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GPS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기술] GPS에 관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GPS의 정의

2. GPS의 역사

3. GPS의 구성

4. GPS의 원리

5. GPS의 신호

6. GPS의 정확도

7.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법

8. GPS의 이용의 특징

9. GPS의 이용분야

10. 그 외의 위성항법 시스템들

본문내용

서 수 mm이며, 원거리의 경우에는 10-6에 이르는 정확도가 얻어짐
- DGPS (Differential GPS)는 상대 위치 측정법 중 위성의 발신하는 코드만으로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위치 정확도가 낮아 약 5m의 오차가 발생
- OTF (On-The-Fly)는 위성에서 발신하는 반송파의 위상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 mm 이내의 오차로 위치측정이 가능
8. GPS의 이용의 특징
1) 장점
- 전파의 수신에 의한 위치결정 방식으로 관측자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음
- 위성고도가 약 20,000km로써 넓은 지역(수 백km 이내) 에서도 관측이 가능
- 10-6의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음.
- real time으로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고속 운동체의 항법장치에 유용
- 관측점 간의 시통이 필요치 않으므로 안개와 같은 기상장애를 받지 않음
- 수신기에 의한 위성전파의 수신이 관측의 대부분이므로 고도의 숙련된 관측 기술이 필요치 않음.
-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위도, 경도, 고도의 3차원 위치결정이 가능
- 운동체의 절대방위 및 절대속도의 계측이 가능
- 정확한 시각을 계측할 수 있음
2) 주의사항
-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관측점의 수평방향 15°이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제거 되어야 함
- 관측점 주변에서 관측에 방해되는 반사 전파를 제거 시켜야 함
- 위성에서 발신되는 전파를 이용하므로 전리층과 대류권에 의한 전파굴절 영향을 보정
9. GPS의 이용분야
과학기술이나 산업활동에서는 물론 일상적인 생활속에서도 자신의 위치나 대상물의 위치를 알아야 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 따라서 GPS의 이용분야는 위치 파악이 필요한 분야는 전부 해당이됨
- 항법장치 : 자동차 네비게이션, 항공기 , 선박, 인공위성 등
- 측지분야 : 기준점 분량, 중력측량, 항공사진 측량, 노선측량, 수심측량 등
- GIS 분야 : 답사, 주제도 제작, 주요지형지물의 위치점 측정.
- 해양분야 : 정기노선 항해, 시추공위치 결정, 해상중력측량, 해상탐색 및 구조 등
- 지구물리학 : 지각변동 관측, 지질구조 해석 등
- 군사분야 : 각종 장비의 항법장치, 목표물 위치결정, 사전답사, 지휘 및 통신 등
- 레져분야 : 등산, 여행, 탐사등
10. 그 외의 위성항법 시스템들
· 글로나스
글로나스(GLONASS, 러시아어: ГЛОНАСС)는 러시아의 전파 위성 항법 시스템이다. 소련이 개발했고, 현재는 러시아 우주군이 운영하고 있다. 이것은 미국의 GPS, 유럽 연합의 갈릴레오 위치결정시스템와 같은 것이다.
글로나스의 개발은 1976년에 시작되었다. 1991년까지 전 세계 서비스를 목표로 하였다. 1995년까지 수많은 로켓들이 쏘아올려져서 완성되었다. 그 이후 러시아 경제가 붕괴되어 프로젝트에 차질이 있었다. 2001년 러시아는 인도 정부와 합작으로 이 프로젝트를 다시 복구하고 있으며, 2009년까지 전 세계 서비스를 목표로 진행중이다.
GPS는 CDMA 방식을 사용하나 글로나스는 FDMA 방식을 사용한다. L1 주파수는 1602MHz이고 L2 주파수는 1246MHz이다.
· 갈릴레오
고도 약 24000km의 상공에 30기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대규모 계획으로 미국 국방부가 운영하는 GPS와 같이 군사상의 이유 등에서 나타나는 서비스의 열화 및 중단을 피할 목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갈릴레오는 2005년 12월 28일에 1기의 GIOVE-A위성이 발사 되어 2006년 1월 12일부터 시험 전파가 발사되어 2007년 5월 2일에 영국 Surrey Satellite Technology에 의해서 작성된 항법 메시지가 길드포드 지구국으로부터 GIOVE-A위성에 업로드되어 방송되었다.
2006년중에 발사 예정의 2기의 위성은, 발사가 2007년 말로 늦어졌다. 또한 본격 이용 개시는 2010년경으로 되어 있었지만, 2013년으로 늦어졌다. 당초 사업비는 36억 유로내지 38억 유로라고 전망되어 민간기업들이 총 24억 유로를 부담할 예정이었지만 공동 사업체의 체제가 갖추어지지 않았고, 2007년 5월에 EU는 공적자금으로 전액 인수할 계획 수정안을 결정해 11월에 승인되었다.
*EU외의 참가국
중국 이스라엘 대한민국 우크라이나 인도 모로코 사우디아라비아
· 베이더우
베이더우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개발하고 있는 독자적인 위성항법시스템 프로젝트이다.
북두항법시스템으로 불리는 이 시스템은 1983년 陳芳允(Chen Fangyun)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으며 두 개의 정지괘도위성을 이용한 Twinsat 시스템이다. 이 개념은 1989년 DFH-2/2A 통신위성으로 검증되고 1993년 베이더우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2000년 두개의 위성이 발사되었다. GPS,Gallileo,GLONASS 등과는 달리 전지구대상이 아닌 중국만을 사용범위로 한다.
참고 문헌
1.↑ Parkinson, B.W. (1996),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ory and Applications, chap. 1: Introduction and Heritage of NAVSTAR,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pp. 3-28,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Washington, D.C.
2.↑ GPS Overview from the NAVSTAR Joint Program Office
3.↑ Los Angeles Air Force Base, Fact Sheets: Global Positioning System. 2006
4.↑ US Coast Guard General GPS News 9-9-05
5.↑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Presidential statement to stop degrading GPS. May 1, 2000
6.↑ Hydrographic Society Journal. Developments i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Issue #104, April 2002.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4.19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0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