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사마천의 ‘사기’와 현실 인식
2.2 ‘백이열전’은 무엇을 말해주고 있는가
3. 결론
2. 본론
2.1 사마천의 ‘사기’와 현실 인식
2.2 ‘백이열전’은 무엇을 말해주고 있는가
3. 결론
본문내용
문하면서 스스로 그 답변을 찾고 있는 것이다.
공자가 가장 존경했던 인물들인 서주 문왕, 무왕, 주공 단인데 공자는 서주의 예법, 곧 종법제에 바탕을 둔 신분세습제를 역사상 가장 잘 만들어진 사회제도라고 믿었다. 서주의 예법이 무너지고 있었던 춘추 말기에 활동했던 그는 서주의 예법이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당시의 사회가 혼란하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복원하고자 노력했다. 그러한 공자가 가장 존경했던 인물은 서주의 예법을 만들었다는 주공 단과 그러한 예법이 살아 있는 나라를 세우도록 정치적 사회적 기초를 닦은 문왕 그리고 그러한 나라를 세운 무왕이었다.
사마천은 가장 어질고 착한 지성인인 백이와 숙제를 내세워 그들의 인품을 말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입을 빌어 무왕의 상나라 침공이 결코 옳은 길만은 아니었음을 간접적으로 말하고 있다.
유가의 가치관이 작용하여 상나라 주왕은 음탕한 폭군으로 주나라 무왕은 폭군을 응징하고 덕치를 베푼 인물로서 전해져 내려오는 역사를 사마천은 유가를 지도이념으로 채택한 당시의 사회 환경에서 그것을 사마천이 직접 말하는 것은 용납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래서 백이와 숙제라는 양심적인 인물을 내세워 서주 무왕의 상나라 침공이 당시 모든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던 것은 결코 아니며, 이를 반대한 사람들도 있었다는 사실을 후세에 전하고 싶었던 것이다.
3. 결론
우리는 역사서를 읽을 때는 문자와 문자 사이 또는 문장과 문장사이에 행간에 담겨있는 뜻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역사가가 다른 사람의 입을 빌어 전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읽어내는 안목도 중요하다.
사마천이‘사기’에서 보여준 단순히 역사 기술서로서만 보는 것 보다 사마천이 ‘사기’를 통해 전달하고 싶었던 의미들을 생각해 볼 만하다고 생각된다.
본론에서 언급했던‘사기’의 중요한 2가지 의미중의 첫 번째 중국의 통일사상, 중국은 잠시 분열되는 시기도 있었지만 결국 통일 국가를 이루어 냈고 오늘날 한족 이외에 55개 민족이 살면서도 분열되지 않고 하나의 국가를 이루고 있는 것은 사마천이 사기를 통해 전해진 통일의식이 크게 작용했던 것이다. 두 번째 의미인 천도에 대한 질문과 답변 그리고 ‘사기’의 쓰인 다양한 역사적 교훈들, 이러한 ‘사기’를 통해 민족통일의 과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우리는 사마천의 사기가 보여주는 역사적 교훈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역사의식과 통일의식을 강화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공자가 가장 존경했던 인물들인 서주 문왕, 무왕, 주공 단인데 공자는 서주의 예법, 곧 종법제에 바탕을 둔 신분세습제를 역사상 가장 잘 만들어진 사회제도라고 믿었다. 서주의 예법이 무너지고 있었던 춘추 말기에 활동했던 그는 서주의 예법이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당시의 사회가 혼란하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복원하고자 노력했다. 그러한 공자가 가장 존경했던 인물은 서주의 예법을 만들었다는 주공 단과 그러한 예법이 살아 있는 나라를 세우도록 정치적 사회적 기초를 닦은 문왕 그리고 그러한 나라를 세운 무왕이었다.
사마천은 가장 어질고 착한 지성인인 백이와 숙제를 내세워 그들의 인품을 말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입을 빌어 무왕의 상나라 침공이 결코 옳은 길만은 아니었음을 간접적으로 말하고 있다.
유가의 가치관이 작용하여 상나라 주왕은 음탕한 폭군으로 주나라 무왕은 폭군을 응징하고 덕치를 베푼 인물로서 전해져 내려오는 역사를 사마천은 유가를 지도이념으로 채택한 당시의 사회 환경에서 그것을 사마천이 직접 말하는 것은 용납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래서 백이와 숙제라는 양심적인 인물을 내세워 서주 무왕의 상나라 침공이 당시 모든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던 것은 결코 아니며, 이를 반대한 사람들도 있었다는 사실을 후세에 전하고 싶었던 것이다.
3. 결론
우리는 역사서를 읽을 때는 문자와 문자 사이 또는 문장과 문장사이에 행간에 담겨있는 뜻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역사가가 다른 사람의 입을 빌어 전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읽어내는 안목도 중요하다.
사마천이‘사기’에서 보여준 단순히 역사 기술서로서만 보는 것 보다 사마천이 ‘사기’를 통해 전달하고 싶었던 의미들을 생각해 볼 만하다고 생각된다.
본론에서 언급했던‘사기’의 중요한 2가지 의미중의 첫 번째 중국의 통일사상, 중국은 잠시 분열되는 시기도 있었지만 결국 통일 국가를 이루어 냈고 오늘날 한족 이외에 55개 민족이 살면서도 분열되지 않고 하나의 국가를 이루고 있는 것은 사마천이 사기를 통해 전해진 통일의식이 크게 작용했던 것이다. 두 번째 의미인 천도에 대한 질문과 답변 그리고 ‘사기’의 쓰인 다양한 역사적 교훈들, 이러한 ‘사기’를 통해 민족통일의 과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우리는 사마천의 사기가 보여주는 역사적 교훈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역사의식과 통일의식을 강화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