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의 도로의 지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남의 도로의 지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남의 도로의 지리학


(1) 한국의 도로
1) 들어가며
2) 도로교통의 발달과정
① 조선시대
② 일제강점기
③ 해방이후
3) 답사를 다녀와서 : 지리학도의 시선으로 바라보기
① 교통의 요지에는 사람이 모이기 마련!
② 왜, 조선시대 도로는 그리 열악할 수밖에 없었던 것일까?
③ 조선시대는 방사형의 도로! 그렇다면, 오늘날의 한국은?
④ 오직 도로의 변화만 우리의 공간에 영향을 미칠까?

본문내용

. 조선시대의 도로는 단지 주요 행정중심지 및 군사기지를 잇는 정치·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되었을 뿐이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대중을 위한 교통로로서의 기능은 미흡했다고 볼 수 있겠다.
③ 조선시대는 방사형의 도로! 그렇다면, 오늘날의 한국은?
도로망이란 복수의 교차로로 접속된 도로의 집합체를 말한다. 도로망 형태로는 격자형, 방사 환상형, 막힌 도로형, 루프형 등 다양하다.
조선시대의 도로망의 형태는 수도인 한양을 중심으로 한 방사상의 직선형도로의 모습(그림 Ⅳ-1-①)을 띄고 있었다. 당시 사회적 여건이나 과학기술의 발전 상황을 보았을 때 조선시대의 도로망은 그 시대로서는 가장 효율적인 최선의 도로망 일 수 있다. 당시 조선은 중앙집권체제였기 때문에 왕명전달, 전시상황보고, 지방 행정중심지의 통제 등의 이유로 임금이 있는 한양을 중심으로 한 방사형의 도로망을 구축했을 것이다.
하지만 방사형의 도로는 교통의 흐름에 있어서는 도심 집중성이 강하기 때문에 조선과 같은 고대 도시에서는 교통유통에 큰 문제가 없었으나, 오늘날과 같은 자동차시대에 있어서는 자동차들의 도심 집중 폐단으로 교통 혼잡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한편, 격자형 도로망(그림 Ⅳ-1-③)의 가장 큰 특징은 어느 지점이든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방과의 연결성을 높인 광역 도로망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격자형의 도로에는 방사형 도로와 같은 초점이 없다는 점에서 더 균질하고 그래서 더 민주적인 국토의 모습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의하면 국토의 균형발전, 고속생활권 구축을 목표로 2020년까지 남북방향 7개축, 동서방향 9개축으로 계획된 격자형 도로망을 구축 중에 있다. 이 도로망이 완성되면 전국 어디서나 30분 이내에 고속도로에 도달함은 물론, 전국의 반나절 생활권화, 국가 물류비 절감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남북통일시대의 고속도로와 아시아 하이웨이망과 연계한다는 국가 중장기 전략과도 그 행로를 같이 한다.
④ 오직 도로의 변화만 우리의 공간에 영향을 미칠까?
도로의 발달뿐만 아니라 그 위를 달리는 교통수단의 발달 또한 우리의 국토공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두 가지는 따로 발달하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동시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하여 우리가 사는 공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자동차교통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여객은 주로 자동차 이용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완행열차의 운행 감소, 수많은 역전취락의 쇠퇴, 버스터미널 주변지의 번화 등의 변화를 초래했다. 그러나 여객과 화물의 장거리 수송에서는 여전히 철도교통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KTX의 등장은 최근 우리의 국토 공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것은 서울-대구 간 항공노선이 사라지고, 서울-부산 간 항공노선이 감축되는 등 항공산업에 큰 타격을 미쳤으며, 지방과 수도권과의 접근성 증가시켜 지방 여행객의 증가, 빨대효과로 인한 대구의 상업기능이 축소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4.02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7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