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외환시장과 환율
1.1. 환율
1.2. 환율결정이론
1.3. 환율제도
II. 국제수지
2.1. 국제수지의 개념
2.2. 국제수지의 구성
2.3. 국제수지의 불균형과 조정
2.4. 우리나라의 국제수지 동향
1.1. 환율
1.2. 환율결정이론
1.3. 환율제도
II. 국제수지
2.1. 국제수지의 개념
2.2. 국제수지의 구성
2.3. 국제수지의 불균형과 조정
2.4. 우리나라의 국제수지 동향
본문내용
1.1. 환 율
╋━━━━━━━━━━─────────
1. 환율의 개념
▶ 환율(exchange rate)
- 한 나라의 통화와 외국통화, 즉 이종통화간의 교환비율
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통화의 가치는 그 통화가 갖는 구매력(purchasing power)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한 나라 통화의 국내에서 의 구매력을 대내적 가치라 한다면, 외국에서의 구매력은 대외가치가 된다.
한 나라 통화의 외국에서의 구매력은 외화와 교환됨으로써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환율은 한 나라 통화의 대외가치를 나타냄
➜ 이러한 대외가치는 양국간의 경제력 차이에 따라 결정됨
1.1. 환 율
╋━━━━━━━━━━─────────
2. 환율표시방법
1) 직접표시방법
US$1=₩1,200
- 외국환 1 단위 또는 100 단위에 대하여 자국통화의 교환 대가 표시
- 방화표시환율
* 방화(邦貨) : 자기 나라에서 발행하고 유통하는 화폐
2) 간접표시방법
Stg.£1 = US$1.6570
- 자국통화 1 단위 또는 100 단위에 대하여 외국통화의 교환 대가 표시
- 외화표시환율
≪ … 중 략 … ≫
2.3. 국제수지의 불균형과 조정
╋━━━━━━━━━━─────────
2. 국제수지 조정정책
- 물가, 소득수준 등에 대한 정책적 개입을 통해 국제수지를 조정
1) 재정 ∙ 금융정책 : 조세, 재정지출의 증감 or 금리, 은행의 지불준비율의 조정
① 국제수지 적자 → 재정지출 감소 → 민간부분 총수요 감소, 수입감소
→ 국제수지 개선
② 국제수지 흑자 → 금리 인하시켜 확장적인 금융정책 → 민간 화폐보유량 증가
즉, 구매력 증가 → 수입증가, 수출감소 → 국제수지의 불균형은 시정
2) 외환정책 : 고정환율제도의 경우 환율조정
(ex) 국제수지 적자→평가절하(방화표시환율의 인상)
→ 수출상품가격 인하로 수출증대, 수입감소 → 국제수지 개선
3) 통상정책 : 재화의 수출입 규제 : 관세, 비관세 장벽
① 관세부과 → 수입감소 → 국제수지 개선
② 비관세 장벽 → 수입억제 기능 → 국제수지 조정의 유효한 정책수단
╋━━━━━━━━━━─────────
1. 환율의 개념
▶ 환율(exchange rate)
- 한 나라의 통화와 외국통화, 즉 이종통화간의 교환비율
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통화의 가치는 그 통화가 갖는 구매력(purchasing power)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한 나라 통화의 국내에서 의 구매력을 대내적 가치라 한다면, 외국에서의 구매력은 대외가치가 된다.
한 나라 통화의 외국에서의 구매력은 외화와 교환됨으로써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환율은 한 나라 통화의 대외가치를 나타냄
➜ 이러한 대외가치는 양국간의 경제력 차이에 따라 결정됨
1.1. 환 율
╋━━━━━━━━━━─────────
2. 환율표시방법
1) 직접표시방법
US$1=₩1,200
- 외국환 1 단위 또는 100 단위에 대하여 자국통화의 교환 대가 표시
- 방화표시환율
* 방화(邦貨) : 자기 나라에서 발행하고 유통하는 화폐
2) 간접표시방법
Stg.£1 = US$1.6570
- 자국통화 1 단위 또는 100 단위에 대하여 외국통화의 교환 대가 표시
- 외화표시환율
≪ … 중 략 … ≫
2.3. 국제수지의 불균형과 조정
╋━━━━━━━━━━─────────
2. 국제수지 조정정책
- 물가, 소득수준 등에 대한 정책적 개입을 통해 국제수지를 조정
1) 재정 ∙ 금융정책 : 조세, 재정지출의 증감 or 금리, 은행의 지불준비율의 조정
① 국제수지 적자 → 재정지출 감소 → 민간부분 총수요 감소, 수입감소
→ 국제수지 개선
② 국제수지 흑자 → 금리 인하시켜 확장적인 금융정책 → 민간 화폐보유량 증가
즉, 구매력 증가 → 수입증가, 수출감소 → 국제수지의 불균형은 시정
2) 외환정책 : 고정환율제도의 경우 환율조정
(ex) 국제수지 적자→평가절하(방화표시환율의 인상)
→ 수출상품가격 인하로 수출증대, 수입감소 → 국제수지 개선
3) 통상정책 : 재화의 수출입 규제 : 관세, 비관세 장벽
① 관세부과 → 수입감소 → 국제수지 개선
② 비관세 장벽 → 수입억제 기능 → 국제수지 조정의 유효한 정책수단
추천자료
원화의 평가절상과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에 경제공룡 중국이 몰려 온다
자본주의의 발달과 도시의 구조화
환율변동에 따른 국내경제
외환시장의 현황, 특징, 문제점 및 발전방안
중국의 SWOT분석
[환율결정이론]환율결정이론의 의의, 환율결정이론의 중요성, 환율결정이론의 기점, 환율결정...
위안화의 기축통화 가능성과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외환시장의 현황과 발전방안
[항만][항만의 모니터링제도][항만의 민영화][전항만][항만의 문제점]항만의 개념, 항만의 생...
[부채][지하철부채][국가대외부채][비은행금융기관대외자산부채][금융리스부채][농가부채]지...
[기업][기업 이해자집단][기업 근로자][기업 해외진출][기업 내실화 방안]기업의 특징, 기업...
[관광사업][관광산업][관광사업(관광산업) 동향][관광사업(관광산업) 사례][관광사업(관광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