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 case(간호대학원)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opd case(간호대학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동반
위험인자 회피: 인플루엔자 백신
필요시 속효성 기관지확장제 추가
한 가지 이상의 지속성 기관지확장제 정규치료 추가,호흡재활 추가
반복악화 시 흡입 부신피질호르몬제 추가
만성호흡부전 시엠 장기산소요법추가
외과적 치료고려
1)위험인자 제거
금연이 질병의 경과를 modify할 수 있는 유일하고 가장 효과적이고 방법이다. (COPD 환자의 폐기능의 감소율을 50% 감소)
작업장 먼지와 화학물질, 실내외 오염물질의 감소로 분진과 가스 흡인을 감소 시킨다
안정시 치료: 약물요법
2)약물치료
(1)약물요법
증상을 조절하고 예방
악화의 빈도와 정도를 감소
건강상태를 증진하고 운동능력을 향상
장기적으로 폐기능의 악화를 예방하지는 못함
기관지 확장제가 증상치료의 중심적인 역할
(2)기관지 확장제
필요할 때 사용하거나 규칙적으로 사용
흡입요법을 더 권장
정확한 흡입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경증 COPD:SABD (prn)
중등증 COPD: LABA or Tiotropium + SABD (prn)
Tiotropium + LABA + SABD (prn)
증상 지속시 또는 중증 COPD: Tiotropium + LABA/ICS
약물
제제
부작용
기관지 확장제
(베타2 항진제)
◆속효성
salbutamol(ventolin),
terbutaline(bricanyl), fenoterol(berotec)
◆지속성
salmetrol(serevent),
formoterol(oxis)
Muscle tremor
Hypokalemia
기관지 확장제(항콜린제)
◆속효성
ipratropium bromide (atrovent)
◆지속성
tiotropium bromide (spiriva)
구강건조증, 배뇨장애, 녹내장 악화가능
기관지 확장제 (테오필린제제)
Theophylline
Aminophylline
타약물과 상호작용
대사 증가:리팜핀,항경련제
대사 감소: cimetidine, macrolide, quinolone
심부전, 간질환 환자 및 저산소증에서 용량감소
혈중농도를 monitor해야 한다 ( 8 2 ug/ml)
+ Theophylline+ SABD (prn)
3)호흡재활치료
재활요법
모든 환자에서 운동요법이 효과가 있다
최소 2개월 이상의 재활프로그램
운동능력의 증가, 호흡곤란과 피로감 감소
하지운동: 걷기 (답차, 자전거타기 등)
상지운동
호흡근 운동: 흡식운동
호흡근 휴식: 양압요법
정신사회 재활: 우울증 치료, 이완 요법
영양상태를 호전 work o f breathing
4)산소요법
산소요법
장기간(하루15시간 이상)의산소투여가만성호흡부전환
자의 생존율을 높히고, 운동능력, 폐기능 및 정신 상태에도
좋은영향을끼칠수 있다.
장기 산소요법의 적응증
PaO2 < 55mmHg 이거나 SaO2 < 88%
PaO2 55-60mmHg이거나 SaO2가 89%이상이면서 폐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을 시사하는 말초부종 혹은 적혈
구 증가증 (Hct>55%)의 소견이 있는 경우
(5)일반치료
일반적 치료 (1)
일반적 치료 (2)
예방주사
독감 예방주사 가을에 1회 또는 가을, 겨울에 2회
폐렴 예방주사
항생제
감염성 악화나 세균 감염시
기침 억제제
기침이 상당한 보호 효과가 있으므로 안정된 COPD에서
는 사용 제한
거담제 : 추천되지 않음
호흡 촉진제 : 추천되지 않음
마약 : 금기
한약, 침 : 추천되지 않음
5.Educational plan
1) 약물사용 교육
종류
효능
용법
부작용 주의
norvasc 10mg qd
고혈압
1일 1회
홍조
피로 ,부종 현기증, 두통
복통, 오심
오심,구토,
erdos 300mg
진해거담제
1일 1회 복용
아침식사 전
피로, 소화불량, 복통, 위장장애, ,두통,
singulair10mg qd
천식의 예방 및 지속적 치료, 알러지성 비염의 증상 완화
1일 1회 1정
과민반응
위장장애
Lipitor
망막병증, 알부민뇨, 흡연, 또는 고혈압 등)가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
10mg 1t qd
Seretide
기관지 확장제와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병용사용이 적절하다고 판단된 천식의 치료
1일 2회흡입
알러지,삼키기 어려움, 눈의 통증,심장박동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ASTRIX
허혈성 심장질환,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비만, 당뇨 같은 복합적 심혈관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에서 관상동맥 혈전증의 예방
100mg qd
간독성,신독성
(3) 흡입기사용방법교육
1)Seretide
2)정량식 흡입제
①뚜껑열기
홈을 이용해 돌려서 뚜껑을 연다
②레버돌리기
레벌를 ‘딱’소리가 날때까지 돌린다
③세게 흡입
숨을 내쉰 후에 흡입구를 입에 물고 세계 흡입한다.(혓바닥으로 구멍을 막으면 안됨)
④뚜껑 닫기
입을 떼고 숨을 10초간 참고,레버를 다시 돌려 뚜껑을 닫는다.
①잡고 흔들기
흡입구가 아래로 향하게 잡고 3~4회 흔든다
②숨 내쉬기
숨을 내 쉬어 폐 안의 공기를 빼낸다
③누르면서 천천히 흡입
흡입구를 입에 가까이 대고 누르면서 천천히 흡입한다.
④숨참기
10초간 숨을 참고,한번 더 흡입해야할때는 3~4분 정도 간격을 둔다.
2) 관리 교육
(1)금연,운동,깨끗한 환경 만들기
-흡연은 천식을 악화시키고 천식 발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며, 호흡기감염쉽게 만들어 주의시킨다
(2)산소요법의 경고사항,감염이 생기거나 호흡곤란이 증가되거나 인자상태의 변화가 생길 경우 초기 간호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3)아무런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환자 방문의 필요성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해준다
6.Community-referrals
1) 지역단체 자조모임을 통해 천식환자들의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자가 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연계한다
7.Follow up
1)2개월 마다 정기적으로 외래 F/U
(호흡곤란등 증상악화시 Spirometry & DLCO F/U)
참고문헌
1.대한내과학회,2010년,Harrison's principle of Internal Medicine, 17th Editio
2.안지원편저 외 , 2010년, INTERNAL MEDICINE 2판(pulmonology),퍼시픽북스
3. www. GOLD
4. Google image search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4.25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1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