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8.0Vp-p가 된다.(4.0 div× 20.v = 8.0v)(바)만약 수직 확대 표시가 ×5 모드이면 측정값에다 5를 나누어 준다. PROBE가 10:1 이면 10배를 곱해 준다.(사)100Hz이하의 정현파나 1KHz 이하의 구형파를 측정할 때는 AC-GND-DC 스위치를 DC에 놓는다.② 순시값 전압측정(가) 오실로스코프의 수직 모드 스위치는 기본 측정절차와 같이 설정한다.(나) TIME/DIV은 완전한 파형이 되도록 조정하고 VOLT/DIV 스위치는 4∼6칸이 되도록 조정한다.(그림참조)(다) AC-GND-DC를 GND에 놓는다.(라) 수직 POSITION을 돌려 CRT상 수평눈금의 맨 아래 (+신호일 때)나 맨 위쪽(-신호일 때)에 일치시킨다.
(6) 시간 간격 측정① QGUS상 측정에서와 같이 스위치를 설정한다.② TIME/DIV를 파형이 될 수 있는 한 크게 화면에 나오도록 설정한다. TIME VARIABLE는 잠김소리가 날 때까지 시계방향 최대로 돌린다. 만약 이렇게 하지 않으면 측정값이 부정확하게 되므로 주의한다.③ 수직 POSITION을 조정하여 수평눈금 중앙에 측정하고자 하는 파형을 일치시킨다.④ 수평 POSITION을 돌려 파형의 왼쪽을 수직눈금에 일치시킨다.⑤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까지의 눈금을 센다. 수평눈금 중앙에는 0.2칸까지의 눈금이 매겨져 있다.⑥ ⑤항에서 측정한 눈금에다 TIME/DIV 스위치가 설정한 값을 곱하면 구하고자 하는 시간이 된다. 만약 TIME VARIABLE가 당겨져 있으면(×10 확대모드) 측정값에다 10을 나누어 준다.
(7) 주파수 측정주파수의 정확한 측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주파수 카운터를 사용해야 한다. 오실로스코프 후면에는 CH1 OUTPUT 커넥터가 있어 여기에 주파수 측정기를 연결하게 되면 파형관측 및 주파수 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주파수 측정기가 없거나 주파수 측정기로는 측정하기 곤란한 변조 파형, 또는 잡음이 많이 실려 있는 파형은 오실로스코프로 직접 측정할 수 있다.주파수는 주기와 상호 관련이 있다. 우선 간단히 (2)의 시간 간격 측정에서 나오는 주기 t를 알았다고 한다면 주파수는 1/t로 계산하여 간단히 구할 수 있다.1/t의 공식을 적용하여 주기가 초일 때는 주파수는 Hz가 되고, 주기가 밀리 초(ms)이면 주기는 KHz가 된다. 주파수의 정확도는 시간축의 정확한 교정과 세밀한 주기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6) 시간 간격 측정① QGUS상 측정에서와 같이 스위치를 설정한다.② TIME/DIV를 파형이 될 수 있는 한 크게 화면에 나오도록 설정한다. TIME VARIABLE는 잠김소리가 날 때까지 시계방향 최대로 돌린다. 만약 이렇게 하지 않으면 측정값이 부정확하게 되므로 주의한다.③ 수직 POSITION을 조정하여 수평눈금 중앙에 측정하고자 하는 파형을 일치시킨다.④ 수평 POSITION을 돌려 파형의 왼쪽을 수직눈금에 일치시킨다.⑤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까지의 눈금을 센다. 수평눈금 중앙에는 0.2칸까지의 눈금이 매겨져 있다.⑥ ⑤항에서 측정한 눈금에다 TIME/DIV 스위치가 설정한 값을 곱하면 구하고자 하는 시간이 된다. 만약 TIME VARIABLE가 당겨져 있으면(×10 확대모드) 측정값에다 10을 나누어 준다.
(7) 주파수 측정주파수의 정확한 측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주파수 카운터를 사용해야 한다. 오실로스코프 후면에는 CH1 OUTPUT 커넥터가 있어 여기에 주파수 측정기를 연결하게 되면 파형관측 및 주파수 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주파수 측정기가 없거나 주파수 측정기로는 측정하기 곤란한 변조 파형, 또는 잡음이 많이 실려 있는 파형은 오실로스코프로 직접 측정할 수 있다.주파수는 주기와 상호 관련이 있다. 우선 간단히 (2)의 시간 간격 측정에서 나오는 주기 t를 알았다고 한다면 주파수는 1/t로 계산하여 간단히 구할 수 있다.1/t의 공식을 적용하여 주기가 초일 때는 주파수는 Hz가 되고, 주기가 밀리 초(ms)이면 주기는 KHz가 된다. 주파수의 정확도는 시간축의 정확한 교정과 세밀한 주기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