화론이란..
식민지시기 일상생활의 근대성과 식민지성
유럽의 근대형성에 미친 동양문화
개항 이후 한국 근대사
영국빈민법시대에 대해 서술하고 근대사회복지에 미친영향
역사) 우리나라의 근대사건
[중국근대사 독후감]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투쟁하는 혁명가들 - 조너선 D.스펜스의 《천안문...
[독후감] 근대와 식민의 서곡 _ 김동노 저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독후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