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콘크리트 골재에 요구되는 성질
2. 골재의 분류
3.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정의
4. 골재의 입도, 비중, 강도
5. 단위 용적중량과 실적률
6. 흡수율
7. 알카리 골재반응이란?
8. 부순 골재, 경량골재
9. 배합수
■ 참고문헌
2. 골재의 분류
3.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정의
4. 골재의 입도, 비중, 강도
5. 단위 용적중량과 실적률
6. 흡수율
7. 알카리 골재반응이란?
8. 부순 골재, 경량골재
9. 배합수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변동폭이 작아야 한다.
(바) 강도 : 경량 골재의 강도는 하천 자갈보다 작고 화산 자갈보다 크다. 경량 굵은 골재의 강도 시험은 골재의 파쇄 시험 방법에 따른다.
(사) 내구성 : 기상 작용을 받는 콘크리트에 경량 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동결 융해 시험 결과에 의하여 그 골재의 동해성에 대한 내구성을 확인해야 한다. 경량 골재 콘크리트의 동결 융해의 반복 작용에 대한 저항력은 골재 내부의 공극 구조와 주위의 모르타르 내의 공극의 양자 관계에 따라 정해지므로, 동결 융해 시험은 현장에서의 기상 조건을 고려하여 시행해야 한다.
9. 배합수
(1) 콘크리트의 비비기에 사용하는 물
1) 콘크리트의 용적의 약 15%정도를 차지하며 콘크리트에 필요한 유동성을 주고, 시멘트와 수화 작용을 하여 경화를 촉진시키는 콘크리트의 기본 재료
2) 기름, 산, 유기 불순물, 혼탁물 등 콘크리트나 강재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유해량이 함유되어 있으면, 콘크리트의 응결, 경화 및 강도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체적 변화, 강재의 녹발생 등을 일으킨다.
3) 그러므로 혼합용수는 특별한 맛, 냄새, 빛깔, 탁도 등이 없는 깨끗한 물을 사용해야 한다.
(2) 혼합수의 종류
① 상수도물
수돗물은 하천수, 지하수 등을 수원으로 하며, 유해한 염류나 유기물 등이 거의 없어 수질이 좋으므로 시험하지 않아도 콘크리트용 혼합수로서 사용 할 수 있다.
② 상수도 이외의 물
1) 하천수 : 구하천수에는 칼슘분과 규산분 등이 다소 들어 있지만, 콘크리트용 혼합수로서는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공장 폐수로 오염된 것이나 하구 가까이에 있는 하천수는 사용할 때 주의하여야 한다.
2) 지하수 : 지하수에는 알칼리 금속, 칼슘, 마그네슘, 철 또는 망간 등의 염화물, 질산염, 탄산염 등이 용해되어 있어, 하천수에 비교하여 탄산이나 중탄산염의 함유량이 많다. 일반적으로 혼합수로서 유해량의 염류를 함유하고 있는 것은 드물어 혼합수로 사용되고 있다. 해안 지대에 rkRK이 있는 지하수는 염소 이온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할 때에는 주의하여야 한다.
3) 해수 : 해수는 강재를 부식시킬 염려가 있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및 강 콘크리트 합성 구조에서는 혼합수로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염소 이온의 양이 3000ppm 정도를 넘으면 철근이 녹슬 염려가 많다. 그러나, 가외 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무근 콘크리트에서는 해수를 사용해도 좋지만, 장기 강도의 증가를 작게 하고 내구성을 저하시키며, 에플로레센스가 생기기 쉽다.
③ 회수수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공장이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믹서 또는 트럭애지테이터 등을 씻은 물 윗부분의 맑은 물은 콘크리트의 강도, 워커빌리티 등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확실하면 혼합수로 사용해도 좋다.
또 쓰고 남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서 골재를 회수한 시멘트 등의 미분말이 혼탁되어 있는 슬러지(sladge) 물은 콘크리트에 나쁜 영향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 혼탁 농도, 혼탁 물질의 단위 시멘트량에 대한 비율 등을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 물은 혼합수로 사용해도 좋다. 다만 회수수 중에는 염화물이나 알칼리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사용에 있어서는 이들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건설 재료학 - 김홍철[청문각]
建設 材料學 - 신방웅 외 [구미서관]
건축 재료학 - 정상진 외 [기문당]
건축 재료 실험 교재 - 조도연 외 [공간예술사]
건축 재료 - 대한 건축학회 편 [기문당]
사이트
http://www.midocorp.net/ (미도 기업)
(바) 강도 : 경량 골재의 강도는 하천 자갈보다 작고 화산 자갈보다 크다. 경량 굵은 골재의 강도 시험은 골재의 파쇄 시험 방법에 따른다.
(사) 내구성 : 기상 작용을 받는 콘크리트에 경량 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동결 융해 시험 결과에 의하여 그 골재의 동해성에 대한 내구성을 확인해야 한다. 경량 골재 콘크리트의 동결 융해의 반복 작용에 대한 저항력은 골재 내부의 공극 구조와 주위의 모르타르 내의 공극의 양자 관계에 따라 정해지므로, 동결 융해 시험은 현장에서의 기상 조건을 고려하여 시행해야 한다.
9. 배합수
(1) 콘크리트의 비비기에 사용하는 물
1) 콘크리트의 용적의 약 15%정도를 차지하며 콘크리트에 필요한 유동성을 주고, 시멘트와 수화 작용을 하여 경화를 촉진시키는 콘크리트의 기본 재료
2) 기름, 산, 유기 불순물, 혼탁물 등 콘크리트나 강재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유해량이 함유되어 있으면, 콘크리트의 응결, 경화 및 강도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체적 변화, 강재의 녹발생 등을 일으킨다.
3) 그러므로 혼합용수는 특별한 맛, 냄새, 빛깔, 탁도 등이 없는 깨끗한 물을 사용해야 한다.
(2) 혼합수의 종류
① 상수도물
수돗물은 하천수, 지하수 등을 수원으로 하며, 유해한 염류나 유기물 등이 거의 없어 수질이 좋으므로 시험하지 않아도 콘크리트용 혼합수로서 사용 할 수 있다.
② 상수도 이외의 물
1) 하천수 : 구하천수에는 칼슘분과 규산분 등이 다소 들어 있지만, 콘크리트용 혼합수로서는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공장 폐수로 오염된 것이나 하구 가까이에 있는 하천수는 사용할 때 주의하여야 한다.
2) 지하수 : 지하수에는 알칼리 금속, 칼슘, 마그네슘, 철 또는 망간 등의 염화물, 질산염, 탄산염 등이 용해되어 있어, 하천수에 비교하여 탄산이나 중탄산염의 함유량이 많다. 일반적으로 혼합수로서 유해량의 염류를 함유하고 있는 것은 드물어 혼합수로 사용되고 있다. 해안 지대에 rkRK이 있는 지하수는 염소 이온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할 때에는 주의하여야 한다.
3) 해수 : 해수는 강재를 부식시킬 염려가 있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및 강 콘크리트 합성 구조에서는 혼합수로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염소 이온의 양이 3000ppm 정도를 넘으면 철근이 녹슬 염려가 많다. 그러나, 가외 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무근 콘크리트에서는 해수를 사용해도 좋지만, 장기 강도의 증가를 작게 하고 내구성을 저하시키며, 에플로레센스가 생기기 쉽다.
③ 회수수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공장이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믹서 또는 트럭애지테이터 등을 씻은 물 윗부분의 맑은 물은 콘크리트의 강도, 워커빌리티 등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확실하면 혼합수로 사용해도 좋다.
또 쓰고 남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서 골재를 회수한 시멘트 등의 미분말이 혼탁되어 있는 슬러지(sladge) 물은 콘크리트에 나쁜 영향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 혼탁 농도, 혼탁 물질의 단위 시멘트량에 대한 비율 등을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 물은 혼합수로 사용해도 좋다. 다만 회수수 중에는 염화물이나 알칼리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사용에 있어서는 이들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건설 재료학 - 김홍철[청문각]
建設 材料學 - 신방웅 외 [구미서관]
건축 재료학 - 정상진 외 [기문당]
건축 재료 실험 교재 - 조도연 외 [공간예술사]
건축 재료 - 대한 건축학회 편 [기문당]
사이트
http://www.midocorp.net/ (미도 기업)
추천자료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 예비,결과
노출콘크리트 시방서
RC(철근콘크리트)역사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 방법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 결과값 & 고찰
ksf2405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
콘크리트의 종류 및 균열과 백화 현상에 대해서
[아스팔트][아스팔트의 성질][아스팔트의 품질관리][아스팔트의 연기][아스팔트의 용해][아스...
(결)압축강도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2405)
건축공학-콘크리트의 내구성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concrete batch plant)
[건설시공학] ≪콘크리트파일의 종류와 특성≫ 콘크리트파일의 개념과 종류 및 특성 - 현장타설...
실험보고서 -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및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