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 및 실험 실험값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설재료 및 실험 실험값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를 보기로 들면 표 3-17과 같다.
표 3-17 유기불순물 판정의 보기
반 응 색
적 부
사 용 범 위
1:3 모르타르의 f7, f28의 강도저하율(%)
무색~담황색
녹 황 색
적 황 색
담 적 갈 색
암 적 갈 색



×
×
좋은 콘크리트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여도 좋다.
콘크리트의 강도가 작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없다.
사용할 수 없다.
0
10~20
15~30
25~50
50~100
(5)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값은 표 3-18과 같다.
(6) 만일 시험용액의 색도가 표준색 용액보다 진하더라도 소량의 석탄 또는 이와 유사한 분말(분말)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골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7) 시험용액의 색도가 표준색 용액보다 진하더라도 그 잔골재로 만든 모르타르 공시체의 7일 및 28일 압축강도가 그 잔골재를 3%의 수산화나트륨으로 씻고 다시 물로 씻어서 사용한 모르타르 공시체 압축강도 90% 이상으로 되는 잔골재는 사용해도 좋다. 이 때 잔골재를 씻을 경우에는 입도가 변화되지 않도록 세립의 손실에 유의하며 씻은 잔골재의 시험용액의 색도가 표준색 용액보다 연해야 한다[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 2 장 2 . 4 . 3].
(8) 유기물의 유무는 육안으로는 판별이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시험용액의 색깔이 표준용액의 색보다 진할 경우는 그 모래는 사용하지 않는다.
(9) 골재에 포함된 유기불순물은 주로 fumic 산(酸)과 tannin이며 이들은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저해하므로 콘크리트의 경화를 방해하며 강도를 서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표 3-18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값(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장 2.4.3)
종 류
최 대 값 (%)
점토덩어리
1.0*
0.08㎜체 통과량:
콘크리트 표면이 마모 작용을 받는 경우
기타의 경우
3.0**
5.0**
석탄과 갈탄 등으로 비중 2.0의 액체에 뜨는 것:
콘크리트의 외관이 중요한 경우
기타의 경우
0.5***
1.0***
염화물(염화물 이온량)
0.02****
【주】* 잔골재는 망체 1.2㎜에 걸리는 것을 시료로 한다.
** 부순모래 및 고로 슬래그 잔골재의 경우, 0.08㎜체를 통과하는 재료가 점토나 조개껍질이 아닌 돌가루인 경우에는 그 최대값을 각각 5%와 7%로 하여도 좋다.
*** 고로 슬래그 잔골재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 잔골재의 절대건조중량에 대한 백분율이며, 염화나트륨으로 환산하면 약 0.04%에 상당한다.
표 3-19 굵은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값(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장 2.5.3)
종 류
최 대 값 (%)
점토덩어리
0.25*
연한 석편
0.08㎜체 통과량
석탄과 갈탄 등으로 비중 2.0의 액체에 뜨는 것 :
콘크리트의 외관이 중요한 경우
기타의 경우
5.0**
1.0***
0.5****
1.0****
【주】* 점토덩어리와 연한석편의 합이 5%를 넘으면 안된다.
** 교통이 심한 슬래브 또는 표면의 경도가 특히 요구되는 경우에 적용한다.
*** 부순돌의 경우, 0.08㎜ 체를 통과하는 재료가 돌가루인 경우에는 최대값을 1.5%로 해도 좋다. 다만,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의 경우에는 최대값을 5.0%로 해도 좋다.
****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모 래 의 유 기 불 순 물 시 험
시 험 일
2007년 4 월 29 일 ( B반 3조 )
시 료 명
잔골재 (강모래)
측 정 번 호
1
2
3
4
판 정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고 찰
-총 3번의 실험을 한 결과 표준색시료가 적황색 이고, 색도의 측정은 실험 후 24시간 뒤에 측정하였으며 저희가 실험 한 3번의 실험 모두 무색보다는 진하지만 황색보다 는 연한 ‘담황색’을 띄었습니다.
즉, 담황색으로 인해 시료로 사용한 모래는 콘크리트를 비빌때 사용하는데는 적합하 다고 생각 됨니다.
<실험한 사진의 결과>
<1> <2> <3>
<전체의 모습>
실 험 자
김호찬
검 인
200 년 월 일
성 명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함유시험
시험일
2008 년 5 월 13 일 수요일
시험실의상태
실온(℃)
습도(%)
수온(℃)
21
51
16
시료
시방배합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mm)
슬럼프의범위
(cm)
공기량의범위
(%)
물-시멘트비(%)
잔골재율
(S/a)
단위량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측정번호
1
2
3
4
①겉보기공기량
②골재수정계수
③공기량 ①~②
(%)
1.72%
2.10%
2.30%
2.48%
④콘크리트의 온도(C)
고찰
기구에서 빼낸 물의양
실험치(%)
계산치(%)
실험치와 계산치의 차이
100ml
1.72%
1.41%
0.31%
120ml
2.10%
1.69%
0.41%
140ml
2.30%
1.83%
0.47%
160ml
2.48%
2.11%
0.37%
◎계산치 계산법
(뺀물의양/남은 물의 양) x 100
- 이 실험은 원래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시료로 사용하여야 하나 물로써 대체한다.
- 실험을 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물을 가득 채우는 작업이 힘들었으며 압력이 제대로 맞춰지지 않아 여러번 반복해서 제대로된 압력을 찾았다.
- 이 실험을 통해 배합설계시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공기함유량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실험자
( B 반 2 조)
성 명
김호찬(20611117) 최정현(20611257) 안해찬(20611175)
검인
년 월 일
성명
콘크리트 비파괴 강도 시험 (반발경도시험법)
시험수
경도 값 (R)
비 고
시험수
경도 값 (R)
비 고
1
39
16
39
2
37
17
39
3
40
18
40
4
39
19
39
5
38
20
38
6
39
21
36
7
40
22
40
8
42
23
40
9
40
24
42
10
43
25
41
11
39
12
38
13
40
14
40
15
40
20개 시험치의 반발경도 평균치: 40.05
범위: 최소값 32.04
최대값 48.06
유효범위내의 반발경도 평균치: 40.05
압축강도
2개 식의 평균치
추정압축강도
(반발경도의 보정계수=3000일 이상일 때 0.63)
시험일자: 2009 년 5 월 20 일 B 반 2 조
시험자 성명: 김호찬(20611117) 안해찬(20611175)최정현(20611257)
  • 가격3,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4.0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7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