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 기구 및 장비
4. 이론
5. 실험방법
6. 시험결과 분석
7.오차의 원인
8. 토의
2. 실험목적
3. 실험 기구 및 장비
4. 이론
5. 실험방법
6. 시험결과 분석
7.오차의 원인
8. 토의
본문내용
이물질이 묻거나 흙 시료의 손실이 있을 경우 무게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물질이 묻을 경우 무게가 증가하며, 시료의 손실이 있을 경우 무게가 감소하므로 이는 실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물의 증발에 의한 오차
- 물과 흙을 섞을 때 , 시료를 다질 때 그 밖의 기간에도 물이 증발 하였을 것이다. 이 값은 실험실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기 때문에 시험실 온도 표준을 정해 놓고 그 온도에 맞춰놓고 실험 한다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흙에 물을 섞는 과정에서 골고루 물과 혼합이 된다는 것은 불가
rammer로 다지는 과정에서 모든 부분을 고르게 다진다는 것도 힘들므로 다지는 과정상에서도 발생할 수가 있다. 매번 다짐 시에 래머 저면에 부착된 흑을 깍지 않아 오차가 발생 되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칼라를 빼는 과정에서도 흙의 손실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무게나 함수비에 대한 오차도 발생했으리라 생각 된다.
몰드의 용적에 대한 오차
- 몰드의 높이를 측정하지 않고 규격에 나오는 용적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실제 용적과는 차이가 날것이라 판단되고 그로 인해 단위 중량 값에 대한 오차를 유발 했으리라 생각된다.
8.토의
1) 다짐시공에의 이용
다짐실험은 현장에서의 전압기계가 흙을 다지는 상황을 실험실내에서 재현시키는 것이라 생각하기 쉬우나 여러 경우 다짐시험으로부터 얻어지는 다짐곡선과 현장에서 그 흙이 전압기계에 의하여 전압 된 경우의 다짐곡선과는 형태도 값도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내다짐시험의 이용으로서는
① 각종 흙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다지기 어려운 흙인가 아닌가를 상호 비교한다. (γdmax의 값 및 다짐곡선의 형상에서)
② 현장의 다짐상태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사용한다.
위의 ①,②두 가지가 주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①은 다짐시험 결과를 이용한 흙의 분류, 판별의 한 수법이라 말할 수 있고, 곡선의 형상에서 경험적으로 현장의 시공 상의 문제점도 관련시킬 수가 있다.
②는 도로나 철도 등의 성토, 노반, Fill Dam 등의 다짐 시공에 있어서, 그 다짐시험의 최대건조밀도 max 에 대한 다짐 후의 건조밀도 f와의 비 즉 ( f / max ) × 100 = Cd [%]로 지정할 때에 사용된다.
2) 상대밀도
흙의 다짐정도를 나타내는 량으로 상대밀도 Dr [%]가 있으며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max, emin은 그 흙의 다짐이 가장 양호한 상태의 건조밀도, 간극비이며,d, e는 Dr을 구하고자 하는 다짐상태의 건조밀도, 간극비이다.
상대밀도는 일반적으로 점성이 작은 사질토에 이용되며 다짐정도와의 관련은 다음과 같다.
Dr = 0. ~ 0.33 느슨한 상태
Dr = 0.33 ~ 0.70 보통상태
Dr = 0.7 ~ 1.00 조밀한 상태
-최대건조단위중량이 높은 흙일수록 최적함수비가 낮다.
-조립도일수록 최대단위중량이 높고, 다짐곡선의 변화도 예민하다. 따라서 세립토 일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이 낮고 다짐곡선의 변화도 완만하다.
-모래일지라도 입도가 양호한 모래일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은 크고, 최적함수비는 작다.
물의 증발에 의한 오차
- 물과 흙을 섞을 때 , 시료를 다질 때 그 밖의 기간에도 물이 증발 하였을 것이다. 이 값은 실험실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기 때문에 시험실 온도 표준을 정해 놓고 그 온도에 맞춰놓고 실험 한다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흙에 물을 섞는 과정에서 골고루 물과 혼합이 된다는 것은 불가
rammer로 다지는 과정에서 모든 부분을 고르게 다진다는 것도 힘들므로 다지는 과정상에서도 발생할 수가 있다. 매번 다짐 시에 래머 저면에 부착된 흑을 깍지 않아 오차가 발생 되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칼라를 빼는 과정에서도 흙의 손실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무게나 함수비에 대한 오차도 발생했으리라 생각 된다.
몰드의 용적에 대한 오차
- 몰드의 높이를 측정하지 않고 규격에 나오는 용적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실제 용적과는 차이가 날것이라 판단되고 그로 인해 단위 중량 값에 대한 오차를 유발 했으리라 생각된다.
8.토의
1) 다짐시공에의 이용
다짐실험은 현장에서의 전압기계가 흙을 다지는 상황을 실험실내에서 재현시키는 것이라 생각하기 쉬우나 여러 경우 다짐시험으로부터 얻어지는 다짐곡선과 현장에서 그 흙이 전압기계에 의하여 전압 된 경우의 다짐곡선과는 형태도 값도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내다짐시험의 이용으로서는
① 각종 흙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다지기 어려운 흙인가 아닌가를 상호 비교한다. (γdmax의 값 및 다짐곡선의 형상에서)
② 현장의 다짐상태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사용한다.
위의 ①,②두 가지가 주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①은 다짐시험 결과를 이용한 흙의 분류, 판별의 한 수법이라 말할 수 있고, 곡선의 형상에서 경험적으로 현장의 시공 상의 문제점도 관련시킬 수가 있다.
②는 도로나 철도 등의 성토, 노반, Fill Dam 등의 다짐 시공에 있어서, 그 다짐시험의 최대건조밀도 max 에 대한 다짐 후의 건조밀도 f와의 비 즉 ( f / max ) × 100 = Cd [%]로 지정할 때에 사용된다.
2) 상대밀도
흙의 다짐정도를 나타내는 량으로 상대밀도 Dr [%]가 있으며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max, emin은 그 흙의 다짐이 가장 양호한 상태의 건조밀도, 간극비이며,d, e는 Dr을 구하고자 하는 다짐상태의 건조밀도, 간극비이다.
상대밀도는 일반적으로 점성이 작은 사질토에 이용되며 다짐정도와의 관련은 다음과 같다.
Dr = 0. ~ 0.33 느슨한 상태
Dr = 0.33 ~ 0.70 보통상태
Dr = 0.7 ~ 1.00 조밀한 상태
-최대건조단위중량이 높은 흙일수록 최적함수비가 낮다.
-조립도일수록 최대단위중량이 높고, 다짐곡선의 변화도 예민하다. 따라서 세립토 일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이 낮고 다짐곡선의 변화도 완만하다.
-모래일지라도 입도가 양호한 모래일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은 크고, 최적함수비는 작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