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2. 목적
3. 이론
① MMA의 Bulk 중합
② PMMA
③ 개시제 (AIBN)
④ 분석방법
4. 실험장치
5. 실험방법
6. 결과
7. 주의사항
8. 참고문헌
2. 목적
3. 이론
① MMA의 Bulk 중합
② PMMA
③ 개시제 (AIBN)
④ 분석방법
4. 실험장치
5. 실험방법
6. 결과
7. 주의사항
8. 참고문헌
본문내용
흔들어준 다음
상분리 후 상층부만 취해준다. (중합억제제가 극성이므로 극성을 녹일 수 있는 NaOH 사용)
③ 단계②를 3번 실시하고 정제된 단량체를 취한다.
ⅱ ) MMA의 Bulk 중합
① 정제된 단량체에 0.5g의 중합개시제(AIBN)를 취한다.
② AIBN과 단량체를 잘 섞은 후 삼구플라스크에 담은 후 입구를 막는다.
③ 플라스크를 교반기에 놓고 온도를 80℃ 정도로 유지해주면서 약 1.5시간 교반한다.
④ 플라스크내의 단량체가 고형화 되면 고분자 시료를 취한다.
6. 결과
ⅰ) IR 분석
< 상용 PMMA > < 우리조의 PMMA >
C-H(alkene)결합 C=O결합 C-H(bondig)결합 C-O결합
< PMMA의 구조식 >
- IR 분석을 할 때는 먼저 C=O 결합이 있는가를 봐야한다. C=O 결합(stretching)은 1660~1820에서 sharp한 형태의 peak가 나타난다. 또한, 1000~1300부근에서 peak가 나타나므로 C-O결합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3000 부근에서의 peak는 C-H결합을 보여준다.
ⅱ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분석
< 우리조의 PMMA >
-일반적으로 중합된 PMMA의 Tg(유리전이온도)는 약 70~80℃로 알려져 있다. 우리 조의 DSC 그래프는 70~80℃정도 부근에서 Tg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ⅲ ) Solubility Paramater
중합된 PMMA를 THF, 클로로포름, 메타올, 에탄올에 용해시켜 용해도를 알아보았다.
PMMA는 케톤, 에스테르,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유기용제에는 용해하지만 알코올, 가솔린에는 불용이다. 따라서, THF와 클로로포름에서만 녹았다.
7. 주의사항
① 단량체 취급 시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여 피부 접촉을 방지한다.
② 분액깔때기 등 유리제품 사용 시 파손으로 인한 부상을 주의한다.
③ 화학 폐기물은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 폐기한다.
④ 교반 시 열 발생에 주의한다.
8. 참고문헌
고분자 화학 입문 Malcolm P.stevens 자유 아카데미
http://en.wikipedia.org/wiki/Poly(methyl_methacrylate)
http://en.wikipedia.org/wiki/Azobisisobutyronitrile
http://www.hindawi.com/journals/jnm/2008/642036/fig2/
http://www.chemistrymag.org/cji/2003/05c096pe.htm
http://display.yu.ac.kr/curriculum/lecture/lecture/Exp/Major/inorgan2.html
http://www.cheric.org/research/analyzer/pdf/DSC.pdf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aime&logNo=40026241832&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http://www.epartsmall.net/6671
상분리 후 상층부만 취해준다. (중합억제제가 극성이므로 극성을 녹일 수 있는 NaOH 사용)
③ 단계②를 3번 실시하고 정제된 단량체를 취한다.
ⅱ ) MMA의 Bulk 중합
① 정제된 단량체에 0.5g의 중합개시제(AIBN)를 취한다.
② AIBN과 단량체를 잘 섞은 후 삼구플라스크에 담은 후 입구를 막는다.
③ 플라스크를 교반기에 놓고 온도를 80℃ 정도로 유지해주면서 약 1.5시간 교반한다.
④ 플라스크내의 단량체가 고형화 되면 고분자 시료를 취한다.
6. 결과
ⅰ) IR 분석
< 상용 PMMA > < 우리조의 PMMA >
C-H(alkene)결합 C=O결합 C-H(bondig)결합 C-O결합
< PMMA의 구조식 >
- IR 분석을 할 때는 먼저 C=O 결합이 있는가를 봐야한다. C=O 결합(stretching)은 1660~1820에서 sharp한 형태의 peak가 나타난다. 또한, 1000~1300부근에서 peak가 나타나므로 C-O결합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3000 부근에서의 peak는 C-H결합을 보여준다.
ⅱ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분석
< 우리조의 PMMA >
-일반적으로 중합된 PMMA의 Tg(유리전이온도)는 약 70~80℃로 알려져 있다. 우리 조의 DSC 그래프는 70~80℃정도 부근에서 Tg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ⅲ ) Solubility Paramater
중합된 PMMA를 THF, 클로로포름, 메타올, 에탄올에 용해시켜 용해도를 알아보았다.
PMMA는 케톤, 에스테르,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유기용제에는 용해하지만 알코올, 가솔린에는 불용이다. 따라서, THF와 클로로포름에서만 녹았다.
7. 주의사항
① 단량체 취급 시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여 피부 접촉을 방지한다.
② 분액깔때기 등 유리제품 사용 시 파손으로 인한 부상을 주의한다.
③ 화학 폐기물은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 폐기한다.
④ 교반 시 열 발생에 주의한다.
8. 참고문헌
고분자 화학 입문 Malcolm P.stevens 자유 아카데미
http://en.wikipedia.org/wiki/Poly(methyl_methacrylate)
http://en.wikipedia.org/wiki/Azobisisobutyronitrile
http://www.hindawi.com/journals/jnm/2008/642036/fig2/
http://www.chemistrymag.org/cji/2003/05c096pe.htm
http://display.yu.ac.kr/curriculum/lecture/lecture/Exp/Major/inorgan2.html
http://www.cheric.org/research/analyzer/pdf/DSC.pdf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aime&logNo=40026241832&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http://www.epartsmall.net/667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