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목적 : 두 물체의 이차원 탄성 충돌 현상을 이해한다.
◆이론
◆실험기구
◆실험 방법
◆이론
◆실험기구
◆실험 방법
본문내용
전 : 53*60+63*10=3810
충돌후 : 53*10+63*60=4310
오차 : 4310-3810=500
오차 : 111150-57650=53500
충돌전 : 53*30+63*10=2220
충돌후 : 53*10+63*40=3050
오차 : 3050-2220=830
충돌전 : 53*10+63*40=3050
충돌후 : 53*30+63*30=3480
오차 : 3480-3050=430
오차 : 81400-56200=25200
충돌전 : 53*20+63*60=4840
충돌후 : 53*80+63*50=7390
오차 : 2550
충돌전 : 53*30+63*10=2220
충돌후 : 53*0+63*50=3150
오차 : 3150-2220=930
오차 : 327100-151000=176100
실험 후 느낀 점 : 실험 방법에 따라서 실험을 하였지만, 충돌 전후의 운동량이나 운동에너지를 구해보면서 오차가 상당히 높게 나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세 번째 실험에서 x방향의 운동량의 오차는, 2550 y방향의 운동량의 오차는 930, 충돌 전후의 운동에너지의 오차는 무려 176100나 되었다. 이렇게 높은 오차가 나오는 이유는 아마도 완전한 탄성 충돌을 만들어 내기가 어렵다는 사실도 있지만, 실험을 하면서 실수를 한 점이나, 시간당 변위를 나타내는 표를 뽑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래프를 보고 육안으로 속도를 계산하여야 했다는 점에서, 정확한 속도 값을 알아낼 수가 없었기 때문이기도 한 것 같다. 다음 실험부터는 이런 점들을 잊어먹지 않도록 주의해서 간단한 실수로 인하여 오차 값이 높게 나오지 않도록 유의할 것이다.
충돌후 : 53*10+63*60=4310
오차 : 4310-3810=500
오차 : 111150-57650=53500
충돌전 : 53*30+63*10=2220
충돌후 : 53*10+63*40=3050
오차 : 3050-2220=830
충돌전 : 53*10+63*40=3050
충돌후 : 53*30+63*30=3480
오차 : 3480-3050=430
오차 : 81400-56200=25200
충돌전 : 53*20+63*60=4840
충돌후 : 53*80+63*50=7390
오차 : 2550
충돌전 : 53*30+63*10=2220
충돌후 : 53*0+63*50=3150
오차 : 3150-2220=930
오차 : 327100-151000=176100
실험 후 느낀 점 : 실험 방법에 따라서 실험을 하였지만, 충돌 전후의 운동량이나 운동에너지를 구해보면서 오차가 상당히 높게 나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세 번째 실험에서 x방향의 운동량의 오차는, 2550 y방향의 운동량의 오차는 930, 충돌 전후의 운동에너지의 오차는 무려 176100나 되었다. 이렇게 높은 오차가 나오는 이유는 아마도 완전한 탄성 충돌을 만들어 내기가 어렵다는 사실도 있지만, 실험을 하면서 실수를 한 점이나, 시간당 변위를 나타내는 표를 뽑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래프를 보고 육안으로 속도를 계산하여야 했다는 점에서, 정확한 속도 값을 알아낼 수가 없었기 때문이기도 한 것 같다. 다음 실험부터는 이런 점들을 잊어먹지 않도록 주의해서 간단한 실수로 인하여 오차 값이 높게 나오지 않도록 유의할 것이다.
소개글