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렸을 때 잔골재의 원추모양이 흘러내릴 때까지 계속해서 잔골재를 헤쳐 말려야 하며 또 자주 이 시험을 해보아야 한다.
5) 원추모양이 처음 흘러내린다는 것은 잔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에 달 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6) 이 500g의 잔골재를 곧 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용량의 90%까지 채운 다음 플라스크를 평평한 면에 굴려 기포를 모두 없앤다.
7) 플라스크를 향온수조에 담그어 23±1.7℃의 온도를 조정한 후 플라스 크 시료와 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 무게와 기타의 무게를 0.1g까지 기록한다.
8) 잔골재를 플라스크에서 꺼낸 다음 항량이 될 때가지 105±5℃에서 건 조 시키고 실내온도까지 식힌후 무게를 단다.
9) 23±1.7℃의 물을 플라스크의 검정용량까지 채워 중량을 측정한다.
4. 실험시 유의 사항
1) 적재되어 있는 많은 골재로부터 대표적인 시험용 골재를 채취하는 경 우에는 여러 곳에서 채취하는 것이 좋다.
2) 잔 골재를 원추형 몰드에 넣고 다질 때 다짐대의 중량만으로 다지도록 한다.
3)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기 전에 소량의 물을 넣어 두면 플라스크가 깨질염려가 없다.
4) 잔골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2.50∼2.70 정도이다.
5. 실험 결과
A = 대기중 노건조시료의 중량(g)
B = 물을 채운 플라스크의 중량(g)
C = 공시체와 물을 검정점까지 채운 플라스크의 중량(g)
D = 건조중량(g)
비중
:
A
B+500-C
표건포화상태 비중
:
500
B+500-C
겉보기 비중
:
A
B+A-C
흡수율(%)
:
(500-D)*100
D
결과 수치
구분
표면건조상태 시료의 중량(g) A
물을 채운 플라스크의 중량(g)B
공시체와 물을 검정점까지 채운 플라스크의 중량(g)C
건조중량(g) D
B 중량
500g
713g
988g
488g
A 중량
500g
751g
990g
490g
계산 결과
비중
표면 건조 포화상태비중
겉보기 비중
흡수율
B조
2.22
2.22
2.22
2.46
A조
1.92
1.92
1.92
2.04
6.고찰
원추형 몰드에서 골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육안으로 판별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드라이기로 말리는 과정에서 작은 입자들이 다 날라가 버려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었습니다.
값은 많이 벗어났는데 실험과정에서 원추형 몰드가 어느정도 흘러내리자 바로 이것을 가지고 실험 했던 것이 큰 이유였던 것 같습니다.
5) 원추모양이 처음 흘러내린다는 것은 잔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에 달 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6) 이 500g의 잔골재를 곧 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용량의 90%까지 채운 다음 플라스크를 평평한 면에 굴려 기포를 모두 없앤다.
7) 플라스크를 향온수조에 담그어 23±1.7℃의 온도를 조정한 후 플라스 크 시료와 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 무게와 기타의 무게를 0.1g까지 기록한다.
8) 잔골재를 플라스크에서 꺼낸 다음 항량이 될 때가지 105±5℃에서 건 조 시키고 실내온도까지 식힌후 무게를 단다.
9) 23±1.7℃의 물을 플라스크의 검정용량까지 채워 중량을 측정한다.
4. 실험시 유의 사항
1) 적재되어 있는 많은 골재로부터 대표적인 시험용 골재를 채취하는 경 우에는 여러 곳에서 채취하는 것이 좋다.
2) 잔 골재를 원추형 몰드에 넣고 다질 때 다짐대의 중량만으로 다지도록 한다.
3)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기 전에 소량의 물을 넣어 두면 플라스크가 깨질염려가 없다.
4) 잔골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2.50∼2.70 정도이다.
5. 실험 결과
A = 대기중 노건조시료의 중량(g)
B = 물을 채운 플라스크의 중량(g)
C = 공시체와 물을 검정점까지 채운 플라스크의 중량(g)
D = 건조중량(g)
비중
:
A
B+500-C
표건포화상태 비중
:
500
B+500-C
겉보기 비중
:
A
B+A-C
흡수율(%)
:
(500-D)*100
D
결과 수치
구분
표면건조상태 시료의 중량(g) A
물을 채운 플라스크의 중량(g)B
공시체와 물을 검정점까지 채운 플라스크의 중량(g)C
건조중량(g) D
B 중량
500g
713g
988g
488g
A 중량
500g
751g
990g
490g
계산 결과
비중
표면 건조 포화상태비중
겉보기 비중
흡수율
B조
2.22
2.22
2.22
2.46
A조
1.92
1.92
1.92
2.04
6.고찰
원추형 몰드에서 골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육안으로 판별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드라이기로 말리는 과정에서 작은 입자들이 다 날라가 버려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었습니다.
값은 많이 벗어났는데 실험과정에서 원추형 몰드가 어느정도 흘러내리자 바로 이것을 가지고 실험 했던 것이 큰 이유였던 것 같습니다.
추천자료
잔골재 비중, 흡수량실험
콘크리트 강도의 미치는 요소
암석역학실험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시험 결과보고서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
철근콘크리트 공사) 콘크리트 공사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 결과값 & 고찰
골재의 체가름 시험 고찰
2010년 2학기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중간시험과제물 E형(유아교육에서 놀이 차지 비중)
잔골재 밀도 및 흡수율
[건설재료 실험]잔골재 밀도 및 흡수율
ksf2504_잔골재의_밀도_및_흡수율_시험_방법
[건축재료 실험] 슬럼프, 시브 - 골재의 체가름 시험 (KS F 25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
체분석법 사전보고서 :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통해서 입도분포 곡선에서 유효입경(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