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목차
1. 무역운송의 종류
2. 무역해상운송의 형태
3. 컨테이너운송
4. 컨테이너화물의 유통경로
5. 컨테이너화물의 운송형태
6. 무역운송서류
7. 적중예상문제
2. 무역해상운송의 형태
3. 컨테이너운송
4. 컨테이너화물의 유통경로
5. 컨테이너화물의 운송형태
6. 무역운송서류
7. 적중예상문제
본문내용
. ① 101. ③ 102. ③ 103. ③ 104. ② 105. ③ 106. ②
103.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중량으로 화물선, 탱커 등의 선복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용선계약, 선박매매 등 상거래의 기준이 되는 선박의 톤 수는 무엇인가?
① 순톤수 ② 배수톤수③ 재화중량톤수 ④ 총톤수
104. 다음 중 컨테이너화물의 운송서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선하증권(B/L) ② 본선수취증(M/R)
③ 부두수취증(D/R) ④ 컨테이너 내 적치도(CLP)
105. 다음 중 항해용선계약의 주요 계약내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을 고르시오.
① 정박기간 ② 운임
③ 선박의 속도 및 연료소비량 ④ 하역조건
106. 해운동맹(Shipping Conference)의 주요 협정내용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 공동계산협정(Pooling Agreement)② 협의협정(Discussion Agreement)
③ 운임협정(Rate Agreement)④ 배선협정(Sailing Agreement)
107. 부정기선의 특징과 관계없는 사항을 고르시오.
① 계절적 화물의 동태, 해운시황, 경기변동, 기후 등 제반요건에 따른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운임이 결정된다.
② 항로를 선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해운동맹에 가입한다.
③ 항로가 일정하지 않고 필요시에 운항된다.
④ 주로 광석, 곡류, 목재 등 Bulk Cargo의 대량운송에 이용되고 있다.
108. 다음 중 항공화물운송의 장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을 고르시오.
① 물품의 파손율이 적으며 포장이 간단하고 포장비용이 적게 든다.
② 상품의 중단거리운송에 적합하고 복합운송의 주축을 이룬다.
③ 운송보험료가 싸다.
④ 화물의 적기인도를 통한 재고비용과 자본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109. 항공화물운송주선업자가 많이 이용하는 단위탑재용기(ULD)운임은 어떤 것인가?
① 특정품목 할인요율 ② 일반화물 요율
③ 품목분류 요율 ④ 컨테이너팔레트 운임
107. ② 108. ② 109. ④ 110. ② 111. ② 112. ③
110. 선적과 하역비용을 선주가 모두 부담하는 조건은 무엇인가?
① Free Out ② Berth Terms
③ Tree In ④ Free In & Out
111. 컨테이너의 장점을 최대한도로 이용한 운송방법을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
① CY/CFS ② CY/CY③ CFS/CY ④ CFS/CFS
112. 다음 용어들이 잘못 연결된 것을 고르시오.
① 용선계약서-Party ② 부정기선-Tramper
③ 운송주선인-Shipping Broker ④ 정기선-Liner
113. 위부(Abandonment)에 관한 서술 중 맞는 사항을 찾으시오.
① 현실전손(Actual Total Loss)이 성립하는 경우 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일체의 권리를 피보험자에게 이전한다.
② 추정전손(Construtive Total Loss)이 성립하는 경우 피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일체의 권리를 보험자에게 이전하고 전손금의 보상을 받는다.
③ 추정전손이 성립하는 경우 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일체의 권리를 피보험자에게 이전한다.
④ 현실전손이 성립하는 경우 피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일체의 권리를 보험자에게 이전한다.
114. 화물은 도착하였으나 선적서류가 도착하지 않은 경우 화물을 인도받기 위하여 선박회사에 제공하는 서류는 무엇인가?
① Cargo Boat Note ② Letter of Guarantee
③ Delivery Order ④ Letter of Indemnity
113. ② 114. ② 115. ① 116. ② 117. ④
115. 지급인도조건의 어음에 있어서 만기일 전에 실제의 지급없이 은행으로부터 선적서류를 대여받은 경우에 사용되는 서류는 무엇인가?
① Trust Receipt ② Letter of Guarantee
③ Cover Note ④ Deliver Order
116. A업체는 목재를 수출하면서 선측에서(Alongside Ship) 본선에 물품을 인도하고 이를 근거로 B/L을 발급받았다. 이 경우 B/L은 다음의 어느 것에 속하는가?
① Transhipment B/L ② Received B/L
③ Shipped B/L ④ Through B/L
117. T/R(Trust Receipt)을 서술한 것 중 맞는 사항을 고르시오.
① 선적서류의 정본을 후일에 제출키로 하고 수입화물로부터 먼저 인수하기 위하여 선박회사에 제출하는 서류이다.
② 수출상이 수입상에 대하여 지급계정이 있음을 통지하는 전표로서 선적서류의 일종이다.
③ 위탁판매무역(Consigment Trade)에서 수탁자(수입자)가 위탁자(수출자)에게 수출대금 판매대금의 지급을 확약하는 증서이다.
④ 특히 결제조건이 D/P인 경우 대금지급없이 은행이 선적서류를 인도하고 수입상에게 수입물품의 점유권을 허용하는 화물의 신탁적 양도에서 수입상이 대금지급의 확약을 위해 은행에 차입하는 증서이다.
118. 겸용 선하증권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① 다른 곳에서 용선된 선박을 선적할 경우 최초의 Shipper가 발행한 선하증권이다.
② 선박회사가 부보하여 사고발생시 선박회사가 보상의 책임을 지도록 한 선하증권과 보험증권을 결합시킨 형태의 특수 선하증권이다.
③ 선적 후 또는 발행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하여 은행으로부터 수리가 거절된 선하증권이다.
④ 표면에 약관의 기재가 생략된 선하증권으로 미국에서 많이 통용되는 것이다.
119. 선하증권의 배서방법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식은 무엇인가?
① 기명식 배서 ② 지시식 배서
③ 백지식 배서 ④ 선택무기명식 배서
118. ② 119. ③ 120. ②
120. ‘Stale B/L’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Stale B/L은 선하증권 발행 이후 21일이 경과된 B/L이다.
② Stale B/L조건에 의한 수출입방식은 현재 이용되지 않는다.
③ 은행은 Stale B/L의 수리를 거절한다.
④ ‘Stale B/L acceptable’이란 문언이 신용장에 명시되어 있으면 은행은 Stale B/L을 수리한다.
118. ② 119. ③ 120. ②
103.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중량으로 화물선, 탱커 등의 선복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용선계약, 선박매매 등 상거래의 기준이 되는 선박의 톤 수는 무엇인가?
① 순톤수 ② 배수톤수③ 재화중량톤수 ④ 총톤수
104. 다음 중 컨테이너화물의 운송서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선하증권(B/L) ② 본선수취증(M/R)
③ 부두수취증(D/R) ④ 컨테이너 내 적치도(CLP)
105. 다음 중 항해용선계약의 주요 계약내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을 고르시오.
① 정박기간 ② 운임
③ 선박의 속도 및 연료소비량 ④ 하역조건
106. 해운동맹(Shipping Conference)의 주요 협정내용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 공동계산협정(Pooling Agreement)② 협의협정(Discussion Agreement)
③ 운임협정(Rate Agreement)④ 배선협정(Sailing Agreement)
107. 부정기선의 특징과 관계없는 사항을 고르시오.
① 계절적 화물의 동태, 해운시황, 경기변동, 기후 등 제반요건에 따른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운임이 결정된다.
② 항로를 선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해운동맹에 가입한다.
③ 항로가 일정하지 않고 필요시에 운항된다.
④ 주로 광석, 곡류, 목재 등 Bulk Cargo의 대량운송에 이용되고 있다.
108. 다음 중 항공화물운송의 장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을 고르시오.
① 물품의 파손율이 적으며 포장이 간단하고 포장비용이 적게 든다.
② 상품의 중단거리운송에 적합하고 복합운송의 주축을 이룬다.
③ 운송보험료가 싸다.
④ 화물의 적기인도를 통한 재고비용과 자본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109. 항공화물운송주선업자가 많이 이용하는 단위탑재용기(ULD)운임은 어떤 것인가?
① 특정품목 할인요율 ② 일반화물 요율
③ 품목분류 요율 ④ 컨테이너팔레트 운임
107. ② 108. ② 109. ④ 110. ② 111. ② 112. ③
110. 선적과 하역비용을 선주가 모두 부담하는 조건은 무엇인가?
① Free Out ② Berth Terms
③ Tree In ④ Free In & Out
111. 컨테이너의 장점을 최대한도로 이용한 운송방법을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
① CY/CFS ② CY/CY③ CFS/CY ④ CFS/CFS
112. 다음 용어들이 잘못 연결된 것을 고르시오.
① 용선계약서-Party ② 부정기선-Tramper
③ 운송주선인-Shipping Broker ④ 정기선-Liner
113. 위부(Abandonment)에 관한 서술 중 맞는 사항을 찾으시오.
① 현실전손(Actual Total Loss)이 성립하는 경우 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일체의 권리를 피보험자에게 이전한다.
② 추정전손(Construtive Total Loss)이 성립하는 경우 피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일체의 권리를 보험자에게 이전하고 전손금의 보상을 받는다.
③ 추정전손이 성립하는 경우 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일체의 권리를 피보험자에게 이전한다.
④ 현실전손이 성립하는 경우 피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일체의 권리를 보험자에게 이전한다.
114. 화물은 도착하였으나 선적서류가 도착하지 않은 경우 화물을 인도받기 위하여 선박회사에 제공하는 서류는 무엇인가?
① Cargo Boat Note ② Letter of Guarantee
③ Delivery Order ④ Letter of Indemnity
113. ② 114. ② 115. ① 116. ② 117. ④
115. 지급인도조건의 어음에 있어서 만기일 전에 실제의 지급없이 은행으로부터 선적서류를 대여받은 경우에 사용되는 서류는 무엇인가?
① Trust Receipt ② Letter of Guarantee
③ Cover Note ④ Deliver Order
116. A업체는 목재를 수출하면서 선측에서(Alongside Ship) 본선에 물품을 인도하고 이를 근거로 B/L을 발급받았다. 이 경우 B/L은 다음의 어느 것에 속하는가?
① Transhipment B/L ② Received B/L
③ Shipped B/L ④ Through B/L
117. T/R(Trust Receipt)을 서술한 것 중 맞는 사항을 고르시오.
① 선적서류의 정본을 후일에 제출키로 하고 수입화물로부터 먼저 인수하기 위하여 선박회사에 제출하는 서류이다.
② 수출상이 수입상에 대하여 지급계정이 있음을 통지하는 전표로서 선적서류의 일종이다.
③ 위탁판매무역(Consigment Trade)에서 수탁자(수입자)가 위탁자(수출자)에게 수출대금 판매대금의 지급을 확약하는 증서이다.
④ 특히 결제조건이 D/P인 경우 대금지급없이 은행이 선적서류를 인도하고 수입상에게 수입물품의 점유권을 허용하는 화물의 신탁적 양도에서 수입상이 대금지급의 확약을 위해 은행에 차입하는 증서이다.
118. 겸용 선하증권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① 다른 곳에서 용선된 선박을 선적할 경우 최초의 Shipper가 발행한 선하증권이다.
② 선박회사가 부보하여 사고발생시 선박회사가 보상의 책임을 지도록 한 선하증권과 보험증권을 결합시킨 형태의 특수 선하증권이다.
③ 선적 후 또는 발행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하여 은행으로부터 수리가 거절된 선하증권이다.
④ 표면에 약관의 기재가 생략된 선하증권으로 미국에서 많이 통용되는 것이다.
119. 선하증권의 배서방법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식은 무엇인가?
① 기명식 배서 ② 지시식 배서
③ 백지식 배서 ④ 선택무기명식 배서
118. ② 119. ③ 120. ②
120. ‘Stale B/L’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Stale B/L은 선하증권 발행 이후 21일이 경과된 B/L이다.
② Stale B/L조건에 의한 수출입방식은 현재 이용되지 않는다.
③ 은행은 Stale B/L의 수리를 거절한다.
④ ‘Stale B/L acceptable’이란 문언이 신용장에 명시되어 있으면 은행은 Stale B/L을 수리한다.
118. ② 119. ③ 120. ②
키워드
추천자료
Chapter 7. The International Trade Data System(ITDS) : 국제무역데이터시스템
환율변동이 국제무역에 미치는영향
국제상거래에서 무역대금의 결제
무역계약의 중요성, 종류, 체결단계 및 내용
유엔(UN)국제무역법위원회의 구성과 활동내역, 향후전망
[무역보험] 해상보험의 개념과 종류 및 해상보험용어, 해상손해의 유형
[국제관계] 공정무역
[전시회][전시회 종류][전시회 특징][전시회 성공요소][전시회 목표선정][전시회 국제비교]전...
전자상거래(EC)와 UNCITRAL(유엔국제상거래법위원회), ASEM(동남아국가연합), 전자상거래(EC)...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의 국제정치와 한국
[국제회의사업] 국제회의의 본질(개념,성격,종류), 컨벤션센터의 구성 및 유형, 국제회의용역...
[국제경제환경론]한국 FTA 현황을 연구,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한국 무역의 전망에 대하여 논...
인코텀즈 2010 - 국내와 국제 무역조건의 사용을 위한 ICC 룰
국제통상 무역분쟁(safeguard PV) 제소 A+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