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업의 생산활동
1. 기업이란?
2. 생산기술
3. 생산비용
4.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5. 이윤극대화 생산량의 도출
6. 기업은 정말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가?
1. 기업이란?
2. 생산기술
3. 생산비용
4.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5. 이윤극대화 생산량의 도출
6. 기업은 정말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가?
본문내용
드백, 쇠고기와 소가죽, 닭고기와 계란)
- 생산시설이나 유통망을 여러 가지 다른 상품을 생산판매하는 데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범위의 경제가 생길 수 있음.
- 여러 가지 생산라인을 갖고 있는 거대기업을 여러 개의 독립된 기업으로 분할시켜야 하는지 여부의 문제에서 이 범위의 경제는 중요한 고려사항.
5. 이윤극대화 생산량의 도출
(1) 판매수입
- 총수입(total revenue, TR)은 가격에 상품 판매량을 곱해서 구할 수 있음. 상품 한 단위를 더팔았을 때 추가로 발생하는 수입이 한계수입(marginal revenue, MR).
- 기업이 상품을 팔아 얻는 수입은 그 상품에 대한 수요와 밀접한 관계. 가격이 이고 판
매량이 일 때 수요곡선의 식이 로 주어진 경우 → <표 5-4>
- 이 표에 제시되어 있는 수치들을 그림으로 옮기면 [그림 5-6]에서 보는 총수입곡선. 총
수입곡선을 따라 그려진 직사각형들은 그 높이가 바로 한계수입을 나타냄.
- 이윤(π)은 아래에서 보는 것처럼 상품을 팔고 얻은 총수입(TR)에서 그것을 만드는 데 든 총비용 (TC)을 뺀 것과 같음. π (5.2)
- <표 5-5>를 보면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량은 4개 혹은 5개로서 이 때의 이윤은 180만
원.
- [그림 5-7]을 보면 총수입곡선과 총비용곡선 사이가 제일 넓게 벌어지는 곳은 4개 혹은
5개의 생산량.
<그림 5-7>
(3) 한계곡선의 노출
- <표 5-5>에 제시한 수치 예를 보면 가구 생산량이 4단위에서 5단위로 증가하는 부분에
서 한계수입(MR)과 한계비용(MC)이 모두 70만원으로 서로 같음.
⇒ 한계수입이 한계비용과 같다는 것이 바로 이윤극대화의 조건. (엄밀하게 말해 이 조건은 이윤극대화를 위한 제1계 필요조건)
MR = MC (5.3)
- 예컨대 현재의 생산수준에서 한계수입이 110만원인데 한계비용은 50만원이라고 가정.
이 경우 이윤이 극대화되지 못함.
6. 기업은 정말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가?
- 현대의 기업처럼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윤극대화만을 유일한 목표로 삼고 있을 가능성이 한층 더 희박.
- 전문경영인은 이윤에만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매출액이라든가 시장점유율 혹은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 등 다양한 목표에 관심.
- 경영하는 기업의 규모가 더 클수록 경영인으로서의 보수나 위신, 혹은 영향력이 더 커짐
→ 매출액극대화(sales maximization)모형
- 생산시설이나 유통망을 여러 가지 다른 상품을 생산판매하는 데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범위의 경제가 생길 수 있음.
- 여러 가지 생산라인을 갖고 있는 거대기업을 여러 개의 독립된 기업으로 분할시켜야 하는지 여부의 문제에서 이 범위의 경제는 중요한 고려사항.
5. 이윤극대화 생산량의 도출
(1) 판매수입
- 총수입(total revenue, TR)은 가격에 상품 판매량을 곱해서 구할 수 있음. 상품 한 단위를 더팔았을 때 추가로 발생하는 수입이 한계수입(marginal revenue, MR).
- 기업이 상품을 팔아 얻는 수입은 그 상품에 대한 수요와 밀접한 관계. 가격이 이고 판
매량이 일 때 수요곡선의 식이 로 주어진 경우 → <표 5-4>
- 이 표에 제시되어 있는 수치들을 그림으로 옮기면 [그림 5-6]에서 보는 총수입곡선. 총
수입곡선을 따라 그려진 직사각형들은 그 높이가 바로 한계수입을 나타냄.
- 이윤(π)은 아래에서 보는 것처럼 상품을 팔고 얻은 총수입(TR)에서 그것을 만드는 데 든 총비용 (TC)을 뺀 것과 같음. π (5.2)
- <표 5-5>를 보면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량은 4개 혹은 5개로서 이 때의 이윤은 180만
원.
- [그림 5-7]을 보면 총수입곡선과 총비용곡선 사이가 제일 넓게 벌어지는 곳은 4개 혹은
5개의 생산량.
<그림 5-7>
(3) 한계곡선의 노출
- <표 5-5>에 제시한 수치 예를 보면 가구 생산량이 4단위에서 5단위로 증가하는 부분에
서 한계수입(MR)과 한계비용(MC)이 모두 70만원으로 서로 같음.
⇒ 한계수입이 한계비용과 같다는 것이 바로 이윤극대화의 조건. (엄밀하게 말해 이 조건은 이윤극대화를 위한 제1계 필요조건)
MR = MC (5.3)
- 예컨대 현재의 생산수준에서 한계수입이 110만원인데 한계비용은 50만원이라고 가정.
이 경우 이윤이 극대화되지 못함.
6. 기업은 정말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가?
- 현대의 기업처럼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윤극대화만을 유일한 목표로 삼고 있을 가능성이 한층 더 희박.
- 전문경영인은 이윤에만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매출액이라든가 시장점유율 혹은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 등 다양한 목표에 관심.
- 경영하는 기업의 규모가 더 클수록 경영인으로서의 보수나 위신, 혹은 영향력이 더 커짐
→ 매출액극대화(sales maximization)모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