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마미크로프로세서의 기능
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 과정 : 인텔을 중심으로
(1) 4비트에서 8비트까지
(2) 16비트에서 32비트로
(3) 펜티엄 II의 등장
(4) 21세기의 CPU
3.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컴퓨터 산업에 기여한 점
4. 최신 동향
III. 결론
<참고 문헌>
II. 본론
1. 마미크로프로세서의 기능
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 과정 : 인텔을 중심으로
(1) 4비트에서 8비트까지
(2) 16비트에서 32비트로
(3) 펜티엄 II의 등장
(4) 21세기의 CPU
3.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컴퓨터 산업에 기여한 점
4. 최신 동향
III.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융합 - e-mail, MS Messenger
금융시스템과의 융합 - Mobile 금융거래
오락기기와의 융합 - Online Game, PC Game, Console Game
그 외의 가전기기와의 융합 - 청소로봇, 보안카메라
4. 최신 동향
최근의 인텔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프로세서아키텍처의 단일화이다. 1990년대 및 2000년대 초반까지의 Pentium 및 Pentium Mobile 개발 때와는 달리 최근의 인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저전력모바일, 데스크톱 및 고성능프로세서의 코어에 동일한 아키텍처를 사용한 프로세서 코어가 적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아키텍처의 단일화는 다양한 제품군의 개발에 따른 소프트웨어 제품의 최적화를 단기간에 가능케 하여 프로세서 아키텍처의 변경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최적화를 일관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인텔은 IDF 2010 Beijing에서 차세대 데스크톱 프로세서인 Sandy Bridge 코어를 통하여 프로세서의 개발 동향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Sandy Bridge 아키텍처의 가장큰 특징은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프로세서칩 안에 내장하였다. 또한 새로운 벡터 연산명령인 AVX 명령어를 실장하였다. AVX는 최대 256비트 폭의 SIMD 명령을 통해 8개의 32비트 부동소수점 연산이 가능하다.
향후 인텔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동향은 멀티 코어를 내장하며, 경우에 따라 SIMD 구조기반의 벡터 연산이 가능한 코어를 복수개 내장하는 이기종 멀티코어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발 동향과 더불어 상용 멀티 코어 제품으로 Larrabe에 대한 개발을 들 수 있다. Larrabe는 인텔이 Atom 프로세서의 개발과 동시에 시작된 그래픽칩 셋을 위한 멀티코어 프로세서이다. 주목할 만한 것은 2010년 ISSCC에서 발표한 SCC로 48개의 P54C급의 32비트 IA 코어를 사용한 연구용 프로세서이다. 2005년의 1TFlops, 80 코어 NoC 프로세서의 후속 연구 프로세서이다. SCC는 이전의 NoC와 달리 상용 IA를 사용하였다. Knights Corner의 시제품인 Knight
Ferry는 22nm 공정을 사용하여 32개의 IA 코어를 내장하고 있으며, 2011년 상용 제품이 출시하였다.
III. 결론
컴퓨터 기술 개발에 관한 예측은 컴퓨터의 활용 범위가 우리 생활 전반에 넓게 펼쳐져 있어 사회 문화적인 변화 추이에 따라 컴퓨터 기술의 변화될 것이다. 컴퓨터 기술은 지난 50년 동안 엄청난 변화와 발전을 이룩하였다. 컴퓨터 기술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와 시간 및 공간을 뛰어 넘어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갈 것이다. 21세기 정보 시대에 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방책의 하나로 컴퓨터 기술 개발에 더 큰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 된다.
<참고 문헌>
동아 Economy, 차세대 자기메모리 오작동 문제 해결
사이언스타임즈
뉴턴코리아
서울대 공과대학 홈페이지
금융시스템과의 융합 - Mobile 금융거래
오락기기와의 융합 - Online Game, PC Game, Console Game
그 외의 가전기기와의 융합 - 청소로봇, 보안카메라
4. 최신 동향
최근의 인텔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프로세서아키텍처의 단일화이다. 1990년대 및 2000년대 초반까지의 Pentium 및 Pentium Mobile 개발 때와는 달리 최근의 인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저전력모바일, 데스크톱 및 고성능프로세서의 코어에 동일한 아키텍처를 사용한 프로세서 코어가 적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아키텍처의 단일화는 다양한 제품군의 개발에 따른 소프트웨어 제품의 최적화를 단기간에 가능케 하여 프로세서 아키텍처의 변경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최적화를 일관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인텔은 IDF 2010 Beijing에서 차세대 데스크톱 프로세서인 Sandy Bridge 코어를 통하여 프로세서의 개발 동향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Sandy Bridge 아키텍처의 가장큰 특징은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프로세서칩 안에 내장하였다. 또한 새로운 벡터 연산명령인 AVX 명령어를 실장하였다. AVX는 최대 256비트 폭의 SIMD 명령을 통해 8개의 32비트 부동소수점 연산이 가능하다.
향후 인텔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동향은 멀티 코어를 내장하며, 경우에 따라 SIMD 구조기반의 벡터 연산이 가능한 코어를 복수개 내장하는 이기종 멀티코어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발 동향과 더불어 상용 멀티 코어 제품으로 Larrabe에 대한 개발을 들 수 있다. Larrabe는 인텔이 Atom 프로세서의 개발과 동시에 시작된 그래픽칩 셋을 위한 멀티코어 프로세서이다. 주목할 만한 것은 2010년 ISSCC에서 발표한 SCC로 48개의 P54C급의 32비트 IA 코어를 사용한 연구용 프로세서이다. 2005년의 1TFlops, 80 코어 NoC 프로세서의 후속 연구 프로세서이다. SCC는 이전의 NoC와 달리 상용 IA를 사용하였다. Knights Corner의 시제품인 Knight
Ferry는 22nm 공정을 사용하여 32개의 IA 코어를 내장하고 있으며, 2011년 상용 제품이 출시하였다.
III. 결론
컴퓨터 기술 개발에 관한 예측은 컴퓨터의 활용 범위가 우리 생활 전반에 넓게 펼쳐져 있어 사회 문화적인 변화 추이에 따라 컴퓨터 기술의 변화될 것이다. 컴퓨터 기술은 지난 50년 동안 엄청난 변화와 발전을 이룩하였다. 컴퓨터 기술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와 시간 및 공간을 뛰어 넘어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갈 것이다. 21세기 정보 시대에 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방책의 하나로 컴퓨터 기술 개발에 더 큰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 된다.
<참고 문헌>
동아 Economy, 차세대 자기메모리 오작동 문제 해결
사이언스타임즈
뉴턴코리아
서울대 공과대학 홈페이지
키워드
추천자료
[공과대]-마이크로 프로세스의 구성요소,레지스터,외부 핀기능
컴퓨터 구조의 전반적인 이해 - 100장에 걸친 요약 리포트
마이크로 컨트롤러란?
[마케팅] 유명 대기업의 마케팅 성공사례와 발전과정 분석(삼성,나이키,스타벅스,아마존,소니...
[정보처리]PC의 구성 요소(하드웨어) - 워드프로세서(문서실무)
[반도체][반도체산업][반도체의 정의][반도체의 특성][반도체의 종류][반도체의 생산과정][반...
AVR마이크로컨트롤러 연습문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구조와 기능
마이크로컴퓨터설계 제안서, 8051컨트롤러, 초음파센서이용 거리측정 제안서
2011년 2학기 컴퓨터구조 기말시험 핵심체크
마이크로크레딧에 대한 이해와 사례분석(사회복지 금융시스템)
2013년 2학기 컴퓨터구조 기말시험 핵심체크
[과학기술사]마이크로 마우스
실험 7 예비(avr마이크로컨트롤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