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콘크리트 재료
1. 시멘트
①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
② 조강 포틀랜트 시멘트
③ 중용열 포틀랜트 시멘트
④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
⑤ 고로 시멘트
⑥ 알루미나 시멘트
2. 골재
3. 물
4. 혼화재료
2. 콘크리트 시험 및 시공
1. 압축강도시험
2. 휨강도시험
3. 슬럼프시험
4. 비파괴 검사법
① 슈미트 헤머법(타격법 ; 반발경도법)
② 초음파 측정법
3. 특수콘크리트
1. 한중콘크리트
2. 서열기콘크리트
3. 수중콘크리트
4. 경량콘크리트
5. 수밀콘크리트
6. 쇄석콘크리트 (깬자갈 콘크리트)
7. 고강도콘크리트
8. 매스콘크리트
9. 프리팩트 콘크리트
10. 제치장콘크리트
1. 시멘트
①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
② 조강 포틀랜트 시멘트
③ 중용열 포틀랜트 시멘트
④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
⑤ 고로 시멘트
⑥ 알루미나 시멘트
2. 골재
3. 물
4. 혼화재료
2. 콘크리트 시험 및 시공
1. 압축강도시험
2. 휨강도시험
3. 슬럼프시험
4. 비파괴 검사법
① 슈미트 헤머법(타격법 ; 반발경도법)
② 초음파 측정법
3. 특수콘크리트
1. 한중콘크리트
2. 서열기콘크리트
3. 수중콘크리트
4. 경량콘크리트
5. 수밀콘크리트
6. 쇄석콘크리트 (깬자갈 콘크리트)
7. 고강도콘크리트
8. 매스콘크리트
9. 프리팩트 콘크리트
10. 제치장콘크리트
본문내용
AE제 : 미세한 기포를 연행하여 워커빌리티를 향상. 내구성 증진.
2. 서열기콘크리트
⑴ 월평균 기온이 25℃를 넘을 때 사용하는 콘크리트 (기온이 25℃를 넘을 때 수화작용이 급격하여 응결이 촉진되어 경화후 균열이 커지고 강도가 저하된다.)
⑵ 물은 냉각수를 쓰고 골재는 직사광선을 피한다.
⑶ 양생시 수분증발 방지를 위하여 살수 및 젖은 천을 사용한다.
3. 수중콘크리트
⑴ 물이 많이 나고 배수가 불가능한 지하층이나 기초공사 등의 콘크리트 공사.
⑵ 배합시 공기 중에서 보다 시멘트를 10~30%를 증가시킨다.
4. 경량콘크리트
: 천연 또는 인공 경량골재를 사용하여 중량이 1.7t/㎥의 콘크리트.
⑴ 장점
① 자중이 적어진다.
② 운반 및 타설의 작업이 쉽다.
③ 내화성이 크다.
④ 열전도율이 적고 방음성질이 우수하다.
⑵ 단점
① 강도가 적다
② 건조수축이 크다.
5. 수밀콘크리트
⑴ 콘크리트 자체를 밀도가 높고 내구적, 내수적으로 만들어 물 침입을 방지한다.
⑵ 물시멘트비는 55%이하로 하고, 진동다짐을 원칙으로 한다.
⑶ 골재는 둥글고 양호한 것으로 굵은골재는 최대지름이 규정된 치수 이하인 적당한 입도를 사용한다.
⑷ 가능한 이음을 두지 말고 부득이한 경우는 반드시 방수처리를 한다.
⑸ 혼합은 3분이상 충분하게 하고 슬럼프 값은 18㎝이하로 한다.
⑹ AE제를 사용한다.
6. 쇄석콘크리트 (깬자갈 콘크리트)
⑴ 강도는 보통콘크리트 보다 10-20%증가
⑵ 시공연도는 좋지 않으므로 AE제를 사용한다.
7. 고강도콘크리트
⑴ 강도가 큰 콘크리트로 보통콘크리트 300㎏/㎠. 경량 콘크리트 270㎏/㎠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⑵ 단위수량, 단위시멘트량, 잔골재율은 적게 한다.
⑶ AE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8. 매스콘크리트
⑴ 콘크리트 단면이 건축공사에는 80㎝, 토목공사에는 100㎝이상인 것으로 콘크리트 내부의 최고온도와 외부의 최저온도가 25℃이상 차이가 날 경우 사용한다.
⑵ 수화열이 낮은 중용열 시멘트를 사용한다.
⑶ 굵은 골재의 최대칫수를 크게하고 잔골재율을 작게한다.
⑷ 가능한 슬럼프의 값을 작게한다.
9. 프리팩트 콘크리트
⑴ 굵은골재를 거푸집에 넣고 그 사이에 파이프를 통하여 특수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바르는 것.
⑵ 재료의 분리 수축이 보통콘크리트보다 1/2정도 적다.
⑶ 수밀성이 높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염류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10. 진공콘크리트
- 버큠콘크리트(Vacuum Concrete)라고도 하고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진공 매트로 수분과 공기를 진공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주로 바닥 포장용에 쓰인다.
1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 PS Concrete)
① Pretension 방법 : 강재에 인장력을 가함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 →인장력제거
(공장제조 : 대량제조가능, 대형부재는 부적합)
② Posttension 방법 : Sheath삽입후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 →Sheath 내에 강재 긴장 →Sheath내에 Grouting후 경화. (현장제조 : 대형부재 적합)
12. 레디믹스드 콘크리트(Readymixed Concrete)
- 일명 레미콘이라고 하고 레미콘 차에 재료를 투입하고 섞어가며 현장으로 운반한다.
⑴ 장점
① 협소한 장소에서 대량의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② 콘크리트의 품질이 균등하고 비용이 저렴해 진다.
⑵ 단점
① 현장과 제조자 간의 충분한 협의가 필요하다.
② 운반차의 출입경로 및 짐부리기의 설비 필요.
③ 운반중 재료분리 및 시간경과의 우려가 많다.
⑶ 종류
① 센트럴 : 고정믹서로 비비기가 완료된 콘크리트를 트럭믹서로 현장까지 운반. (근거리)
② 슈링크 : 고정믹서로 비비기가 어느정도 완료된 콘크리트를 트럭믹서 완전히 비비면서 현장까지 운반. (중거리)
③ 트렌싯 : 트럭믹서에 모든 재료가 투입되고 운반도중에 비비면서 현장까지 운반. (장거리)
13. 제치장콘크리트
⑴ 외장을 하지 않고 노출면 콘크리트 자체가 마감면이 되는 콘크리트
⑵ 색상의 변화가 없어야 하므로 동일한 회사의 제품을 사용한다.
⑶ 부배합, 된비빔을 한다.
⑷ 자갈은 25㎜이하를 사용하고 가능한 잔 것을 사용한다.
⑸ 철근과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는 1㎝이상을 증가시킨다.
⑹ 부어넣기시 슈트나 손차로 하지 않고 비빔판에 받아 직접 각삽으로 떠 넣는다.
⑺ 벽, 기둥은 한거번에 꼭대기까지 타설한다.
⑻ 거푸집은 메탈폼이나 유로폼을 사용한다.
2. 서열기콘크리트
⑴ 월평균 기온이 25℃를 넘을 때 사용하는 콘크리트 (기온이 25℃를 넘을 때 수화작용이 급격하여 응결이 촉진되어 경화후 균열이 커지고 강도가 저하된다.)
⑵ 물은 냉각수를 쓰고 골재는 직사광선을 피한다.
⑶ 양생시 수분증발 방지를 위하여 살수 및 젖은 천을 사용한다.
3. 수중콘크리트
⑴ 물이 많이 나고 배수가 불가능한 지하층이나 기초공사 등의 콘크리트 공사.
⑵ 배합시 공기 중에서 보다 시멘트를 10~30%를 증가시킨다.
4. 경량콘크리트
: 천연 또는 인공 경량골재를 사용하여 중량이 1.7t/㎥의 콘크리트.
⑴ 장점
① 자중이 적어진다.
② 운반 및 타설의 작업이 쉽다.
③ 내화성이 크다.
④ 열전도율이 적고 방음성질이 우수하다.
⑵ 단점
① 강도가 적다
② 건조수축이 크다.
5. 수밀콘크리트
⑴ 콘크리트 자체를 밀도가 높고 내구적, 내수적으로 만들어 물 침입을 방지한다.
⑵ 물시멘트비는 55%이하로 하고, 진동다짐을 원칙으로 한다.
⑶ 골재는 둥글고 양호한 것으로 굵은골재는 최대지름이 규정된 치수 이하인 적당한 입도를 사용한다.
⑷ 가능한 이음을 두지 말고 부득이한 경우는 반드시 방수처리를 한다.
⑸ 혼합은 3분이상 충분하게 하고 슬럼프 값은 18㎝이하로 한다.
⑹ AE제를 사용한다.
6. 쇄석콘크리트 (깬자갈 콘크리트)
⑴ 강도는 보통콘크리트 보다 10-20%증가
⑵ 시공연도는 좋지 않으므로 AE제를 사용한다.
7. 고강도콘크리트
⑴ 강도가 큰 콘크리트로 보통콘크리트 300㎏/㎠. 경량 콘크리트 270㎏/㎠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⑵ 단위수량, 단위시멘트량, 잔골재율은 적게 한다.
⑶ AE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8. 매스콘크리트
⑴ 콘크리트 단면이 건축공사에는 80㎝, 토목공사에는 100㎝이상인 것으로 콘크리트 내부의 최고온도와 외부의 최저온도가 25℃이상 차이가 날 경우 사용한다.
⑵ 수화열이 낮은 중용열 시멘트를 사용한다.
⑶ 굵은 골재의 최대칫수를 크게하고 잔골재율을 작게한다.
⑷ 가능한 슬럼프의 값을 작게한다.
9. 프리팩트 콘크리트
⑴ 굵은골재를 거푸집에 넣고 그 사이에 파이프를 통하여 특수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바르는 것.
⑵ 재료의 분리 수축이 보통콘크리트보다 1/2정도 적다.
⑶ 수밀성이 높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염류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10. 진공콘크리트
- 버큠콘크리트(Vacuum Concrete)라고도 하고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진공 매트로 수분과 공기를 진공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주로 바닥 포장용에 쓰인다.
1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 PS Concrete)
① Pretension 방법 : 강재에 인장력을 가함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 →인장력제거
(공장제조 : 대량제조가능, 대형부재는 부적합)
② Posttension 방법 : Sheath삽입후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 →Sheath 내에 강재 긴장 →Sheath내에 Grouting후 경화. (현장제조 : 대형부재 적합)
12. 레디믹스드 콘크리트(Readymixed Concrete)
- 일명 레미콘이라고 하고 레미콘 차에 재료를 투입하고 섞어가며 현장으로 운반한다.
⑴ 장점
① 협소한 장소에서 대량의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② 콘크리트의 품질이 균등하고 비용이 저렴해 진다.
⑵ 단점
① 현장과 제조자 간의 충분한 협의가 필요하다.
② 운반차의 출입경로 및 짐부리기의 설비 필요.
③ 운반중 재료분리 및 시간경과의 우려가 많다.
⑶ 종류
① 센트럴 : 고정믹서로 비비기가 완료된 콘크리트를 트럭믹서로 현장까지 운반. (근거리)
② 슈링크 : 고정믹서로 비비기가 어느정도 완료된 콘크리트를 트럭믹서 완전히 비비면서 현장까지 운반. (중거리)
③ 트렌싯 : 트럭믹서에 모든 재료가 투입되고 운반도중에 비비면서 현장까지 운반. (장거리)
13. 제치장콘크리트
⑴ 외장을 하지 않고 노출면 콘크리트 자체가 마감면이 되는 콘크리트
⑵ 색상의 변화가 없어야 하므로 동일한 회사의 제품을 사용한다.
⑶ 부배합, 된비빔을 한다.
⑷ 자갈은 25㎜이하를 사용하고 가능한 잔 것을 사용한다.
⑸ 철근과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는 1㎝이상을 증가시킨다.
⑹ 부어넣기시 슈트나 손차로 하지 않고 비빔판에 받아 직접 각삽으로 떠 넣는다.
⑺ 벽, 기둥은 한거번에 꼭대기까지 타설한다.
⑻ 거푸집은 메탈폼이나 유로폼을 사용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